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7 - 소돔과 고모라 1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9년 1월
평점 :
이번 권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성경의 배경지식이 있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7권의 제목인 <소돔과 고모라>는 성경에 언급된 성적으로 타락한 두 도시에서 가져온 이름이라고 한다. 도입부부터 화자 마르셀은 동성애에 대한 주제를 많이 다루고 있다. 앞 권 내용에서 보듯이 그토록 열망하던 게르망트 공작 부인의 만찬에 참석해 포부르생제르맹 귀족 사회의 모습을 제대로 보게 된다. 마르셀은 게르망트 공작 부인을 기다리다가 젊은 재봉사 쥐피앵과 샤를뤼스 씨의 기묘한 만남을 목격하게 된다. 그보다 먼저 빌파리지 부인 댁에서 나오는 샤를뤼스 씨의 모습이 여자로 보였던 이유를 깨닫게 된 것이다. 이 장면을 목격하고 여러 가지 생각으로 복잡한 내면이 보였다. 겉으로 보이는 모습과 숨겨진 욕망은 순수하지 못해서 영원히 충족되지 못하는 불안함일 것이다. 그 후 자신의 동성애적 성향을 깨달았고 그로 인해 어머니에 대한 죄책감도 컸다고 하는데. 이번 권에 그러한 동성애적 요소를 많이 언급하면서 자신을 돌아보는 글쓰기가 되지 않았을까 짐작하게 한다.
전 권에서 죽음의 빛이 완연한 스완을 게르망트 대공 부인이 베푸는 연회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 스완은 질베르트를 보러 오지 않겠느냐고 권하지만, 이제는 그에게 있어 질베르트는 죽은 여인이며 사랑하지도 않았다. 보러가지는 않겠지만 편지 정도는 쓸 수 있다고 말한다. 마르셀의 마음속에 동성애를 향한 욕망이 자리잡고 있어서인지 여인들에게 마음을 정착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처음 발베크에서 만난 이후로 알베르틴을 사랑하는 것 같았지만, 마음은 서로 겉도는 것처럼 보였다.
그후 퓌스뷔스 부인의 시녀를 통해 성적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떠난 발베크에서는 돌아가신 할머니의 추억이 떠올라 괴로움에 휩싸인다. 사교계에 홀려 할머니를 돌보지 않았다는 죄책감에 사로잡힌다. 프랑수아즈의 얘기를 통해서 당신이 아팠으면서도 괜찮은 척 보이려던 것을 알게 되었으며 생루가 찍어주는 사진을 찍으려고 교태를 부리던 할머니가 기묘하게 생각되었는데, 그것이 모두 언제 떠날지 모르는 세상과의 이별을 준비하려던 것이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아직도 할머니를 잃은 슬픔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어머니에게서 할머니를 느낀다. 그제야 처음으로 할머니의 아픔과 어머니의 슬픔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읽으면서 돌아서면 잊어버릴 정도로 온전히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지만, 아무튼 이 작품은 완독했다는 자체에 만족을 위한 독서를 우선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이제 이만큼 읽으니 좀 자신감이 생긴다. 다음 권은 어떤 내용일까 궁금하다. 7권을 완독했으니! 이제 몇 권 안 남았다. 자, 계속 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