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ㅣ 우리 역사 바로잡기 1
이덕일, 김병기, 신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6년 11월
평점 :
아주 오랜만에 고조선과 관련된 책을 읽었다. 대학을 다니던 시절에 고조선과 관련된 책들과 논문을 읽었다. 원사료를 접하지 못했던 나는 학자들이 제시하는 사료들과 그들만의 해석방식을 쫓아가기에도 벅찼다. 고조선을 연구하고 싶다던 나의 소망은 너무도 단편적인 사료를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논문들 사이에서 길을 잃게 되었다. 결국 그래도 고조선보다는 사료가 많은 백제사를 전공하기로 결심했다. 이덕일의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라는 책은 그때의 아련한 추억을 되새기게해주었다. 윤내현 교수님에게 강의를 들으며, 고조선은 대제국이었다고 생각하다가, 서영수 교수님에게 강의를 들으면, 고조선의 강역을 크게만 포장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주장이며, 큰것만이 무조건 좋다는 잘못된 생각이라는 생각을 하곤했다. 나름 10여년이 지나고 다시 고조선에 관한 역사서를 읽으며, 과연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을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이를 풀어 헤치는 험난 길을 간다.
이덕일의 주장은 대부분 윤내현 교수님의 학설을 따르고 있다. 윤내현 교수님은 하버드대학에서 북한의 고고학자료와 고조선 연구 자료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그래서 관련 논문을 복사해서 고조선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갑골문의 권위자인 윤내현교수님이 고조선연구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그리고 윤내현 교수님은 북한이 이지린의 학설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지린은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영향을 받았고.... 윤내현 교수님과 이덕일은 민족주의 역사학자인 신채호, 박은식, 정인보 선생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김준엽 교수가 이덕일을 단재사학을 계승한 인물로 평가하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결국, 이책의 상당수의 내용들은 윤내현 교수님의 강의와 관련 서적을 통해서 이미 익숙히 알던 것들이다. 단지 새로운 점이 있다면, 칼라시진들이 중국에 있는 고조선 관련 유물과 현장사진을 실감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책을 다 읽고 상념에 잡히게된다. 높은 언덕에서 안개에 뒤덮힌 마을을 내려다 보는 느낌이다. 안개사이로 조금 모습을 드러낸 마을의 일부분을 보고서, 마을의 전체를 설명하는 듯한 인상을 많이 받았다. 이는 다른 고조선 관련 논문을 읽어도 마찬가지이다. 문헌사료는 너무도 양이 적고, 고고학자료는 학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도구로 이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이덕일과 윤내현 교수님의 주장에 많은 공감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특히, 낙랑군과 낙랑국을 구분해야한다는 주장은 상당히 공감하다. 분명!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이야기 처럼 대무신왕 시기에 이미 망해버린 '낙랑'을 교과서에서는 미천왕때 망했다고 배운다. 삼국사기를 읽을 때, 너무도 의문이 많이 들었다. 낙랑이 어찌해서 두번 망할까?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다고 생각하는 선입견을 제거하고 삼국사기를 읽으면 그 의문은 말끔히 해결된다. 삼국사기에는 분명 호동왕자가 멸망시킨 낙랑을 '낙랑국'이라고 하고 있다. 한사군의 일부가 아닌, 당당한 한개의 국가로 적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한가람연구소를 중심으로 많은 역사학자들이 관련 연구를 해주길 바란다. 내가 하고 싶었던 연구를 그들이 대신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