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尙州) 함창(咸昌) 공갈못에
연밥 따는 저 큰 애기.
연밥 줄밥 내 따줄게
잠들기는 늦잖아도
연밥 따기 한철일세.
“오늘날까지 남부 지방에 유행하는 민요 채련곡(採蓮曲)이다. 연꽃이 드문 조선에서는 모를 낼 때 이 노래를 부르는 것이 일종의 운치라면 운치인 셈이다.”
“연꽃은 본래 인도에서 나는 것으로 불교와 깊은 관련이 있다. 중국 땅에 들어와서는 불교를 떠나 아주 현세화하여 중국 남방의 오나라나 월나라 아가씨들과 깊은 관계를 맺었다. 그리하여 연꽃이라 하면 벌써 연밥 따는 아가씨를 생각하게 하는 동시에 채련곡을 떠올리게 된다.”
“서울에도 옛날에는 남대문과 서대문 밖에 연지(蓮池)가 있었고, 동대문 안쪽에도 연지가 있었다. 또 각 성읍에도 반드시 이러한 연지가 있어 뜻하지 않은 재변을 방비하는 한편 풍치의 미관을 도우려고 했던 것이니 이른바 일거양득이라 하겠다. 그중에서도 앞서 말한 상주 공갈못의 연꽃은 전국적으로 유명하였다. 경기지방에는 수원의 방축 연(蓮)과 황해도 지방에는 해주 부용당(芙蓉堂)의 연이 유명하였다.”
贈折蓮花片 증절연화편
初來灼灼紅 초래작작홍
辭枝今幾日 사지금기일
憔悴與人同 초췌여인동
연꽃 한 송이를 꺾어 주시니
처음엔 불타는 듯 붉었더이다.
가지를 떠난 지 며칠 못 되어
초췌함이 사람과 다름 없어요.
“고려 충선왕이 사랑하던 원나라의 미녀에게 연꽃 한 송이를 꺾어주며 석별의 정을 표시했던 일화는, 그녀가 충선왕에게 올린 사랑의 노래와 더불어 오늘날까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 미녀가 노래한 시다.
*무안 화산 백련지나 전주 덕진 공원의 풍성한 연꽃도 좋지만 한적한 시골 어느 조그마한 웅덩이에 핀 한 두 송이 연꽃에 마음에 더 간다. 특별한 까닭이 있다기보다는 연꽃이 주는 이미지가 그것과 어울린다는 생각에서다. 올해는 그 정취를 느끼지도 못하고 제 철을 넘기고 말았지만 홀연히 늦게 핀 한 송이 연꽃이라도 만나는 호사를 누릴 기회를 아직은 놓지 못하고 있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