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바에서 국제회의가 열려 프랑스와 베트남독립동맹 사이에 평화협정을 주재했다. 제네바 회담에서 프랑스는 베트남 남부지역으로 일시적으로 철수할 것, 베트남독립동맹은 북부에 그대로 남아 있을 것, 2년 이내에 통일 베트남에서 베트남인들이 자신들의 정부를 뽑기 위한 선거를 실시할 것 등이 합의됐다.

 

미국은 베트남의 통일을 저지하고 남베트남을 미국의 세력권으로 안정시키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다. 미국은 얼마 전까지도 뉴저지에 살고 있던 응오딘지엠(Ngo Dinh Diem)이라는 전직 베트남 관리를 국가수반으로 앉히고 예정된 통일선거를 실시하지 말라고 부추겼다. 1954년 초에 열린 미 합참회의 비망록은, 정보부의 평가에 따르면 자유선거에 기반을 둔 해결이 이루어지면 연합 3(Associated States로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을 공산주의의 수중에 빼앗기는 결과를 보게 될 것이 확실하다고 언급했다. 디엠은 베트남독립동맹이 요구하는 선거를 거듭해서 가로막았고, 미국의 자금과 무기 지원으로 디엠 정부의 기반은 점점 더 확고해졌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에서 지적한 것처럼, “남베트남은 본질적으로 미국의 피조물이었다.”

 

디엠 정권은 점차 인기를 잃어갔다. 대다수 베트남인이 불교도인 데 반해 디엠은 가톨릭교도였고, 농민들의 나라인 베트남에서 디엠은 지주에 가까웠다. 겉치레뿐이었던 디엠의 토지개혁은 결국 아무것도 변화시키지 않았다. 디엠은 현지인들이 뽑은 성() 행정장관을 사이공에서 직접 임명한 휘하의 인물들로 대체했다. 1962년에 이르면 성 행정장관의 88%가 군인으로 교체됐다. 디엠은 정권의 부패와 개혁의 결여를 비판하는 베트남인들을 점점 더 투옥하게 됐다.

 

디엠의 국가기구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정권에 대한 반대가 급격하게 성장했고, 1958년경에는 정권에 맞서는 게릴라 활동이 시작됐다. 하노이의 공산당 정권은 남베트남의 반체제 운동을 원조, 장려했으며 게릴라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남부로 사람들(이들 대부분은 제네바 협정 뒤 북부로 간 남부인들이었다)을 보냈다. 1960년에 남부에서 민족해방전선(National Liberation Front)이 결성됐다. 그들은 정권에 반대하는 다양한 세력을 결집시켰고, 그 힘은 민족해방전선을 자신들의 일상적인 삶을 바꿀 수 있는 희망으로 바라본 남베트남 농민들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미국 정부 분석가인 더글러스 파이크(Douglas Pike)는 반란자들과 나눈 대담과 노획한 문서들에 기초해 저술한 베트콩(Viet Cong)에서 미국이 직면한 사태에 대해 현실적인 평가를 내리려고 노력했다.

 

대중조직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나라에서 민족해방전선은 남베트남의 2,561개 촌락에 전국적인 규모의 정치·사회 조직을 만들어 냈다. 민족해방전선을 제외하고는 남베트남에는 실제로 대중에 기반을 둔 정당이라고는 하나도 없었다.”

 

파이크는 이렇게 썼다. “공산당원들은 남베트남 촌락들에 의미심장한 사회적 변화를 야기했으며, 그 대부분은 통신이라는 수단을 통해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그들은 전사라기보다는 조직가였다. “민족해방전선에 관해 무엇보다도 내가 놀란 점은 사회혁명을 첫 번째로, 전쟁을 두 번째로 삼은 그들의 완전성이었다.” 파이크는 이 운동에 농민들이 대규모로 참여한 사실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베트남 농민들은 단지 권력투쟁의 볼모가 아니라 공격의 예봉으로 간주됐다. 그들은 최선봉에 서 있었다.” 파이크의 말을 들어보자.

 

이 광범위한 조직화 활동의 목표는 촌락의 사회적 질서를 개조하고 자치를 훈련시키는 것이었다. 이것이야말로 민족해방전선이 처음부터 줄곧 견지해 온 취지였다. 남베트남공화국군(ARVN) 병사들을 살해하는 것도, 부동산을 점거하는 것도, 어떤 대규모 총력전을 준비하는 것도 아니라, 자치라는 수단을 통해 농촌 주민들 한가운데서 조직화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파이크는 1962년 초반 당시 민족해방전선의 성원이 약 30만을 헤아린다고 추산했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는 이 시기에 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오로지 베트콩만이 농촌지역에서 실질적인 지지를 얻고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61년 초에 대통령직에 오른 케네디는 트루먼과 아이젠하워의 동남아시아 정책을 계속 추구했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에 따르면, 케네디는 거의 취임과 동시에 파괴행위와 가벼운 공격을 수행하기 위해 북베트남에 요원을 파견하는등의 베트남과 라오스에 대한 다양한 비밀 군사행동 계획을 승인했다. 일찍이 1956년에 케네디는 디엠 대통령의 놀라운 성공을 거론하면서 디엠 치하의 베트남에 관해 이 나라의 정치적 자유는 일종의 영감을 준다고 언급한 바 있었다.

