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한글역주 3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올 논어 한글역주를 읽기 시작한 것이 약 3년전일이다. 일년에 1권씩 읽어서 3년만 동안 읽기로 마음먹었다. 처음에는 일주일에 한문장씩 읽었다. 그러던 것이 3권을 읽으면서 부터는 1일 1문장을 읽는 것으로 목표가 바뀌었다. 모르는 한자를 찾고, 논어문장을 쓰고 읽고, 해석하면서 부단히 공부했다. 때로는 무릎을 탁치면서 감탄을 하고, 때로는 춘추 전국시대라는 시대적 한계를 넘지 못해서, 지금은 의미 없는 문장들도 있었다. 도올 논어 한글역주3권 속으로 들어가 보자.

 

1. 도가없는 세상을 살아가기.

   한친구가 있었다. 이명박근혜시절 공무원을하면서 그 정권에서 시키는 일들을 하는 친구였다. 이명박근혜 시기라는 시대적 암운 속에서 그는 이명박근혜 정권에서 시키는 정책들을 추진해야만 했다. 이제는 친구가 아닌, 그를 태백편을 읽으며, 떠올렸다. 태백편에 천하에도가 있으면 드러내도 좋으나 천하에 도가 없으면 숨어 버려라,나라에 도가 있을 때 가난하고 비천하게 사는 것은 치욕이다. 나라에 도가 없을 때 부유하고 높은 지위에 있는 것은 치욕이다 라고 했다.(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 무도한 세상에 저항할 수 없다면, 최소한 그들의 앞잡이는 되지 말아야했다. 그들이 시키는 일들을 거절하지 못한다면, 또 한명의 아이히만이 될 뿐이다. 총통이 시켰기에 열심히 유대인들을 아우슈비츠에 보낸, 그와 영혼없이 일을하는 자들과 무엇이 다를까? 그래, 그는 자신은 거대한 기계의 조금만 나사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가 사표를 던졌다고 해서 정권에 아무런 파장도 일으키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용기있는 행동을 했다면 자신에게는 떳떳했을 것이다.

  요즘, 연일 국정농단 세력들이 구속되고 있다. 그들은 아마도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부도덕한 지시를 수행해야만 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행동이 자신에게 경제적인 이득은 물론, 출세에도 커다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적폐 10여년 동안 많은 아이히만들이 한국사회를 움직였다. 한국의 아이히만에게 공자는 '비루한 녀석들 어찌 더불어 임금을 섬길 수 있겠는가? 자리를 얻기 전에는 자리를 얻는 것만을 걱정하고, 자리를 얻고 나면 자리를 잃을 것만 걱정한다. 만약 잃을 것만을 걱정하면 못하는 짓이 없게 된다.'(子曰, “鄙夫可與事君也與哉? 其未得之也, 患得之. 旣得之, 患失之. 苟患失之, 無所不至矣.) 공자님의 말처럼 그들은 자리를 얻기 위해서 고심했고, 자리를 얻고 나서는 그 자리를 잃지나 않을까? 걱정했다. 그리고 그 자리를 잃지 않기 위해서 부당한 지시도 거절하지 않고 했다. 그들에게는 정의도, 국민도, 양심도 없었다. 용기없는자, 스스로 생각하지 못하는자, 잘못된 지시를 거절할 수 없는자는 우리 국민은 물론이고, 그 자신도 불행해진다는 사실을 공자는 말하고 있다.

