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의 수수께끼를 풀다
가와이 쇼이치로 지음, 임희선 옮김 / 시그마북스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햄릿]의 수수께끼를 풀다? 햄릿에 무슨 수수깨끼가 있다는 말인가?

이 책을 접하면서 가장 먼저 생각 되는게 햄릿에 무슨 수수께끼가 있는가? 라는 의문이였다. 막연하게나마 생각되어지는 것은 햄릿이 우유부단한 성격의 소유자로 생각이 너무 많아 실천하지 못하는 지식인의 표상 정도가 아니였을까?

[햄릿]이라고 하면 세익스피어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햄릿이 그렇게 알려진 만큼 문학작품 [햄릿]에 대한 이해를 얼마나 올바로 하고 있는걸까?
[햄릿]의 수수께끼를 풀다. 이책은 너무도 유명하기에 모두가 잘 알고 있다는 생각하는 [햄릿]에 대한 잘못된 이해 또는 편견을 올바로 잡아주는 출발점이라 생각된다.

[햄릿]이 탄생했던 시기는 중세 봉건사회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시대였다. 사람의 삶의 중요한 지표가 절대적 지위를 가졌던 신에 대한 의지에서 인간의 개인 의지로 변화가 일어났던 시대인 것이다.

[햄릿]에 대한 대부분의 인식이였던 것 중 하나인 <낭만주의적 햄릿>은 “복수라고는 도저히 이룰 수 없는 과업을 가진 섬세한 청년이며 도덕적인 사람이 짊어질 수도 없고 버릴수도 없는 무거운 마음의 짐 때문에 망해가는 모습”이였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의 생각이 아닌가 싶다. 또 다른 해석 중 하나는 <행동하는 햄릿>으로 “잠재적으로는 행동력을 가졌으면서도 행동하지 못하고 속으로 고민하는 감정을 토로하는 격정의 햄릿”이 그것이다.

이러한 인식이 대부분이였던 것에 새로운 해석이 추가된다.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준 기준은 햄릿을 구성하는 주요요소가 바로 “의심한다”라는 보는 것이다. 햄릿이 왜 그럴까 하는 생각으로부터 출발하여 유령에 대한 의심이나 햄릿 행동에 대한 의심, 그 외 햄릿에 나오는 수수께끼로 이름 붙어진 것들이다.

결국 햄릿은 그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면 찾고자 하는 해답은 무엇인가?

겉모습으로만 판단하는게 아니라 마음의 눈에 비친 진실을 찾아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인간이 근본적으로 무엇에 가까운 존재임을 인정하고 불안이나 절망에 시달리면서도 신 혹은 절대적인 선 앞에 홀로 의연하게 일어서서 주체적으로 자기의 책임과 무력함을 자각하여 살아가는 것”이였다.

저자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햄릿의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열쇠인 <헤라클레스>에 접근하게 된다. 헤라클레스는 르네상스 시대의 이상적인 남성상으로 정신적으로 성숙하고 육체적으로도 절대적인 힘을 갖는 영웅이였다.

저자는 신을 꿈꾸었으나 인간의 한계를 깨달은 인물인 햄릿으로 바라보며 기존 햄릿에 대해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한다. 지금까지 해석되었던 것처럼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다는 복수극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에 대한 불완전한 모습을 인식하고 헤라클레스처럼 위대한 존재가 되려고 한 햄릿으로 바라본다.

이 책을 접하면서 그동안 문학작품을 읽어왔던 내 자세에 대한 반성부터 하게 된다.
문학작품에 대한 이해는 작가의 삶과 그 작가가 생활했던 시대상의 반영이기에 작가의 삶과 그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 환경을 이해 하는게 우선이고, 그 작품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충분히 이해하고 작가가 의도하는 바를 진지하게 생각하는 자세야 말로 문학작품을 이해하는 올바른 길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