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의 인기를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무 말 없이 다른 사람의 말을 듣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고 한다. 이것이 인기 비결이라고 한다.
김범준, <오십에 읽는 장자>
위나라에 아주 못생긴 사람이 하나 있는데 그의 이름은 애태타입니다. 남자들이 그와 함께 지내면 곁에서 떠나지를 못하고 여자들이 그를 보면 부모에게 청하기를 “다른 사람의 아내가 되느니 애태타의 첩이 되겠다”라고 하는데 그 숫자가 몇 십 명으로 그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애태타가 자기 의견을 주장하는 걸 들은 사람 하나 없습니다. 그는 항상 다른 사람의 생각에 동조할 뿐입니다.
내편 <덕충부> 中에서
(92쪽)
애태타는 그저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누군가에게 힘이 되었습니다. 대단한 선물을 주지 않아도 존재만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인물이었지요. 그러고 보면 사랑이 그리 어렵지만도 않은 듯합니다. 외로운 누군가의 곁에서 ‘아, 내가 혼자가 아니구나’라는 마음이 들도록 이야기를 들어 주면 되니까요. 이제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나 자신을 사랑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 줄 것.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곁에 있어 줄 것. 그렇게 사랑을 실천할 것, 한번 해 보시겠습니까.(98~99쪽)
⇨ 장자에 나오는 애태타는 추남인데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그 이유는 자기 의견을 내세우지 않고 다른 이의 말을 들어 주기 때문이란다. 이것이 쉬운 것 같아도 우리가 막상 해 보려고 하면 쉽지 않으리라. 말하고 싶어 입이 간지러울 테니까.
장자는 ‘왕태’라는 인물과 그를 찾아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비움의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왕태는 발이 하나가 없습니다. 전국 시대에 발이 하나 없다는 건 어떤 죄를 지어 발이 잘렸음을 의미합니다. 상당히 중한 벌이었겠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배우려는 자가 공자의 제자, 노나라 인구를 반씩 갈라 나눠 가질 정도라고 합니다.(207쪽)
왕태의 인기 비결은 화려한 언변도, 찬란한 외모도 아니었습니다. 그는 자신을 찾아온 수많은 사람에게 뭔가를 가르치지도 않았고, 의논하려 하지도 않았습니다. 다만 그저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뿐이었지요. 그런데 왕태를 찾아간 사람들은 왕태의 바로 그 무덤덤한 모습에 매혹됩니다. 그저 매혹된 정도가 아닙니다. 마음속 허전함을 지니고 왕태를 찾아갔던 그 많은 사람은 무엇인가를 가득 얻고 돌아간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교훈을 얻습니다.(208쪽)
하나, 가르치려 하지 말 것.
둘, 괜한 의견은 자제할 것.
셋, 그저 곁에 있을 것.(208쪽)
⇨ 새해부터 내가 말을 많이 하지 않고 다른 이의 말에 귀 기울여 듣는 배려심을 가질 수 있을까?
책은 내게 많은 것을 가르쳐 준다.
오늘도 하나 배웠다.
누군가와 함께 있을 때는 말을 많이 하지 말고 침묵하며 들어 줄 것.
(그래도 난 침묵하지 않고 말할 거야. 그게 사는 재미니까. 그래도 알아 두긴 하겠어....)
....................
즐거운 성탄절을 보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