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름의 빌라
백수린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7월
평점 :
<토지> 6권에서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꿈속의 귀마동'이다.
길상이 꾸는 꿈 이야기다. 길상은 길을 헤매다 허허벌판에 홀로 있는 집 한채를 발견한다. 거기에는 노인 한 사람이 살고 있다. 노인은 그곳이 말이 돌아오는 '귀마동'이라는 동네라고 소개한다. 말이 돌아온다는 것이 뭔 뜻인고, 물으니, 이런 사연이다.
귀마동에는 여, 남으로 이루어진 연인 한쌍이 찾아온다. 그들은 헤어지지 않고 영원히 함께 있고 싶어한다. 노인은 이들에게 말을 한 필씩 내어주며, 절대로 고삐를 놓치면 안 된다고 당부한다. 그들이 말을 타고 오랜 시간 걸어가 함께 어떤 강을 건너가면, 이제 다시 이별은 찾아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 한쌍도 그 강을 건너지 못했다. 말들은 결국 노인의 집으로 다시 돌아오는데, 이상하게도 한 마리의 말은 동쪽에서, 한 마리의 말은 서쪽에서 돌아온다. 말 위의 두 사람은 쪼글쪼글 주름진 노인이 되어 있고, 심지어 서로를 알아보지 못한다. 대체 그 연유가 무엇인고, 물으니, 노인은 대답한다.
먼 길을 가면서 계속 깨어있기란 힘드니 두 사람은 꾸벅꾸벅 졸기 시작할 테고, 말들은 멋대로 가다 점점 길이 어긋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기 시작했을 거라는 얘기다. 딱 한쌍, 돌아오지 않은 이들이 있으나 이들도 강을 건넌 건은 아니었다. 여자가 말에서 떨어져 죽어 말만 돌아왔고, 남자는 여자를 찾아 헤매느라 돌아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퀴즈: 이들은 누구일까요?)
남편과 만난 이래 가장 심하게 싸운 후 관계 회복 중인데, 귀마동 이야기가 와닿는 바가 있다. 결혼 후에 이어지는 긴 시간에는 생활의 피로가 가득하다. 말고삐만 꼭 붙들면 된다고 생각하고 옆 사람 신경쓰지 못하면, 결국 꾸벅 조는 사이에 두 사람의 방향은 갈라져 버린다. 영원히 함께 하자는 사랑의 약속을 위해 강을 건너려던 두 사람이, 종래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고 마는- 결혼생활이란 노력의 연속, 그걸 잊으면 까딱 귀마동 꼴이 된다는 것.
백수린 작가의 <여름의 빌라>는 작은 어긋남의 순간들을 세심하게 포착하고 있다.
해외에서 만나 각별하게 마음을 나누는 사이가 된 두 여성이 다시는 서로 연락하지 않게 된 어긋남에 대하여('시간의 궤적'),
해외에서 알게 된 노부부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위해 만난 또다른 여행지에서, 상대의 입장과 깊은 속내까지 헤아리지 못하여 일어난 어긋남에 대하여('여름의 빌라'),
소위 '몸테크'를 위해 달동네로 이사온 중산층 가정의 아이가 어렴풋이 느끼는 계층의 문제, 그리고 평생 한발짝 물러나 안전한 곳에서 부당함을 외면하게 되리라는 깨달음의 순간에 대하여('고요한 사건'),
아빠와 이혼하여 미국으로 떠난 엄마를 만나러 갈 때마다 조금씩 어긋나는 마음에 대하여('폭설),
아이를 낳으며 애써 눌러놨던 몸에 대한 인식을 깨닫게 된 아내와 이를 짐작조차 하지 못한 남편 사이의 어긋남에 대하여('아직 집에는 가지 않을래요'),
헌신적이었던 할머니의 짧은 연애를, 돌아가신 후 일기장을 통해 알게 된 손녀가 느끼는 이질감에 대하여('흑설탕 캔디'),
기분 좋았던 어느 여름밤, 노인을 돕다가 실수로 일어난 사건 때문에 삶의 어딘가가 살짝 어긋나버린 순간에 대하여('아주 잠깐 동안에'),
다른 세계의 아이들이 결국 자기 세계로 복귀하기 전, 함께 경험한 짧고 강렬한 교차의 순간에 대하여('아카시아숲, 짧은 입맞춤').
사람은 저마다 다르고, 어느 찰나에 잠시 서로의 마음이 교차하더라도 결국에는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마련이라고. 그 어긋남에 대해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예를 들어 '시간의 궤적'에서 언니의 지난 연애에 대한 미련을 비난한 것이나. '여름의 빌라'에서 한스에게 일어난 일을 알지 못한 채 백인의 좁은 생각으로 치부하여 비난을 퍼부은 것) 사람을 질책하기보다 그건 인간들 사이에 내재하는 근본적인 한계이니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그래도 시간이 흐르면 다시 교차하는 이해의 순간이 찾아오기도 하니 너무 절망할 일도 아니라고, 조곤조곤 말해주는 것 같다.
한편 한편이 다 조금씩 감정을 건드리는 데가 있었지만, 특히 좋았던 건 '흑설탕 캔디'였다. 결말에서 할머니가 손에 꼭 쥔 무언가(흑설탕 캔디)를 아끼는 손녀가 조르는데도 내어주지 않으면서, "이건 내 거란다"라고 말하는 장면은 기억에 오래 남을 듯 하다.
알라디너TV 이번 주제가 '여름'하면 떠오르는 책이라고 해서- 내가 찍을 건 아니지만 - 뭐가 있을까 떠올려보다가, 아직 읽지 않고 찜해두기만 했던 이 책이 떠올랐다. 떠오르니 갑자기 너무 읽고 싶어 빌려왔는데, 이 여름이 가기 전에 읽기를 잘했다. 별 네개를 찍었지만 '북적북적' 어플에서는 4.5개를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