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상
당신이 지금 가장 바라는 게 무엇인가요? 라고 물었을 때 누구는 취업이라 하고, 누구는 결혼이라 하고, 또 누구는 내 가게 장사가 잘되는 것이라고 대답할지 모른다. 그런데 다음과 같이 답변하는 이가 있다면 우리 모두 할 말을 잃을 것이다. “하늘나라로 떠난 우리 아이와 하루만이라도 함께 있어 보는 게 소원이에요”라고.
2. 또 단상
울음은 없고 웃음만 있고, 슬픈 일은 하나도 없고 기쁜 일만 있으며, 누구나 싸우지 않고 사이좋게 지내고, 가난한 사람은 한 명도 없이 모두가 부자이며, 아픈 사람이 없고 모두가 건강하고, 날씨조차 춥지도 덥지도 않고 살기에 딱 알맞은 온도가 유지되는 세상. 이런 곳에서 산다면 우리는 정말 행복할까? 인생에는 나쁜 날도 필요한 게 아닐까? 음지로 인해 양지가 있듯이, 나쁜 날이 없다면 나쁜 날과 좋은 날을 구분할 수 없을 테니 좋은 날도 없는 것이다. 이런 생각으로 지금의 ‘위드 코로나 시대’를 견뎌야 하겠다.
3. 장영희 에세이
....................
헨리 제임스는 “한껏 살아야 한다. 그렇게 살지 않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말한다. 알베르 카뮈는 더 나아가서 “눈물 날 정도로 혼신을 다해 살아라!”고 충고한다. 《정글북》의 작가 러디야드 키플링은 “네가 세상을 보고 미소 지으면 세상은 너를 보고 함박웃음 짓고, 네가 세상을 보고 찡그리면 세상은 너에게 화를 낼 것이다”라고 했다. 너의 아름다운 신념, 너의 꿈, 야망으로 이 세상을 보고 웃어라.
꿈을 가져라. 네가 갖고 있는 꿈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설사 1%뿐이라고 해도 꿈을 가져라. “불가능을 꿈꾸는 사람을 나는 사랑한다”는 괴테의 말을 되새겨라.
- 장영희, <문학의 숲을 거닐다>, 155~156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