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여덟 살 이덕무
이덕무 지음, 정민 옮김 / 민음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으로 내 삶의 거울을 삼아야 할까

옛사람들의 글을 읽다가 내가 사는 이 시대와는 사뭇 다른 삶을 살아간 모습에 보면서 종종 놀라는 일이 있다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상상을 초월하는 삶의 태도를 접할 때가 그 중 하나다꽤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을 꾸려가는 태도를 보면 지금의 나이와는 비교가 불가할 정도로 차이가 난다무엇이 그런 차이를 만드는 것일까사람들이 삶을 영위하는 생각과 태도는 자신이 살아가는 시대를 반영하기 마련이다.그렇다면 205여 년을 사이에 둔 차이를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맞을지 여전히 의문이다.

 

이런 의문을 갖는 까닭은 열여덟 살 이덕무가 지었다는 글을 읽으면서 드는 당혹스러움으로 시작된다이덕무의 무인편戊寅篇은 실린 짧은 문장들에 담긴 자기성찰의 내용은 현대 나이로 열여덟 살과 비교가 가능한 일일까열여덟 살이 아니라 중년의 나이에 들어선 나 스스로를 돌아봐도 쉽지 않은 내용들이다.

 

이덕무(李德懋, 1741~1793)는 18세기 조선의 문예 부흥을 주도한 문장가이자 북학파 실학자이다홍대용,박지원박제가유득공 등과 교류하였으며 사가시인(四家詩人)의 한 사람으로 청나라에도 이름을 알렸다.정조에 의해 규장각 검서관으로 발탁되어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활동하였다사후에 어명으로 유고집 아정유고(雅亭遺稿)’가 규장각에서 간행되었으며여러 저작을 묶은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가 있다.

 

이 책 열여덟 살 이덕무는 이덕무가 "열여덟 살에서스물세 살 나던 젊은 5년간의 기록들이다이를 정민 교수가 옮겨 번역하고 자신의 해설을 엮어 발간한 책이다여기에 수록된 글은 무인편戊寅篇’, ‘세정석담歲精惜譚’, ‘적언찬適言讚’, ‘매훈妹訓’ 으로 젊은 날 이덕무가 세상과 스스로를 바라본 태도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이야기 되는 글들이다.

 

여기서 관심이 가는 글은 공부하며 스스로 경계로 삼아야 할 내용을 짤막한 글로 써서 모은 무인편과 쾌적한 인생을 살기 위한 여덟 단계 적언찬이다특히무인편의 첫 번째 글인 거울과 먹줄은 길게 잡더라도 반평생을 훌쩍 넘긴 사람이 읽어도 자성하게 만드는 내용에 머리가 서늘해진다.

 

여기에 적언찬병서(適言讚幷序)에 담긴 식진(植眞), 관명(觀命), 병효(病?), 둔훼(遯毁), 이령(怡靈), 누진(?陣), 간유(簡遊), 희환(??등 여덟 가지 단서는 진실한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적언찬병서(適言讚幷序)는 이덕무가 벗인 삼소자 윤가기의 책 적언(適言)‘의 여덟 장절에 자신이 시를 지어 선물했던 내용이다.

 

나이를 무색하게 만드는 간담이 서늘해지는 내용들을 접하며 이덕무의 삶을 한층 더 가깝게 볼 수 있는 기회다무엇으로 남은 삶을 꾸려가야 할지 성찰의 시간을 제공해주는 이덕무의 젊은 날의 초상이 서늘하게 다가온다이덕무의 무인편 첫 번째 글을 다시 읽는다.

 

거울을 닦듯 마음을 닦고먹줄을 치듯 몸가짐을 곧게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