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해가 되었다. 2018년이다. 해가 바뀌어 나이만 한 살 더 먹는다고 생각하면 왠지 억울하다. 그 이유를 찬찬히 생각해 보니 알겠다. 뭐 하나 이룬 것 없이 시간을 보냈다는 게 억울한 것이다. 또 찬찬히 생각해 보니 알겠다. 한 해를 허투루 보낸 건 아니라는 것을. 책을 읽었고 발레를 배운 한 해였기 때문이다. 책을 읽어서 조금이라도 지혜로워졌을 테니, 책을 읽어서 조금이라도 글쓰기가 나아졌을 테니 한 해를 보냄이 억울하기만 한 게 아니다. 발레 실력도 향상되었을 터이다. 그러니 시간이 흐른다는 것은 내가 성장하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도 되지 않을까. 이렇게 정리하고 나니 비가 온 뒤의 세상을 본 것처럼 기분이 산뜻해진다.
2.
작년에 두 달쯤 친정어머니가 병원에 입원하셨고 퇴원한 뒤에도 자주 병원에 모시고 가야 했다. 이러다가 돌아가시는 게 아닌지 긴장할 때가 많았다. 힘든 한 해였다.
한 해 동안 사느라 수고했다고 여겨 내가 나에게 선물을 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107/pimg_7179641831812403.jpg)
코트를 샀다. 사이즈는 55.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107/pimg_7179641831812407.jpg)
백팩을 샀다. 색깔은 감색.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107/pimg_7179641831812408.jpg)
그래서 백팩이 세 개가 되었다.
저 코트에 백팩을 메고 다닐 것이다. 어울리려나? 남들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해도 난 백팩을 메고 다닐 것이다. 백팩을 메고 다닌 사람은 알겠지만 다른 가방에 비해 편하기 때문이다.
책 다섯 권을 샀다. 그중 두 권만 공개한다. 이 두 권을 사고 얼마나 뿌듯했는지...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데이비드 이글먼, <더 브레인>
둘 다 내가 좋아할 만한 책이다. 벌써 밑줄을 그은 글이 많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107/pimg_7179641831812411.jpg)
3.
고뇌하는 인간이 되어야 한다.
세상에는 괴물 같은 사람이 많다. 영화 속에도 많고 현실 속에도 많다. 남에게 해를 끼쳐서 자신의 욕심을 채우는 사람만 괴물인 게 아니다. 자신의 말이 상대의 입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일지를 헤아려 보지 않고 함부로 말을 할 때 그 말은 때로 흉악한 도구가 되어 남의 가슴에 못을 박는다. 이럴 때 그는 괴물과 다를 게 없는 사람이 된다.
누군가에게 갑질을 하는 사람은 자신이 지금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잊고 있는 건 아닐까.
..........
한 여성이 공중파 방송에 출연해 ‘키 작은 남자는 패배자’라고 말해 공분을 사게 된 일도 결코 우발적인 사건이 아니다. 그 말은 홍대를 다니는 한 여성이 한 말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무의식이 한 말이다.(275쪽)
잘 알려진 대로 톨스토이의 문학과 그의 삶 사이에는 큰 괴리가 있었다. 문호 톨스토이는 인류의 교사를 자임했지만 인간 톨스토이는 자기 자신의 가장 열등한 제자였다. 그러나 그는 그 괴리를 좁히기 위해 고뇌했고 그것이 톨스토이를 위대한 인물이 되게 했다. 고뇌는 공동체의 배수진이다. 그 진지가 무너지면 우리는 괴물이 되고 말 것이다.(275쪽)
- 신형철, <느낌의 공동체>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