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d cleared his throat. "Chris, please don‘t beat yourself up," he said slowly. "Mom knows you love her so much. Listen, this wasa scary thing that happened today. It‘s natural for you to be upset. When something scary like this happens, it acts like a wake-up call, you know? It makes us reassess what‘s important in life. Our family. - P169

Our friends. The people we love." He was looking at me while hewas talking, but I almost felt like he was talking to himself. His eyeswere very moist. "Let‘s just be grateful she‘s fine, okay, Chris? Andwe‘ll take really good care of her together, okay?"
I nodded. I didn‘t try to say anything, though. I knew it wouldjust come out as more tears.
Dad pulled me close to him, but he didn‘t say anything, either. Maybe for the same reason. - P1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장 가족 중심 관점에서 여성 인권 관점으로

그러므로 어떤 의미에서 이 글의 초점은 가족이라기보다 폭력이다. 즉 본 연구가 밝히고자 한 것은 가족이 해체되어야 하는 이유가 아니라, ‘아내 폭력‘이 재생산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었다. 이 연구는 가족 관계에서는 폭력이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족에서는 폭력이 발생할 리가 없다‘는 담론에 대한 비판이다.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포함하여 모든 인간 관계가 권력 관계라면, 어떤 의미에서 폭력은 불가피한 인간 문제이다. 나의 관심은 부부 간에 폭력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아니라 부부 간에는 폭력이 발생할 리 없다고 믿게 하는 사회적 권력은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었다. ‘아내 폭력‘이 문제화되어야 하는 이유는 폭력이 가족 관계에서 발생해서라기보다는 가족 내 성 역할 규범을 통해 폭력이 정상화, 사적화(私的化, privatization)되기 때문이다. - P2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장 폭력 남편이 인식하는 아내 폭력

기존의 여성 폭력 가해자 연구들은 이들의 폭력 부정을 방어 기제 혹은 정당화로 설명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폭력을 나쁘다고 보는 연구자의 생각으로서, 폭력 남성의 사고방식을 그대로 드러내주지 못한다. 원래 자아방어기제 (ego defencemechanism)란 프로이트 심리학에서 발전된 것으로서 자아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개념이다. 그러나 그들은 아타(我他)의 경계로서 자아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들에게는 방어할 자아가 없다. 세상이 모두 자기(남성)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자신의 확장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폭력 부정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믿는 바, 생각하는 바 그대로이기 때문에 다른 문제로 치환(置換)하여 인식할 필요가 없다. 그들은 자기들의 행동이 정당하기 때문에 굳이 합리화‘, 정당‘화‘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들의 폭력 부정은 방어 기제가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인식 구조를 확실히 하는 일종의 공격 방법이다. 자아가 없다는 것은 자신의 자아가 타인의 자아와 부딪칠 때 생기는 갈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의 행위를 남편의 권리와 의무로 생각하기 때문에 아내를 구타한 후 죄책감이나 연민, 아내의 고통에 대한 반응(sensitive)이 없다. 이제는 남편으로서 ‘옳은 행동‘(폭력)을 법으로까지 제재하는 세상이 왔으므로 여자들이 ‘무서운‘ 지경이 된다. 자신이 폭력을 행사했다는 아내와 이 사회의 주장은 자신의 신념을 억압하는 것이다. - P112

아내를 어머니의 대체물로 보고 모성성을 요구하는 ‘한국적‘ 남성성의 특성은 조혜정 (1988)과 신용구(2000)의 연구에서도 지적되고 있다. 신용구는 <박정희 정신분석, 신화는 없다》에서 육영수가 박정희의 충동성을 조절하는 강력한 초자아(超自我)이자 구강기적(口腔期的) 욕구를 채워주는 어머니였다고 분석하고 있다. - P126

