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래전, 어느 문화센터에서 수필 강의를 듣던 시절에 있었던 일이다. 첫 수업 때 신입 수강생이 자기소개를 하는 시간이 있었다. 내 차례가 되었을 때 이렇게 말했다.

 

 

“안녕하세요. 초보자의 마음으로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겸손하게 말하기 위해 그렇게 말했다. 최대한 나를 낮추고 싶었던 게 내 의도였다. 그런데 그날 집에 돌아오는 차 안에서, '자기소개'의 인사말에 문제가 있음을 깨달았다. 초보자의 마음으로 열심히 배우겠다는 말은 이미 초보자가 아니라는 말이 아닌가. 초보자는 아니지만 초보자의 낮은 자세로 임하겠다는 뜻이 아닌가.

 

 

아마 나는 문학의 초보자가 아니라고 생각한 모양이다. 이미 몇 년 동안 소설, 드라마, 추리소설, 시 등의 강의를 들었고 습작도 해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걸 말하고 싶었던 건 아니었다. 나도 모르게 초보자가 아니라는 뜻을 담은 말을 실수로 했을 뿐이다. 그래서 ‘겸손하기도 힘든 거구나’하고 생각했다.

 

 

말에는 그 사람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2.

대중목욕탕에서 있었던 일이다. 거기서 팔십 세쯤으로 보이는 노인이 나와 눈이 마주치자 말했다.

 

 

“새댁은 젊어서 좋겠다. 돈보다 좋은 건 젊음이야.”

 

 

“저, 새댁 아닌데요.”

 

 

“내 눈엔 젊으면 다 새댁으로 보여.”

 

 

그렇겠구나. 노인이 되면 노인이 아닌 사람은 다 젊어 보이겠구나 싶었다. 그리고 노인의 짧은 말에서 어떤 사실을 짐작할 수 있었다. 돈보다 좋은 건 젊음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노인은 가난하게 살지 않았거나 지금 가난하지 않을 것 같다, 라는 것이다. 가난하게 산 사람은 또는 현재 가난한 사람은 그렇게 말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돈이 없어 고생한 사람은 돈이 좋은 거라고 말했을 것이다. 젊음은 누구나 한때 가질 수 있는 것이지만 돈은 그렇지 않으니까. 돈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삶이 달라질 수 있으니까.

 

 

말에는 그 사람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3.

누군가가 멋진 가방을 삼십만 원에 샀다고 말하면, 사람들은 두 가지로 반응할 수 있다.

 

 

“멋진 가방을 싸게 잘 샀네.” 또는 “멋진 가방이지만 왜 그렇게 비싸.”

 

 

이런 반응에서 그 사람이 갖고 있는 가방의 가격을 짐작할 수 있다. 삼십만 원보다 훨씬 높은 가격의 가방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그 가방이 싸 보일 수 있고, 삼십만 원보다 훨씬 낮은 가격의 가방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그 가방이 비싸 보일 수 있으니까. 그래서 그 사람의 경제적 형편까지 추측해 볼 수 있다.

 

 

말에는 그 사람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4.

최근 김어준 저, <닥치고 정치>를 읽었다. BBK, 삼성 기업, 이명박 대통령과 여러 정치인들 등에 대한 놀라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책이다. 그런데 내가 가장 흥미를 느낀 것은 그런 것들보다 저자의 남다른 통찰이 돋보이는 대목, 정치인 ‘조국’에 관한 글이었다.

 

 

 

 

 

(조국은) 공부 잘하고 잘생긴 아이로 칭찬받으며 성장했을 것이고, 그 경쟁에서 항상 선두에 있었을 것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의를 위해 직접 나서기까지 했고 또 하고 있으니까. 그런 삶을 통해 자신의 몸에 스며든 애티튜드가 있을 텐데, 그게 그런 문장(그의 글을 말함) 뒤에 자리하고 있다고 느껴버리는 거지. 사실 조국 정도면 스스로 대견해하고도 남지. 그 정도 남자가 어디 흔한가.

 

 

그런데 대중이 정치인 조국에게서 그런 걸 느껴버리면 조국은 조국만의 가치를 급속히 상실하게 된다고. 진보는 자기가 가진 게 당연해선 안 되는 거거든. 누구도 가진 게 당연한 사람은 없는 법이고. 그러니까 조국이 전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자신이 가진 자산 때문에 대중 일반에게 야기할 수밖에 없는 모종의 박탈감, 그것까지 감지하고 배려할 정도의 섬세한 대중 감수성, 그게 부족하다. 물론 조국은 억울하겠지. 하지만 어떡해. 가진 게 죄지.(웃음)

 

 

- 김어준 저, <닥치고 정치>에서.