  공자는 우리들에게 충고를 잊지 않고 한다. 어릴 적에는 혈기가 아직 안정되지 않았으니 경계함이 색에 있고, 커서는 혈기가 한창 강건하니 경계함이 싸움에 있고, 늙어서는 혈기가 이미 쇠미하니 경계함이 이익에 있다.(孔子曰 君子有三戒 少之時 血氣未定 戒之在色 及其壯也 血氣方剛 戒之在鬪 及其老也 血氣旣衰라 戒之在得) 도올 선생은 도식적인 이 말을 공자가 했을리가 없다고 단언한다. 도식적인 설명임에는 분명하지만, 오늘날 우리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야동에 빠져 있는 청소년들, 혈기가 왕성해서 순간의 화를 참지 못해서 주먹을 쓰는 젊은이들, 노욕이 지나쳐서 P집회에 나와서 눈물흘리는 노인들의 모습!! 이런 모습이 우리의 전체모습은 아니지만, 우리의 일부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분명하다. 그중에서도 한세월을 살아온 연륜 있는 노인들이 P집회에 나와서 차마듣기 힘든 말들을 쏟아내는 모습은 우리를 너무도 서글프게 만든다. 흥선 대원군이 민씨일파에 의해서 권력에서 쫒겨나고 나서 부단히 재기하려 몸부림치다가 추잡한 모습을 보였듯이, 이시대의 노인들은 곱게 늙어갈 기회를 스스로 내팽겨치고 있다. 떠날때를 알고 떠나시는 님의 모습이 아름다운 이유를 이시대의 노인들은 언제쯤 알게 될까?

  땅에 넘어진자! 땅을 딛고 일어서야한다는 지눌국사의 말처럼, 혼탁해진 한국사회를 개혁하기 위해서는 혼탁한 한국사회를 딛고 일어서야한다. 논어에서는 자로의 입을 빌어 '내 몸 하나를 정결히 지키고자 하다가 사회의 대륜을 어지럽힐 수도 있는 것이니, 군자가 벼슬을 꾀함은 오직 그 의를 행하려함이로소이다.(欲絜其身, 而亂大倫. 君子之仕也, 行其義也.)라고 했다. 정치를 떠나 은둔하며 고고히 살아간다면 자신의 몸은 깨끗이 보존할 수 있다. 그러나 정의롭지 못한 현실은 변하지 않게 된다. 정치를 하려면 자신의 손에 더러운 구정물을 묻히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않된다는 말이 있다. 용기있게 세상의 구정물을 묻히며, 적폐를 청산하려 혈투를 벌이는 정치인들을 응원해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2. 공자는 어찌 생각했을까?

  공자님, 한쪽 뺨을 맞으셨다면 어찌하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을 한다면 당신은 공자가 어찌 대답했을 것이라 생각하는가? 예수님 처럼 다른쪽 뺨을 내밀었을까? 아니면, 덕으로 갚으라했을까? 공자는 곧음으로 갚으라했다. 원한을 덕으로서 갚는다면 덕을 무엇으로 갚겠는가? 원한은 곧음으로 갚고, 덕은 덕으로 갚는 것이 정당하다고 공자는 생각했다.(或曰, “以德報怨, 何如?” 子曰, “何以報德? 以直報怨, 以德報德)  원수를 사랑하라는 예수님과는 달리, 공자님은 그들이 잘못한 것은 곧음으로 갚아 정의를 바로세우라는 날카로운 말씀을 하신 것이다. 고 김대중 대통령이 헌정질서를 어지럽힌 자들을 사면했다. 그리고 그 적폐세력은 사관학교 사열을 받았으며, 회고록에서 자신이 희생자라고 말하고 있다. 원수를 덕으로 갚은 결과이다. 개과천선할 의지도 능력도 없는 자들을 사랑으로 감싸안으면 그들은 자신에게 다시 힘이 생긴다면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한다. 현재! 적폐세력을 제대로 척결하지 않는다면 그 세력은 다시 일어설 것이다. 그리고 다시 우리의 미래를 짓밟을 것이다.

