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세키의 작품을 읽어가면서 병행했던 책이다. 가라타니 고진은 세 번에 걸쳐 소세키의 시론을 썼고, 그의 주요 작품에 대한 해설도 한다. 당시 일본문학의 동향과 소세키의 삶,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심리, 철학, 알레고리 등을 설명하고 있다. 비평을 보면서 항상 느끼는 것은, 지적으로는 이해하고 도움을 받지만 공감할 수 없는 내용들이 있다는 사실이다. 이 책에서도 같은 순간을 경험했다. 결국 감상은 나의 것이다. 저명한 학자의 비평에 사용된 방대한 지식과 깊이에 많은 도움을 받았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는 먼저 소세키의 작품에 나타난 의식과 자연을 다루며 시론을 시작한다.
작품의 주제가 이중으로 분열되어있고 심한 경우에는 서로 아무런 관계없이 별개로 진행되어 있다. 그것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나온 주인공들의 분열적인 모습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문』의 소스케나 『그후』의 다이스케가 그렇다. 『우미인초』 이후 그의 장편소설에 철학이 자리 잡는다. “인간의 ‘자연’이란 사회의 법도에 등지고 서는 것, 그러나 인간은 그런 자연을 억압하고 무시하면서 살고 있지만 그것에 의해 스스로를 황폐화시킬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12p) 이 때의 ‘자연’은 nature 즉 본성으로 해석된다.
소세키는 “인간의 관계를 존재론적인 측면에서 먼저 감각하고 있다.”(15p)
태풍의 시라이 도야와 달리 도련님의 주인공은 심각한 지식인이 아니다. 그의 소박한 정의감에는 자의식이 없다. 그러나 시라이에게는 자기를 절대화하려는 추악한 자의식이 ‘의’에 들러붙어 있다. 후반부의 소설에서 존재와 의식 사이의 괴리는 더욱 나타난다.
내측에서 본 생 章에서는 『몽십야』를 통해 작품들에 나타난 소세키의 내면을 들여다본다. 소세키의 심적인 기조가 되고 있는 것은 향해갈 곳도 돌아갈 곳도 없는 표류감이라고 한다. 생의 근원과 종착지에 대한 고독한 인간의 질문이기도하다. “거기에는 문명비판가로서의 소세키는 존재하지 않으며, 다만 허공에 매달려 떨고 있는 한 남자가 있을 따름이다. 유령선의 이미지는 소세키의 생 그 자체이며, 동시에 메이지 일본의 표류감(漂流感)이기도 하다.”(92p)
문학론에서 소세키는 동양문학이란 “부모가 있기 이전의 본래적 면모”(『문』)를 건드리는 무엇이고, 서양문학은 부모(가족)라는 제도와 닮은 무엇이라고 한다. 『한눈팔기』가 보여주듯이 소세키는 그런 제도에 농락당하고 있다. 그가 보통의 아이들처럼 가족을 “자연”으로 받아들이지 못했음을 말한다. 그는 어떤 자의성에 노출되어 있었다. ‘어쩐지 모르게 기만당한’느낌을 주고 있는 것이다.(133p) 그의 평생에 걸친 ‘불안’과 ‘정체성의 결여’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그것은 런던에서 더욱 극대화되었고, 근대 일본사회에서 어떻게 문학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했다. 그의 문학론은 여기에서부터 출발했다고 생각된다.
소세키가 처음 작품을 써낸 것은 ‘사생문’이었다. 이후 초기 작품에서는 이러한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당시 문학의 장르 중에 문文이 있었다. 신문에 연재를 하게 되면서 소설을 쓰고 문단의 주류가 되었지만 그는 근본적으로 ‘소설’보다는 ‘문文’을 계속 썼다고 해야 한다. 그래서 몇 작품에서는 플롯에서 강한 인상을 주지 못한다는 생각이다.
소세키의 에크리튀르(사생문)에서는 ‘상상계’가 상징계의 억압을 거치지 않고 고스란히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소세키의 놀랄 만큼 풍부한 어휘는 모종의 대상이나 이미지를 환기시키는게 아니라 애초부터 언어가 그런 대상이나 이미지 없이 존재하는 것임을 열어 보이듯이 난발(亂發)되는 것이다.”(338p)
소세키는 10년 동안 쓰는 일을 통해 변했다. 기본적으로 신경증적인 근대소설을 ‘사생문’으로서 저회취미低徊趣味(사색에 잠겨 천천히 거니는 취향)을 통해 회피하고 있다. 그는 대학을 그만두고 직업적인 소설가로 바뀌어서 우미인초를 썼을 때 ‘저회’를 그만 두고 한걸음 더 내딛는다. 장식적인 미문이 더욱 많아지고 철학이나 이론의 골격을 담는다. 그리고 초기작에 없었던 층위들이 나타나고, 그 층위들이 뒤섞여 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에서 『명암』으로의 길을 ‘성숙’이라고 볼 수 있고, 작가의 치유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가라타니 고진의 주장에 동의한다.
소세키의 읽기를 통해 한 작가의 유년기의 상처와 분열적 감정, 정체성 결여로 인한 불안, 생래적 고독이 작품 안에 녹아드는 과정을 보았다. 주인공들의 면면에는 작가의 자아의 단편들이 담겨있다. 이 쓰기 과정을 통해 거리를 두고 자신을 살피는 일이 가능했다는 생각이다. 『명암』에 이르기까지 작품을 통해 존재의 문제를 질문했고 치유를 경험했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