성 역할 구분은 ‘사소한‘ 폭력에서 범죄로 명명될 수 있는 극단적인 폭력에까지 모두 작동한다. ‘부부 싸움‘이나 가부장적 테러리즘은 결국 같은 사회 구조와 논리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이다. 이는 ‘아내 폭력‘이 부부 관계의 극단적, 예외적 일탈적 사건이 아니라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일상적인 ‘정상‘ 규범임을 말해준다. ‘맞을 짓‘이란 분명히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여성과 남성이 가족 제도를 통해아내와 남편이 되었을 때만 발효된다. 현재의 가족 제도에서 ‘맞을짓‘은 남녀의 역할 규범 그 자체에서 발생한다. - P152

5장 폭력을 수용하는 아내의 심리

남편은 가족 없이 살아가지 못한다. 결혼 관계에서 폭력은 남편이관계의 유지를 위해서건 청산을 위해서건,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기위해 가장 손쉽게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이다. 두 사람 간의 이해 갈등 상황에서 남편은 아내보다 훨씬 쉽게 폭력을 선택할 수 있다는점에서 폭력은 남성적인 자원이다. 가정 외 폭력에서도 폭력 행위주체가 대부분 남성이라는 점에서 폭력은 성별화된 사회 현상이다. - P156

사례의 폭력 남편들은 자신의 남자다움을 위해 사회적으로 성공하거나 돈을 벌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본 연구의 50사례 49명)의 남편 중 약 40퍼센트인 19사례가 무직이었다. 직업이 있다 해도 부인과 함께 자영업을 하는 경우는 대부분 아내 혼자 일했다. 이 문제로 아내가 불만스러워하거나 항의하면 남편은 폭력으로 대응한다. 이는 현대 가부장적 자본주의 사회를 유지하는 근본 원리인 성별 분업‘ 논리가 실제로는 분업이 아니라 협박과 강제 속에서 여성의 이중 노동에 의해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실제로 여성은 세계 공식 노동력의 3분의 1, 비공식 노동력의 5분의 4를 담당하면서, 전 세계수입의 10퍼센트만을 받으며 세계 재산의 1퍼센트만을 소유한다.) - P158

아내는 자신이 당한 폭력을 참아야 하는 -> 참을 수밖에 없는 -> 참을 만한 폭력으로 인식한다. 가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직면한 현실을 일시적, 우연적인 것으로 만들어 폭력 사건을 특수한 경험으로 축소해야 한다. 특히 남편의 폭력이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아내들이 나에게 가장 많이 했던 질문은 ‘보시기에 몇 퍼센트나 고쳐지나요? 우리 남편이 고쳐질 타입인가요? 그것을 어떻게하면 알 수 있나요? 시간이 흐르면 나아지겠지요? 이렇게까지 했는데 설마 또 때리지는 않겠지요?‘ 등이다. 아내는 자신이 당한 폭력을 그 자체로 인식하지 않는다. 폭력을 ‘있는 그대로‘ 해석할 수 있는 언어도 없지만, 있는 그대로 해석한다면 남편/가족을 떠나야 하는 더 큰 문제와 마주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그들을 분열과 혼란, 끝없는 고민과 질문 속으로 밀어 넣는다. - P166

딸한테는 ‘아빠가 아파서 그런 거다. 저건 술 먹으면 생기는 병이다.‘ 아이한테 그렇게 안정을 시켜요. (34세, 대학원졸, 전문직, 여성)

아이들이 너무 충격을 받으니까 ‘지금 아빠는 깊은 병에 걸렸단다.
우리가 아빠를 도와서 어서 낫게 해 드려야 돼, 너희들은 아빠를 미워하면 안 돼.‘ (41세, 고졸, 자영업, 여성) - P173

