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겁게 키만 큰 접시꽃

寂莫荒田畔 繁花壓柔枝 적막황전반 번화압유지

香經梅雨歇 影帶麥風欹 향경매우개 영대맥풍의

車馬唯見賞 蜂蝶徒相窺 차마유견상 봉접도상규

自慚生賤地 敢恨人棄遺 자참생천지 감한인기유

거칠은 밭두덩은 쓸쓸도 한대

연한 가지 누를 듯 꽃은 무성타.

궂은비를 지내어 향기 그치나

보리바람 띠워서 그림자 수긋.

수레타고 말 타고 찾는 이 뉠꼬

나비랑 벌이랑 엿볼 이 그뿐.

더러운 땅 생장해 내 탓 내 하지.

남더러 저 버린다 어찌 한하리.

*신라의 선인(仙人) 최치원(崔致遠)의 〈촉규화(蜀葵花)〉라는 시다. “이 시는 접시꽃을 아주 잘 그려 보였다. 특히 그 끝구에 “더러운 땅 생장해 내 탓 내 하지, 남더러 저버린다 어찌 한하리”운운한 것은 최치원이 촉규화를 빌어 자신에 빗댄 것이니, 신라 당시에 벌열을 숭상함이 고루(古陋)하다 할만하다. 꽃의 아름다움을 그린 이 시가 뜻밖에 이상야릇한 역사적 사실을 전해주는 것은 매우 재미있는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촉규화(蜀葵花)는 경기말로 어승어, 황해도말로는 둑두화, 남도말로는 접시꽃이라 한다. 그 꽃은 무궁화와 같으나 그보다는 오히려 더 크다. 이 꽃은 한 번 심으면 그 뿌리에서 줄기가 항상 돋아나는, 식물학상으로 이른바 숙근초(宿根草)이다. 싱겁고도 밋밋한 그 키가 7, 8척이나 된다. 〈화편(花編)〉에는 이 꽃을 무당에 비하였다. 혹 키가 크고 아리따워서 무당이라고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정원에 재배하는 풀꽃 치고는 키가 크기로 유명해서 일장홍(日丈紅)이란 별명을 얻었다. 꽃빛은 붉은 것과 자줏빛과 하얀 것이 있어 제각기 특별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데, 그중에서도 분홍 꽃이 가장 산뜻하게 곱다.”

요사이 한창인 꽃이다. 길을 가다 기어이 차를 세우고 눈맞춤 한다. 담장 밑에서 키를 키우고 바깥세상을 내다보는 모양새가 여러 가지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한때 유명했던 도종환의 ‘접시꽃 당신’을 넘어선 무엇이 있다. 보는 이의 처지에 따라 고향을 떠올리거나 그리움 또는 애틋함 등 다양한 감정을 동반한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