 

19636월 어느 날, 사이공의 광장에서 한 불교 승려가 앉은 채로 자신의 몸에 불을 질렀다. 뒤이어 더 많은 불교 승려들이 디엠 정권에 대한 반대를 극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분신자살하기 시작했다. 디엠의 경찰은 불교 사원을 습격, 30명의 승려에게 부상을 입히고, 1,400명을 체포했으며 사원을 폐쇄시켰다. 사이공에서는 시위가 잇따랐다. 시위대에 대한 경찰의 발포로 9명이 목숨을 잃었다. 고대의 수도였던 후에(Hue)에서는 1만 명이 이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제네바 협정에서 미국은 남베트남에 685명의 군사고문단을 파견할 수 있었다. 아이젠하워는 비밀리에 수천 명을 파견했다. 케네디 행정부하에서는 그 숫자가 16,000명으로 늘어났고, 이들 가운데 일부가 전투작전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디엠은 패배하고 있었다. 바야흐로 민족해방전선이 조직한 현지 촌락민들이 남베트남 농촌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었다.

 

디엠은 성가신 존재이자 베트남에 대한 효과적인 지배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고 있었다. 몇몇 베트남 장성들이 루시언 코네인(Lucien Conein)이라는 중앙정보국 요원과 접촉하면서 디엠 정권을 전복시키려는 음모를 꾸미기 시작했다. 코네인은 쿠데타를 열성적으로 지지하는 미국 대사 헨리 캐버트 로지와 비밀리에 회동을 가졌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에 따르면 로지는 1025일에 케네디의 보좌관 맥조지 번디(McGeorge Bundy)에게 이렇게 보고했다. “저는 각자 분명하게 제가 내린 명령을 실행에 옮긴 찬반돈(Tran Van Don) 장군과 코네인 사이의 만남을 이미 개인적으로 승인했습니다.” 케네디는 주저하는 듯했지만 디엠에게 경고하는 조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로지는 쿠데타 직전이자 코네인을 통해 쿠데타 음모자들과 접촉을 가진 직후에 한 해변 휴양지에서 디엠과 주말을 함께 보냈다. 1963111, 군 장성들이 대통령궁을 공격하자 디엠은 로지 대사에게 전화를 걸었고, 아래와 같은 대화가 오갔다.

 

디엠: 일부 부대가 반란을 일으켰는데 미국의 입장이 무엇인지 알고 싶소

 

로지: 그런 말을 할 만큼 많은 정보를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총소리를 듣긴 했지만, 저는 아직 사건의 전모를 알지 못합니다. 게다가 지금 워싱턴은 새벽 430분이고, 미국 정부 역시 어떤 견해를 제시할 수는 없을 듯합니다.

 

디엠: 그렇다고 해도 당신은 대체적인 생각은 있을 거 아니오.

 

로지는 자신이 그의 신변안전을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일이 생긴다면 다시 전화를 달라고 말했다. 그것이 디엠이 미국인과 나눈 마지막 대화였다. 디엠은 대통령궁에서 도망쳤지만, 동생과 함께 쿠데타 세력에게 붙잡혔고, 트럭에 실려 끌려간 뒤 처형됐다. 그에 앞서 1963년 초에 케네디 행정부의 국무차관 U. 알렉시스 존슨U.(Alexis Johnson)은 디트로이트 경제인 클럽(Economic Club of Detroit)에서 연설을 했다.

 

수세기에 걸쳐 사방에서 공격을 가한 강대국들에게 동남아시아가 어떤 매력이 있었던 것일까요? 동남아시아가 탐나는 지역이자 중요한 지역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동남아시아는 기후가 좋고 토양이 비옥하며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진데다가 그 대부분 지역이 비교적 인구밀도가 희박하며 확장할 수 있는 여지도 많기 때문입니다. 동남아시아 각국은 쌀, 고무, 티크목재, 옥수수, 주석, 향신료, 석유 등 수출가능하면서도 풍부한 자원이 넘쳐납니다.”

 

이것은 케네디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설명할 때 구사하는 언어가 아니었다. 1962214일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케네디는 이렇게 말했다. “그렇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지난 10여 년 동안 미국은 베트남 정부와 국민이 독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원조해 왔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