이러한 사고방식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들이 갈등 상황에 직면했을 때 대응하는 익숙한 방식이기도 하다. 남성은 문제의 원인을 남의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지만(투사) 여성은 자기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크다(내사內射). 투사로 인한 분노가 남성의 질병이라면, 내사(introjection) 심리는 여성적 질병인 우울증의 가장 큰 원인이다.
아내는 남편의 규범을 자신의 인격 내부로 받아들임으로써 남편에 대한 적의를 자신의 문제로 만든다. 아내가 ‘맞을 짓‘을 해서 폭력이 발생했다는 논리는 남편만의 주장이 아니라 아내 자신도 그렇게 생각하는데, 이는 허위 의식이 아니라 성별 관계에 의해 폭력이 정당해진다는 진리 체계가 작동한 결과이다. 투사나 내사는 같은 문제에 대한 성별화된 심리 현상이다. 모두 타인과 자신을 분리하지 못해 나타나는 것으로 아내의 주체성과 개별성에는 혼란이 올 수밖에 없다. - P180

6장 아내 정체성과 가족 정치학

공적 영역에서 여성의 참여가 봉쇄되는 대신, 가정에서 여성의 책임과 역할은 극대화된다. 이른바 한국적 가부장제에 대한 많은 연 - P192

구들은 한국 사회 가부장제의 특성을 공사(내외) 유별(有別) 의식에 기초한 사적 영역에서의 여성의 ‘지나친 권력‘이라고 본다. 공적 영역에서 여성은 철저히 배제되었지만 사적 영역에서 아내, 어머니로서의 권력은 혹독한 가부장제를 견디게 하는 중요한 동인이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사적 영역에서 여성의 권력이 지나치게 비대한 한국 사회에서 왜 그토록 아내 구타가 많은가이다. 이 질문은 언뜻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일치한다. 사적 영역에서 여성의 권력은 사실 권력이라기보다 역할과 의무이다. 여성이 사적 영역의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여성이 사적인 존재로 인식되는 한, 그리고 가정이 권력 작용이 일어나는 정치적 공간이 아니라 자연적안식처라는 생각이 지배하는 한, 사회는 가정 폭력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므로 ‘아내 폭력‘은 지속될 것이다. - P193

‘아내 폭력‘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이 여성의 몸을 남성의 의지대로 규율하는 (아마도 가장 극단적인 상태이다. 폭력은 개인을전혀 다른 사람으로 만들 수 있는 권력이다. 폭력당한 사람은 그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 고통(trauma)의 생존자들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고 자신의 의지로 할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는 것을 경험한다. 남편의 폭력을 기억하고있는 여성의 몸은 주체의 의지대로 이동하지 못한다.
공간 지각 능력은 개인이 세계와 만나는 방식에서 능동성과 관련이 있는데, 특히 오랫동안 폭력당한 여성들은 공간 지각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수학자들에 의하면 수학에서 성별 능력 차이가 가장 현격히발견되는 분야는 공간 지각력인데 이는 여성이 수동적으로 사회화되었기때문이라는 것이다. 인간이 존재한다 혹은 살아 있다는 근거는, 곧인간의 몸이 공간의 어느 구체적인 장소에 실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간이 그것을 인식하는 주체로부터 ‘객관적이지 않다는 사실은, 공간이 인식 주체자의 몸을 기준으로 삼아서만 특정하게 인식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몸이 없다면 공간도 인식되지 않는다. 폭력으로 인해 몸의 주체성을 상실한 여성은 자신의 육체가 머물고 있는 공간과 자기와의 관계성(공간에서 자기 몸의 위치성)을 파악하기힘들다. - P2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장 당사자: 연구자, 피해자, 운동가로서 나

나는 증언자들이 어디에도 말할 수 없는 이야기를 털어놓음으로써 그들의 상처가 조금이라도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그것은나의 자기 중심적 기대였을 뿐 그들은 망각하고 회피함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여기서 고통은 신체적 고통(‘아픔‘, pain)과 정신적 고통(‘괴로움‘,
suffering)을 모두 의미한다. 근대 서구 철학에서 고통은 ‘pain‘과
‘suffering‘으로 구분되었고, 의식 작용을 수반하는 정신적 괴로움이 몸의 고통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고통당하는 사람에게 고통은 몸에서 일어나는 정신적이고 감정적인 것으로서 이러한 구분은 무의미하다. 그들의 고통은 절대적인 고통이다. 몸에가해지는 아픔의 느낌은 보편적이어서, 우리가 흔히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로할 때 쓰는 ‘생각하기 나름‘이라든가 ‘네가 강하면 이겨낼수 있다‘ 따위의 고통을 상대화하는 언어는 그들의 고통을 치유하는 데 무기력하며 때론 아무 의미가 없다. - P55

