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붓 - 붓장 유필무에게서 듣는 우리 붓 이야기
정진명 지음 / 학민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통의 계승

생각만 있고 다양한 이유로 여전히 머뭇거리는 것이 있다필요성이 내면에서 덜 익었기 때문이라 생각하면 기회는 언제고 올 것이다그때 놓치지 않고 하면 된다그렇게 다독이던 마음에 솔솔 불을 지피는 일이 있었다.

 

얼마 전 페이스북에서 알고 지내는 분이 내 거처를 방문하면서 우연한 갖게 된 그분의 붓글씨 쓰는 모습을 지켜봤다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현장감 넘치게 붓글씨를 쓰는 매력적인 모습과 세필로 쓴 사람들의 이름에서 붓글씨가 갖는 힘을 마주한 것이 바로 불씨가 된 것이다.

 

마침 붓과 붓을 만드는 붓장의 이야기를 담은 책 한국의 붓을 만났다이 책의 출발은 붓의 역사가 수 천년이 되었고 여전히 유효한 문방사우 임에도 붓에 관한 자료가 거의 없는 현실로부터 출발하고 있다이 책을 쓴 정진명은 그 안타까운 전후 사정을 밝히며 첫발을 내딛는다.

 

글을 쓴 이는 저자 정진명이지만 글의 내용은 충청북도무형문화재 제29호 필장筆匠 기능 보유자 유필무의 붓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붓장 유필무는 서울의 전통 붓 매는법을 배운 이후증평으로 내려가 지금까지 그것을 고집스럽게 실천하는 공예 장인이다.

 

이 책은 붓의 역사부터 시작해서 붓을 매는 자세한 과정을 담았다붓을 매는 과정을 사진에 고스란히 담아 하나의 붓이 탄생하기까지를 기록으로 남기는 것에 붓을 보는 철학과 붓의 역사붓에 관한 용어까지 정리하고 있어 붓에 관한 일반적인 이해와 붓이 우리 겨레의 삶 속에 녹아든 전통문화의 영역으로서 중요성을 확인하는 기회가 된다.

 

마침 책 속의 주인공 '유필무 붓장'의 붓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고 한다. "충북 증평군은 2018년 5월 12일부터 오는 12월 31일까지 증평읍 남하리 증평민속체험박물관 문화체험관에서 충청북도무형문화재 제29호 필장筆匠 기능 보유자 유필무씨의 붓 이야기를 주제로 기획전시회를 연다."

 

손으로 쓰는 글씨가 사라져가는 현실에서 붓에 대한 이야기가 얼마나 관심을 얻을지 의문이지만 바로 그 지점이 이 책이 필요한 까닭이라 여긴다오랜 시간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공통된 부분이 전통이라면 이를 계승한다는 것은 계인의 창작과 연결되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를 어떻게 계승하는가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에서 주목해 본다.

 

한국의 전통 붓이 궤멸에 가까운 타격을 입은 것은 1993년 한중 수교이후의 일이라고 한다여전히 그리고 쓰는 분야에서 중요한 도구 중 하나인 붓이 전통의 계승으로 이어져 오랫동안 함께 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