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로서 길을 잃었다. 학교에 가기 싫은 상황을 고상하게 표현해 본다. 왜 학교에 가기 싫은가? 거꾸로 직업과 관련된 일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을 떠올려 보았다. 나는 수업 준비하는 것을 가장 좋아한다. 내가 머리 속에 그린 수업을 디자인 하고, 자료를 찾고, 다른 선생님들의 자료를 참고하고, 내가 만난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업을 디자인하는 과정을 좋아한다. 막상 준비한 수업을 할 때는 수업 준비를 할 때만큼 설레지는 않는다. 그래도 준비하고 상상한대로 수업이 마무리되면 뿌듯하다. 교사는 수업을 하는 전문가라고 생각하고 내 본업에 충실하고 싶은데 현실은 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행정 업무를 병행해야 하는데 가끔 행정 업무가 폭발할 때가 있다. 학교는 업무마다 성수기가 다른데, 그 성수기가 되면 자연히 가장 먼저 희생해야 하는 시간이 수업 준비 시간이다. 본질의 주객이 전도된 상황을 대부분 교사들은 마주했겠지만, 해결하기는 힘들 것이다. 교사 개인의 힘으로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국가적, 지역적으로는 안되더라도 단위 학교 단위로 힘을 모을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학교마다 교직 문화가 다르다. 경험적으로 대체로 연대가 빈약한 곳에서 근무를 해왔다. 5년 머무르다 떠나는 학교에서 마음이 맞는 동료를 만나는 것도 쉽지 않고, 마음이 맞는 동료를 만나도 운이 좋아야 5년 같이 근무할 수 있다. 그리고 대체로 평생 몸 담을 학교가 아니기 때문에 소속감도 약하고 그렇기 때문에 무탈하게, 모나지 않게 지내는 것이 가장 현명한 처신이 될 수 있다. 나의 열정과 노력이 누군가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그러니까 적당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이 책은 가장 먼저 이런 부분을 언급했다. 법조계에서 판례가 쌓이고, 의료계에서 임상 데이터가 쌓이듯 교직도 데이터가 축적되어야 한다고. 그리고 무엇보다 유연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평소 많이 느끼는 부분이었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래서 블로그에 수업에 대한 기록을 혼자 남기고 있지만, 여전히 갈증은 있다.
올 초에 처음으로 그런 생각을 했다. '아 더 이상 담임을 못 할 수도 있겠다.' 담임을 안한다면 나의 자리는? 이래서 부장을 하는 것인가? 지금은 별 다른 생각이 없지만, 이 책이 언급한 두번째 주제가 승진과 관련된 내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