간찰 - 선비의 마음을 읽다
심경호 지음 / 한얼미디어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영혼을 나누어가진 선인들의 편지
전통시대의 편지를 간찰이라 하였는데, 간찰(簡札)은 본래 죽간과 목찰에 작성한 글이란 뜻이다.  통틀어 종이에 적거나 비단에 적은 편지를 모두 가리킨다. 

옛 선비들의 사귐에는 마음이 머문다. 그들의 사귐은 아침이슬처럼 영롱한 빛이 난다. 
말을 많이 하지 않아 좋고, 짧은 글이지만 마음을 전하는 멋이 있다.
그 아름다운 사귐을 내 마음에 담을 수 있어서 기쁘다. 
고고한 정신이 사사로운 감정으로 나타나는 사귐이 바로 이런게 아닌가 싶어 
한편, 부러움으로 시셈까지 일어난다.

지난해 죽간을 복원한 전시회를 본적이 있다. 선비들의 다른 간찰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곡성군 옥과에 있는 옥과미술관 2층에 가면 그 마음들이 곳곳에 스며 있어 간혹 찾아가곤 한다. 죽간에 쓰였던 종이에 정갈한 모습이든 한자 한자 정성스럽게 쓰여진 모습에서 경건함 마저 들었다.

그런 느낌이 사귐의 사사로움에 마음 더하는게 아니였을까. 
마음을 내 그 마음 보여줄 벗이 없음을 탓하는 지금의 내 모습에서 그 사귐이 지극히 어렵거나 나와는 멀리만 있는게 아니라는 것을 보았기에...빈방에 들어온 책 중 더 마음이 가는걸거다.

중국 송나라의 철학자 정호(程顥)는 
“서찰은 선비의 일에 가장 가깝다”(至於書札, 於儒者事, 最近)는 말을 하였다. 
조선조 선비들이 완물상지(玩物喪志)라 하여 서예나 그림 등에 빠지는 것을 기피하면서도 간찰만은 예외로 두었던 이유는,  자신의 글씨와 문장력을 펼칠 수 있는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더러는 잠시 한가한 시간을 내어 대숲에서 나는 바람 소리를 듣고 배꽃에 흐르는 비를 맞으며 그림자하고 즐긴다오. 그 누가 이런 흥을 알겠습니까!”
- 이덕무가 백동수에게 안분지족의 뜻을 전한 간찰 중에서

"바람 잘 드는 마루를 벌써 쓸어놓고 기다리오"
― 허균이 권필에게 내방을 권한 간찰 중에서

"그대가 서신을 보내는 것도 마음이요, 내가 답장을 하지 않는 것도 역시 마음이니
마음에 어찌 둘이 있겠습니까"
― 김정희가 초의 선사에게 근황을 알린 간찰 중에서

공허한 마음에 먼 하늘 바라보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옛 선비들의 마음이 담긴 글에서
따스한 사람의 향기를 발견하는 것은 지극히 아름다운 일이다.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도 표현기법이나 표형두구가 달라질 지언정 
그렇게 마음 나누는 기회가 많았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