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반페미니즘이라는 트렌드
다들 많이 지쳐가는 백래시 읽기 ㅋㅋㅋㅋ
수전 팔루디가 엄청나게 사례를 모아모아 이걸 다시 주제별로 나눠 풀어풀어 냈다.
정리하기 진짜 어려웠을 것 같은데, 그래도 술술 읽히게 글을 잘 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제별로 말끔하게 분류되는 게 아니다 보니 겹치기도 하고.. 너무 많은 양에 질리는 느낌 ㅋㅋ
계속계속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걸 보고 있자면 열이 받기도 하고 지긋지긋하기도 하고.. 에효.
읽을수록 언론의 중요성, 그리고 언론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함을 깨닫게 된다.
언론은 그들이 주장하고 싶은 바를 별 근거 없이 내세우고, 그게 반복되고 재생산 되면서 트렌드가 되면, 이제 여성의 내면에 침투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국 근거가 없었던 주장이 현실이 되어버리는 것.
여성들이여, 정신 바짝 차립시다.
그나저나, 에스콰이어에 실렸다는 "무릎을 꿇고 행복하게 변기를 닦는 주부"의 사진이 궁금해서 찾아봤지만 못 찾겠다. 변기를 행복하게 닦는다는 게 가능한 일인가? 여성이 거기서 행복을 느낄 수 있다면 남성도 느낄 수 있다.
인용문
새로운 여성해방운동의 실천 중에서 최초로 전국 신문의 1면에 실리게 된 운동은 미스아메리카대회 반대 운동이었다. 그 이전에도 일자리, 동일 임금, 남녀공학을 위한 많은 페미니즘의 행진이 있었지만, 미디어는 관심을 눈곱만큼도 보이지 않았다. 이 행사에 그렇게 많은 언론의 관심이 쏠린 이유는 간단했다. 몇몇 여성이 빵빵한 브래지어를 쓰레기통에 던져 넣었기 때문이다. 한 언론인이 잘못 보도한 것처럼 사실 그날 브래지어를 불태운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1980년대에 그 어떤 여성운동 시위에서도 속옷을 가지고 불장난을 했다는 증거는 없다. - 1471980년대 초가 되자 미디어의 사이비 페미니즘 응원은 돌연 중단되었다. 그리고 얼마 가지 않아 언론은 장송곡을 연주하기 시작했다. 신문 1면의 머리기사들은 페미니즘이 죽었다고 외치고 또 외쳤다. -1491970년대의 언론은 성공한 여성의 화려한 그림을 흔들면서 ˝봐, 이 여자는 행복해. 그건 이 여자가 해방되었기 때문이야˝라고 말했다. 그런데 이제는 뒤집어진 반격의 논리에 따라 언론은 성공한 여성의 그림에 우거지상을 그려 넣고 ˝봐, 이 여자는 비참해. 그건 이 여자가 너무 해방되었기 때문이야˝라고 선언했다. - 150실제 여성을 다룬다는 뉴스 기사에서 실제 여성이 부재한 것은 1980년대 반격 저널리즘의 특징이다.(…) 트렌드 저널리즘은 실제 보도가 아니라 반복의 힘을 통해 권위를 획득한다. 충분히 오랜 시간 동안 이야기를 반복하면 그 어떤 것도 진실처럼 보일 수 있다. 하나의 미디어에서 선포한 트렌드는 나머지 미디어들이 재빨리 그 이야기를 퍼 나르면서 연쇄반응을 일으킨다. - 152여성의 트렌드 기사에서는 사실과 예측의 자리가 서로 바뀌었다. 이런 기사들은 이미 일어나고 있는 여성들의 후퇴를 기록하는 게 아니라 어떻게든 그런 일이 일어나도록 용을 썼다. - 1541986년 페이스 팝콘은 고치 짓기 cocooning‘라는 단어 하나를 만듦으로써 미디어 트렌드 작가들과 기업 고객들을 동시에 만족시켰다. - 158마침내 (포춘)은 이 고집 센 직장 여성들에게 등을 돌리고 (남편을 ˝자기 인생의 중심으로 만드는 데 실패하고 ˝그 과정에서 남편과 남편의 관심사를 따라잡지 못하게 된˝ 이기적인 첫 번째 아내와는 달리) 5, 60세의 최고 경영자들에게 능력자라는 기분을 만끽하게 해주는 젊고 사랑스러운 두 번째 배우자 ˝트로피 와이프˝의 승리에 표지를 할애했다. 이런 전략을 구사한 미디어는 (포춘>만이 아니었다. 현대 여성의 비위에 맞지 않는 장광설을 잔뜩 늘어놓는 간행물인〈에스콰이어)는 1990년 6월호 전체를 "전통적인 미국 아내˝에 대한 눈물 젖은 현사로 만들었다. 한 기억할 만한 전면 사진에는 주부 모델이 무릎을 꿇고 행복하게 변기를 닦는 모습이 실려 있었다. -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