 

 

 

 

‘조국’이란 정치인이 ‘진짜 오만한 사람이라고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그렇게 읽힌다’는 글이다. “자신은 전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그렇게 느껴질 수 있는 애티튜드가 지속적으로 유포된다.”는 것이다.

 

 

자신의 말(또는 글)을 객관화할 수 있는 ‘섬세한 감수성’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 표현 방식으로 말하면, 말에는 그 사람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12-08-29 1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댁이시네요~ ㅎㅎ 맞아요. 나이가 들면, 더 젊어보이는 사람들이 애들로 보이죠.
모든 게 상대적이에요. 그쵸? 정보라는 것도... 그렇지 않을까요?

페크pek0501 2012-08-30 13:56   좋아요 0 | URL
맞아요, 글샘 님. 모든 게 상대적이에요.
같은 말을 해도 듣는 이에 따라 해석이 달라요.
그리고 저, 새댁이에요. ㅋㅋ

마립간 2012-08-29 1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4번 글 ; (억울함때문에 기본을 포기)하지 않는 용기가 있다면 좋겠어요.

페크pek0501 2012-08-30 13:58   좋아요 0 | URL
아, 마립간 님. 매우 오랜만인 것 같군요. 제가 자주 방문해야 하는 건데... 미안한 마음이 드네요.
용기... 제가 요즘 그 용기가 없어서 글을 못 쓰고 있어요. 용기를 사러 백화점에 가야겠어요. 농담임... 반갑습니다. ^^

프레이야 2012-08-29 2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의 내용뿐만 아니라 단어선택, 어조, 억양 등에도 정보가 담겨있지요. 페크님, 저도 가끔 새댁 소리 들어요. 아가씨라고까지ㅋㅋ 나이 드신 분들 눈엔 새파란 청춘으로 보이나 봐요. 아무튼 말을 잘하기란 정말 어려워요. 진심을 제대로 전달하고 소통하는 게 말의 목적이라면 말이죠. ^^

페크pek0501 2012-08-30 14:02   좋아요 0 | URL
프레이야 님이 세세하게 잘 설명하셨네요. 말하기 정말 어렵다고 느낄 때가 있어요. 그래서 큰 모임 같은 데는 잘 가게 되지 않고 맘에 맞는 소수의 사람들만 만나져요. 괜한 오해를 받는 게 싫어서 말이죠.
프레이야 님, 오늘 가을 같아요. 비가 오고 서늘해요. 보일러를 켜야 할까요? ㅋㅋ 긴 팔의 옷으로 갈아 입어야 하는 거죠? 지금 반바지 차림임...ㅋ
그리고 님도 저처럼 새댁 같은 동안? 히히~~

비로그인 2012-08-29 2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이지 공감가는 글이네요. 뱉고 나서 곱씹게 되는 게 말이라니... 곱씹고 나서 내뱉으려면 신경을 아주 많이 써야하려나요. 마음하고 연결되어 있기에 말도 참 어려운 거 같아요. 페크님 단상글은 나중에 책으로 묶어도 좋겠어요 ㅎㅎ

페크pek0501 2012-08-30 14:03   좋아요 0 | URL
책? ...
무슨 그런 말씀을... 요즘 맘에 드는 글을 못 써서 의기소침해 있는 제게 힘을 주시는데요. 감사합니다.

마태우스 2012-08-30 0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이지 공감가는 글이네요(2). 초보자의 마음,이 가장 공감됐습니다. 말에 그 사람에 대한 정보가 담겼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되네요. 팬으로서 열심히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 죄송해요 페크언니!

페크pek0501 2012-08-30 14:04   좋아요 0 | URL
마태우스 님이 별 말씀을 다 하시네요. 이 하찮은 글에 댓글을 남겨 주셔서 감사할 따름이에요. 얼마나 바쁘실지 짐작이 갑니다.


숲노래 2012-08-30 0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스로 새내기라고 생각하고 말하면 새내기일 뿐이지요.
남들이 무어라 토를 달건,
스스로 새내기가 되겠다 하는데 남들 말마디 때문에 달라질 삶이란 없어요.

새내기가 아니라서 새내기라 말한다 한들, 새내기가 아니라고 드러낸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새내기이니까 이렇게 말하지요.

아이들은 언제나 "나는 아이인데." 하고 말해요.
아이가 아니라서 아이들이 스스로 '아이'라 말하지는 않겠지요.

페크pek0501 2012-08-30 14:05   좋아요 0 | URL
예, 된장 님. 전달하려는 메시지만 전해졌으면 좋겠어요. 제가 초보자라고 말하면 초보자인 거죠. 저는 지금도 ‘늘 처음처럼’의 자세를 좋아합니다.
반가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