  공자님, 소인이 모시던 주군이 죽었습니다. 따라 죽어야할까요? 아니면 소인의 주군을 죽인 그분에게 의탁해서 능력을 펼칠까요? 이 질문에 공자는 어찌 대답할까? 대의를 위해서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버려라! 너는 죽지만 나의 의기는 많은 이의 가슴에 길이 빛날 것이다. 라는 말을 공자가 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공자는 주군과 같이 죽지 않고 주군을 죽인 환공밑에서 재상을 한 관중을 높이 평가한다. 관중이 없었으면, 그는 오랑캐의 풍속을 따르며 살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보통사람들이 조그마한 신의를 위해 자신의 결백을 입증코자 작은 도랑가에서 스스로 목매달아 죽어도 아무도 거들떠 보지도 아니한다며 관중을 높이 평가한다.(子貢曰, 管仲非仁者與? 桓公殺公子糾, 不能死, 又相之.” 子曰, “管仲相桓公, 霸諸侯, 一匡天下, 民到于今受其賜. 微管仲, 吾其被髮左衽矣. 豈若匹夫匹婦之爲諒也, 自經於溝瀆而莫之知也?) 무조건 절개만을 강조하는 조선의 교조적인 유학자들의 생각과는 다른 공자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연합군에 항복하기 보다는 옥같이 부서지겠다며 반자이를 외치며 돌격을 하는 일본군과도 비교된다. 공자는 결코 목숨을 가볍게 생각하지 않았다. 진정! 용기있는 사람은 목숨을 중히여긴다. 한신처럼 대의를 위해서 지금의 치욕을 참을 수 있는자! 그가 바로 참다운 군자인 것이다.

  공자님. 선불교의 참선법을 아시나요? 고요히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수행법입니다. 공자님, 참선을 통해서 진정한 깨달음의 경지에 올라가 보시지요? 라는 질문에 공자는 어떻게 대답할까? 공자는 참선보다는 공부를 더 좋아했다. 하루종일 밥도 먹지않고 잠도자지 않고 생각만 해보았더니 별로 유익하지 못했다. 역시 배우는 것만 같지 못하다.(子曰 吾嘗終日不食 終夜不寢 以思 無益  不如學也)고했다. 만약 공자가 불교를 접했다면 선종보다는 교종에 호감을 갖았을 것이다.

 

3. 도올! 송유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다.

"四體不勤 五穀不分 孰爲夫子" 이글을 어떻게 해석해야할까? '사지를 움직여 부지런히 일하지도 않고, 오곡도 분별치 못하면서 (당신은) 누구를 가리켜 스승이라하는냐'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반면 도올은 '팔다리를 부지런히 움직이지도 않고 오곡도 제대로 분간 못하는 그 자를, 누가 선생이라고 일컫는가?'라고 번역한다. 무슨 차이일까? 노인이 비난하는 자를 자로로 볼 것인가? 공자로 볼것인가? 라는 차이가 있다. 전통적인 송나라 유학자들은 공자를 높이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자로를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도올은 이러한 전통적 해석에 얽매이지 않는다. 이것이 도올 해석의 강점이다. 공자마져도 동시대의 사람으로 여기며 그를 냉정하게 대하는 그의 해석이 빛나는 부분이다.

  도올은 자공이 스승 공자를 지나치게 숭배하는 것도 경계한다. 공자가 나라를 다스린다면 살아계실 때 그 나라의 백성들이 영예롭게 생각하고, 돌아가시면 그 나라의 백성들이 애통해 할 것이니, 누가 어떻게 부자의 경지에 미칠 수 있단 말이냐(其生也榮, 其死也哀, 如之何其可及也)라는 자공의 말에 '우리는 공자를 과도하게 정치화시키는 해석을 가할 필요는 없다.'고 일침을 가한다. 공자를 사랑하지만, 공자 옆에서 한걸음 물러나서 그를 냉정히 볼 수 있는 눈을 도올은 가지고 있다. 이러한 냉정함을 가질 때만이 우리는 공자를 뛰어 넘을 수 있다. '아직도 나의 제자로 남아있는 자보다 더 나뿐 제자는 없다.'라고 말한 니체의 호통소리를 조선의 유학자들과 지금 공자를 사랑하는 자들은 되새겨야할 것이다. 

 

4. 도올! 해석에 이의있습니다.!!

  도올의 해석이 매양 공감이 가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도올의 해석에 공감하지 못하는 부분도 많다. 몇가지 예를 들어보자.

