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다 - 허균에서 정약용까지, 새로 읽는 고전 시학
정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 살고자 했던 사람들

 

"나는 나고여기는 여기고지금은 지금이니나는 지금 여기를 사는 나의 목소리를 내야겠네."

 

이옥(李鈺, 1760~1815)의 시論詩을 대표하는 문장으로 이해한다여기에 "규격화된 좋은 시만 따라 하느라 저만의 진짜 시를 잃고 말았다시는 좋은데 내가 없다내가 없으니 좋아도 허깨비 시에 불과하다."고 말한 이덕무의 시에 관한 이야기까지 더하면 정민 교수가 시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충분히 짐작된다.

 

이 책 나는 나다는 조선 문장가들은 어떤 마음가짐으로어떤 글을 쓰고 어떤 삶을 살았을까에 주목하였다. '시로 국가공무원을 선발했던 나라조선을 대표할 만한 이들의 시론詩論을 모아, '한시 미학 산책'의 정민 교수가 해설을 덧붙여 엮은 책이다.

 

조선 전기에는 형식지상주의에 빠져 있었고조선 중기에는 학당풍이 성행했으며, 18세기 이후 비로소 조선풍이른바 시를 쓰는 주체에 주목하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시뿐만이 아니라 북학파로 불리는 세력이 등장할 정도로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 있어서 사회와 개인의 삶에서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사회적 흐름이 형성된 시기가 바로 조선 후기였다이런 흐름과 연속선상에서 볼 수 있는 것이 정조의 문체반정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그 흐름의 한 축으로 시에 주목하고 그 변화를 살핀다.

 

"허균이용휴성대중이언진이덕무박제가이옥정약용"

 

이들은 자신의 분야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긴 사람들이다세상을 보는 자신만의 확실한 관점을 가지며 이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남들이 좋다고 하는 것보여주기 위한 것정형화된 것화려한 기교에 치중한 것을 추구하지 말고 자기 본연의 목소리를 낼 것내면에 충실할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론은 시를 짓는 일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자신이 살아가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고 사회가 나아갈 미래를 예측하며 바른 길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했다옛사람들의 글 짓는 일에 비추어 삶의 태도를 이해하는 일과도 다르지 않다이는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는 법고창신의 정신으로 이해한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삶의 근원에 대한 질문은 시대를 불문하고 여전히 유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