재판 이혼 시 남편의 과실(過失)이 많을수록 위자료나 재산 분할에서 아내에게 유리하지만 사례 여성은 소송장에 남편이 딸과 조카, 이웃집 어린이를 성폭행한 사실을 적지 않았다. 그런데 그 이유가 무려 여덟 가지이다. 내용은 남편에 대한 증오, 사랑, 주변 사람에 대한 걱정, 자책감, 실리적 이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여성의 삶의 맥락에서 ①~⑧이 모두 같은 비중은 아닐 것이다. 내가 그녀의 이야기 중 어느 부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무)반응하느냐에 따라, 그녀는 위와 다르게 진술할 수도 있다. 증언자의 이야기는 연구자의 가치 개입, 듣는 사람과 말하는 사람을 둘러싼 정치적상황과 상호 주관성(inter-subjectivity)에 의해 의미 있는 자료로 선택되기도 하고 그냥 버려지기도 한다. - P75

3장 여성의 눈으로 보는 ‘아내 폭력’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모든 여성이 피지배자로서 근본적인공통점이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여성의 종속이 가부장제가 규정한 남녀 간의 신체적 성차에 근거하기 때문에, 억압의 원인은 여성의 출산과 성행위에 대한 남성의 통제, 곧 여성의 육체에 대한 남성의 통제에 있다고 보았다. 즉, 여성의 몸이 여성 동질성의 최소 단위가 되는 것은 신체 구조가 같기 때문이 아니라 성 차별 사회가 여성의 몸에 부여하는 사회적 평가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의 몸에 대한 - P86

통제는 계급이나 인종에 따른 여성 억압보다 더 근원적인 억압의 형식, 모든 사회적 모순들의 마지막 원인이라는 것이다. - P87

여성 폭력에 대한 급진주의 페미니즘 이론의 가장 핵심적인 통찰은 폭력과 폭력을 통한 위협, 공포는 권력 관계의 부산물이나 이차적인 것이 아니라 위계 관계의 구조적인 토대로서 남성 지배와 여성 종속의 중요한 동인(動因)이라는 것이다. 즉, 남성 폭력은 그 자체로 독립적인 권력의 한 형태이다. - P88

‘아내 폭력‘처럼 남성 중심적(가해자 중심적) 시각이 가시적이고 체계적인 영역도 없다. 사회는 남성의 폭력행동 자체에 대한 정치적인 분석과 비판보다는 남성이 폭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과이유에 초점을 둔다. 남편은 아내를 때릴 수 있다는 사실을 전제하기 때문에 언제나 ‘아내 폭력‘ 현상은 성(차)별적으로 해석된다. 피해 여성과 가해 남성의 경험이 해석, 재현, 담론화되는 데 이미 그출발선이 다른 것이다. ‘아내 폭력‘은 현재의 가족 제도와 사회 구조를 지탱하고 있는 성별 관계에 의한 여성 문제들 간의 연관성을 이해하지 않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아내 폭력‘에 대한 질문은 (안때릴 수도 있는데 왜 때리는가‘보다는, ‘아내를 때릴 수 있는 권력은 어디에서 나오는가‘로 전환되어야 한다. - P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luto

"Chris, what do you want me to say?" Mom answered. "They‘re our friends. Isabel is my good friend, just like Auggie is your good friend. And when good friends need us, we do what we can to help them, right? We can‘t just be friends when it‘s convenient. Good friendships are worth a little extra effort!"
When I didn‘t say anything, she kissed my hand.
"I promise I‘ll only be a few minutes late," she said.
But she wasn‘t just a few minutes late. She ended up being morethan an hour late.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