  공자가 '가장 뛰어난 현자는 자기가 살고 있는 세상을 피해버리고, 그다음으로 현명한 사람은 나라를 피하고, 그 다음으로 현명한 사람은 색을 피하고, 그 다음으로 현명한 사람은 말을 피한다.'라고 말했다. 그런데, 도올은 "별로 중요한 말이 아니다."라며 공자의 이 말에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애써 외면하고 있다. 도올은 공자는 은일지사가 아니라 현실 개혁적인 사람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그러니 가장 뛰어난 현자는 자기가 살고 있는 세상을 피한다는 말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도올이 지적했듯이 공자는 째즈 아티스트이다. 공자는 어떠한 절대적인 원칙에 얽매이지 않는다. 째즈 아티스트 처럼!! 아마도, 이 말을 하던 공자의 상황은, 가장 더러운 세상을 만났을 때 군자의 처세방법을 말했을 것이다.  

  "上好禮 則民易使也 "라는 문장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도올은 '윗 사람이 예를 좋아하면, 예에 의하여 교화된 백성은 부리기가 쉽다.'라고 해석했다. 유가의 리더십의 원칙은 솔선수범이라고 지적하고, 현대민주정에도 항상 들어맞는 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예라는 것은 수직적 질서이다. 신분과 존귀, 서열을 강조하는 것이 바로 '예'이다. '예'는 불평등을 전제로한 통치 이데올로기일 뿐인데, 윗사람이 예를 강조한다는 것은 자신이 군림하기 위한 질서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말이된다. 이것이 어찌 현대민주정치에도 항상 들어맞을 수 있단 말인가?

  원대한 이상을 실현하는데 소도에 이착함이 장애가 될까 두렵다. 그러므로 군자는 소도에는 집착하지 않는다(子夏曰 雖小道 必有可觀者焉致遠恐泥. 是以君子不爲也).라는 자하의 말에 동의하는가? 날카로운 비판을 하던 도올이 이 문장에 대한 비판을 하지 않아 나를 당황스럽게 했다. 여기서 소도는 '농사, 원예, 의술, 점복'과 같은 지엽적 기술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엽적 기술도 대학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조그만 미물에게서 대우주의 진리를 보는 것은 보는자의 눈에 달려있다. 그만한 그릇이 되지 않는다면 아무리 큰 진리를 보아도 깨닫지 못할 것이다.

 

  논어!! 이 책의 내용 중에서 '아버지의 신하와 정치방식을 바꾸지 않는' 것을 강조하는 내용을 비롯해서 21세기에 공감이 되지 않는 내용도 많이있다. 그 뿐아니라, 도올의 해석이 마음에 들지 않아, 인터넷'논어정석풀이'를 참조하기도했다. 상론에서는 '주희 집주'를 상세히 풀이해주어서 이해를 쉽게 해주었으나, 하론에서는 이를 생략하여, 한자실력이 일천한 나로서는 무척이나 읽기 불편했다. 그럼에도 3년의 시간 동안 논어를 놓지 않으며 깨달음을 얻고자 했다. 이러한 부단한 과정이 무척이나 힘들었다.  '도올 논어 한글역주'를 탈고하면서 도올은 "공부하고 싶다. 정말 공부하고 싶다.", "이제 다시 시작이다. 젊은 날의 꿈이여"라고 절규하고 있다. 학문적 성취를 많이한 도올이 다시 공부하고 싶다고 부르짖는 모습을 떠올리며 진정한 학자의 못습은 과연 어떠해야하는지를 다시한번 생각해본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1-30 05: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30 05: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30 06: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30 06: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30 06: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30 06: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NamGiKim 2018-01-31 17: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긴 서평 매우 잘 읽었습니다. 사실 제가 지식과 공부가 짧고 아직 20대라 논어나 제자백가 사상을 낡은 것으로만 생각하던 인식이 알게모르게 존재했었는데 이 서평을 읽고나니 관점이 달라지네요. 무엇보다 현재의 상황에 맞춰 설명한 점은 매우 놀랍습니다. 저희 아버지가 왜 논어나 제자백가 사상을 자주 얘기하는지 나름 이해가 됩니다. 무튼 좋은 서평 감사합니다.

강나루 2018-01-31 17:22   좋아요 1 | URL
고전은 오늘을 비출 수 있는 거울이어야 가치있다고 생각합니다 님의 따뜻한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