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도리, 인간됨을 묻다
한정주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앎이 변화를 이끄는 힘으로

하루에도 십여 차례 사전을 검색한다대부분 뜻을 분명하게 확인하게 위해 찾는 경우다이는 글쓰기에서 더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의미가 있지만 그것보다는 스스로 단어가 가진 뜻을 통해 내 생각을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기 위함이다그렇게 찾는 단어를 구분해보면 순 우리말과 한자어가 각기 반반 정도 차지한다.

 

여기서 더 주목하는 부분은 한자로 구성된 단어다한자의 본래 뜻과 이해하기 위해 구쇼ᅥᆼ요소를 나누어 살피는 파자를 해 보는 경우도 있다이렇게 글자를 파자 해보면 뜻을 더 분명하게 알 수 있다이는 한자가 표음문자라는 특성을 통해 뜻을 알아가는 것이다.

"하나하나의 글자가 언어의 음과 상관없이 일정한 뜻을 나타내는 문자고대의 회화 문자나 상형 문자가 발달한 것으로 한자가 대표적이다."

 

표의문자表意文字에 대한 사전적 의미다이 책을 선택한 의미가 여기에 있다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의미와 가치를 가진 한자의 뜻을 살펴 일상을 돌아보고자 하는 의미다.

 

滿,,

 

이 책에서 언급하는 한자가 총 60자다이 중에서 훈과 음을 제대로 읽을 수 있는 글자가 몇이나 될까책에서 제시하는 한자 하나하나를 읽고 그 뜻을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다이런 종류의 책은 오래전에 읽었던 황광옥의 <동양철학 콘서트이후 두 번째 책이다.

 

저자 한정주는 책 제목에서도 밝혔듯이 한자를 파자해 그 본래 뜻을 살피는 이유가 분명하다. “인간됨이란 무엇이며우리는 지금 얼마나 인간답게 살고 있는가?”에 주목하여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의 삶과 사회적 현상을 살펴 보다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찾고 그러한 사회를 구성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가자는 것이 목적으로 보인다이를 위해 동양고전을 충분히 활용하여 단오가 가지는 의미를 살피고 지금 눈앞에 펼쳐진 부정적인 사회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를 찾고자 한다.

 

문제를 인식하고 그 해답을 제시하는 방식이 현학적인 접근이 아니라 일상에서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통해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이해한다이 책이 가진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반면 제목에서 보이는 높을면 높을수록과 같은 오자나 和 +” 잘못 쓰는 경우를 만나는 허탈함은 내용의 충실함을 손상시키는 요인으로 등장하여 무성의하게 보이기가까지 한다.

 

그렇더라도 일상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한자를 통해 자신과 사회를 돌아보며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충분히 가치 있는 기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