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두꽃

나무가 가득 빛나는 순백의 아름다움

題李花 제이화

汝與我同姓 여여아동성

逢春發好花 봉춘발호화

吾顔不似舊 오안불사구

反得鬂霜多 반득빈상다

자두꽃을 읊다

너는 나와 같은 성씨

봄을 만나 좋은 꽃 피웠네.

내 얼굴은 예와 달라

귀밑에 서리만 가득하구나.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권14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열두 번째로 등장하는 이규보(李奎報, 1168-1247)의 시 '題李花 제이화'다.

자두는 '진한 보라색, 복숭아 닮은 열매'라는 뜻의 '자도 紫桃'에서 왔다고 한다. 다른 말로는 '오얏'이라 불렀다.

"삼국사기"에 복숭아와 함께 백제 온조왕 3년(15)에 처음 등장한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와 오랫동안 함께한 나무다. 대한제국의 문양이 바로 이 오얏꽃에서 왔다.

‘이하부정관 李下不整冠’이란 말이 있다. 자두나무 밑에서는 갓을 고쳐 쓰지 말라는 말이다. 의심받을 만한 행동은 아예 처음부터 하지 말라는 뜻이다. 이런 이야기가 만들어질 만큼 자두나무는 흔하게 만날 수 있었던 나무라고 짐작할 수 있다.

내 뜰이 생기자 가장 먼저 심었던 나무가 이 자두나무다. 다른 나무와 달리 아주 빨리 자란다. 키와 품을 열심히 키우기만 하더니 열매를 맺지 않아서 잘라버릴까도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해 봄, 올해도 열매를 맺지 않으면 베어버린다고 엄포를 놓았다. 그해 첫 열매가 무성하게도 열려서 그말을 들었나 싶어 둥치를 가만히 다독여 주었던 기억이 있다.

지금은 내 뜰에서 가장 넓은 품을 자랑하듯 매년 풍성한 열매로 여름 입맛을 돋구어주는 기특한 나무다. 올해도 가지마다 열매를 가득 달고 볕의 온기와 바람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