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리처드 오버리 지음, 류한수 옮김 / 지식의풍경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지금으로 부터 73년전인 5월 9일 소련은 나치독일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다. 나치 독일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소련이 치른 대가는 너무나도 컸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약 4년간의 전쟁동안 2500만명의 소련사람이 전쟁에서 죽었다. 거기다 독소전쟁시기 독일군과 소련군의 전사자 비율을 보면 소련군 희생자가 독일군 희생자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런 희생을 바탕으로 치른 전쟁이었기에 소련 사람들은 2차세계대전에 참전했던 그 어떤국가들 보다 자신들이 승리한 날을 기념한다.

2차세계대전 종전 73주년을 맞아 오늘은 영국학자 리처드 오버리가 쓴 책인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에 대해 리뷰를 남겨볼까 한다.

 

2차세계대전은 지금까지 일어났던 전쟁중에 가장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 그리고 수많은 국가들이 참전한 전쟁이다. 그중 가장 많은 사람이 죽었고 가장 치열한 전투가 전개되었던 곳이 동부전선이었다. 독소전쟁은1941년 6월22일 독일의 침공으로 시작되었다. 개전 초반기 독일군은 러시아 전역에서 진격했고 그해 12월 독일군은 모스크바 외각까지 진입했다. 모스크바를 점령 할 수 있었음에도 독일군은 점령하지 않았고 1942년에는 스탈린그라드로 진격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수많은 독일군과 소련군이 죽었지만 독일군은 혹독한 겨울을 견디지 못했고 보급마저 끊기는 바람에 1943년 2월 파울루스 장군이 항복하면서 소련군의 승리로 끝이났다. 1943년 7월 독일군은 쿠르스크에서 대규모 전차를 동원해 반격했지만 소련군의 물량을 막지는 목했다.  1944년 1월에는 레닌그라드 포위전이 소련군의 승리로 끝났고 그해 6월부터 바그라티온 작전을 통해서 8월말까지 소련군은 수많은 동유럽국가로 진군해나갔다. 1945년 4월 소련군은 드디어 독일국경을 넘었고 4월 30일 베를린 국회의사당에 붉은 깃발을 꽂음으로서 파시즘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다.

 

2차세계대전 당시 가장 많은 희생을 치르고 가장 치열한 전투를 전개하여 독일군을 몰아내는데 있어서 1등공신 역할을 했던 나라가 소련이다. 하지만 한국 사람들의 경우 이 사실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랜드리스 지원 때문이라 얘기하지만 기본적으로 소련군이 매우 잘싸웠던 점도 있다. 1944년 6월 서방 연합군이 노르망디에 상륙하여 8월 말 프랑스 파리를 해방했을때 소련군은 그 두달동안 엄청난 동유럽 전역에서 진격했고 수많은 동유럽국가를 해방시켰다. 이점만 보더라도 소련군이 서방 연합군 보다 더 치열하게 싸웠다는 점을 알 수가 있다.

 

리처드 오버리의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은 국내에 출판된 책중에 독소전쟁을 주제로 하는 몇 안되는 서적이다. 그렇기에 전승기념일인 오늘따라 많은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다.

 

오늘따라 2년전 모스크바에 가서 참배했던 무명용사의 묘와 3일전 참가햇던 신도림역에서 열린 전승절 기념행사가 유난히 더 생각이 난다. 오늘만큼은 파시즘에 맞서 싸운 소련 병사들을 잊지 않을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18-05-09 22: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직접 찍으신 사진이세요?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기념 행사가 있는지 몰랐습니다.

NamGiKim 2018-05-09 22:05   좋아요 1 | URL
네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 처음 두장은 모스크바 크렘린 근처에 있는 무명용사의 묘에서 찍은거고 나머지는 올해 5월6일 한국에 사는 러시아 사람들이 신도림역에서 했던 기념행사입니다.^-^

북다이제스터 2018-05-09 22:09   좋아요 1 | URL
그들에게 그날이 얼마나 특별한지 새삼 느낄 수 있습니다.
저도 <레닌그라드 전투> 란 책 읽고 몸서리치던 생각이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