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시에서 삶을 읽다 - 서러운 이 땅에 태어나
김경숙 지음 / 소명출판 / 2019년 11월
평점 :
시로 찾아가는 시인의 삶
한자로 된 글은 내게 그림의 떡이었다. 한자로 기록된 옛사람들의 흔적은 그렇게 남의 나라 이야기일 수밖에 없었다. 문장을 직접 이해할 수 없기에 이 어려움을 해결해줄 사람들이 필요했다. 다행히도 글을 대신 읽어주는 이들이 생겨나면서부터 가까운 이웃으로 어느 땐 친근한 벗이 되었다. 그렇게 친해진 것이 시와 산문을 비롯한 옛사람들의 글이다.
그동안 이런 옛사람들의 글을 접하는데 도움을 받은 것은 정민, 안대회, 이종목 등 문학을 전공한 여러 선생님들의 도움이 컷다. 그분들이 읽어주는 책들을 통해 옛사람들의 일상의 삶과 지향하는 뜻을 펼치기 위한 자기 수양을 어떻게 해온 것인지 알게 되었다. 옛사람들의 글은 단순히 책 속에 묻혀 있는 문장에서 벗어나 지금을 살아가는 일상의 지혜를 밝혀주는 등불과도 같았으며 때론 사막의 오아시스처럼 목마름을 해결해주는 역할을 톡톡히 해주었다.
김경숙의 '한시에서 삶을 읽다' 역시 이와 같은 부류로 우선 반가움이 앞선다. 시에 주목하면서도 독특한 테마를 설정하여 옛사람들의 삶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내용 구성이 이채롭다.
'서러운 이 땅에 태어나' 라는 부제가 이 책을 들게 했다. 어느 사회나 사회구조적 한계는 있을 수밖에 없다. 그들이 살았던 조선이라는 나라 역시 마찬가지다. 실의에 빠지거나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삶일지라도 그 속에서 최선을 다해 자신과 가족을 꾸려갔던 이들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긴 시들과의 만남이 흥미를 끈다.
이세원, 신유한, 강백, 김도수, 이봉환,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신위, 김정희, 황현, 허난설헌, 이매창, 김삼의당, 김운초, 박죽서, 남정일헌, 강담운
이 책에 등장하는 사람들이다. ‘서얼 문사’, ‘지식인의 길을 걸어간 선비’, ‘새장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한 여성’ 세 가지 테마로 구분된 작가 한 명에 작품 두 편씩, 이미 익숙하거나 새롭게 만난 낯선 이들 모두의 삶이 흥미를 넘어선 무엇이 따라 붙는다. 한계를 어쩌지 못하는 삶에서 오는 애틋함과 안쓰러움에 잘못알고 있는 편견에서 벗어나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한편 한편의 글에 담긴 저자의 세심함이 빛나는 장면이다. 한편의 시를 통해 시인의 삶으로 접근해가는 방식이 차분하고 구체적이다. 한편의 시로는 시인의 삶을 추적해가고 다른 시 한편에서는 시에 집중하여 시인에게로 걸어가는 길을 보여준다, 이렇게 친절한 시를 읽어주는 글은 오랜만에 만났다.오랫동안 손에서 책을 내려놓지 못한 이유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