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취한 절세미인, 작약화 芍藥花

好箇嬌饒百媚姿 호개교요백미자

人言此是醉西施 인언차시취서시

露葩攲倒風擡擧 노파기도풍대거

恰似吳官起舞時 흡사오공궁기무시

아양 떠는 고운 자태 너무도 아리따워

사람들은 이를 두고 취서시(醉西施)라 한다네.

이슬 젖은 꽃 기울면 바람이 들어주니

오나라 궁궐에서 춤추던 때 비슷해라.

*중국에서는 모란을 '꽃의 왕'이라 부르며 꽃 중 제일로 꼽았고, 작약은 '꽃의 재상'이라 해 모란 다음으로 여겼다. “작약이 꽃나라의 재상이라고는 하나 남성적이기보다는 여성적이다. 작약의 품종 가운데 예전 중국 오나라의 절세미인 서시(西施)가 술에 취한 모습 같다 해서 붙인 취서시(醉西施)란 것이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이규보(李奎報)는 〈취서시작약시(醉西施芍藥詩)〉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작약은 꽃의 모습이 작약(綽約), 가냘프고 맵씨가 있다 해서 작약(芍藥)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도 말한다. 이는 억지로 가져다 붙인 말에 지나지 않는 듯하니, 나원(羅願)이 지은 《이아익(爾雅翼)》에는, “음식의 독을 푸는 데 이것보다 나은 것이 없어서 ‘약(藥)’이란 이름을 얻었다”고 했다.“

誰道花無主 수도화무주

龍顔日賜親 용안일사친

宮娥莫相妬 궁아막상투

雖似竟非眞 수사경비진

꽃은 주인 없다고 누가 말했나

임금께서 날마다 친애하시네.

궁궐의 아가씨들 질투 말게나

비슷해도 마침내 진짜 아니니.

“작약이 우리나라 역사에 보이는 것은 지금부터 770년 전인 고려 의종(毅宗) 때 일이다. 의종은 정치보다 놀이를 좋아하여, 하루는 대궐 정원에서 꽃구경을 할 때 여러 신하들에게 명하여 작약시를 지어 바치게 했다. 이때 지어 바친 시 가운데 현량(賢良) 황보탁(皇甫倬)의 〈작약〉시가 제일이었다.”

재배하는 작약의 종류는 우선 색깔로만 봐도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이 있으며 많게는 40여 종에 이른다고 한다.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작약이라는 이름 붙은 것으로는 주로 깊은 산골에 서식하는 산작약, 백작약, 참작약 등이 있다. 접하기 귀한 꽃으로 겨우 흰색으로 피는 백작약만 보았을 뿐이다.

옛 어른들은 함박꽃으로도 불렀다는 작약을 고향 집에서 얻어와 뜰에도 작약을 심었다. 다양한 색으로 크고 화려하게 피는 모습이 보기에도 좋아서다. 모란이 지고나면 작약이 핀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