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이와 버들 도령 ㅣ 그림책이 참 좋아 84
백희나 지음 / 책읽는곰 / 202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에 올리브 리커버 세트만 구매한 게 아니고, <연이와 버들도령>도 구매했다. 믿고 보는 백희나 작가님이니 구매에 망설임은 없었다. 책나무님께 땡투도 잊지 않았다♥
<연이와 버들도령>은 전해 내려오던 민담을 백희나 작가가 재구성한 책이다.
민담의 내용이 어떠한지 검색해보니 이렇게 나온다.
의붓딸은 동지섣달에 나물을 구해오라는 계모의 명을 받고 산속을 헤매다가 초목이 만발한 신비한 동굴을 발견한다. 거기에 사는 도령에게 나물을 얻고 재차 동굴을 방문할 때는 ‘김해 김도령 남해 남도령 문을 열라’고 주문을 외우고 들어가 나물을 얻는다. 또한 죽은 사람의 숨을 되돌리는 숨살이꽃, 쓰다듬으면 뼈가 되살아나는 뼈살이꽃, 살이 붙는 살살이꽃 등 환생꽃 이야기도 듣는다. 계모가 수상히 여기고 미행해 도령을 죽이지만 의붓딸이 환생꽃으로 살리고 도령과 혼인한다.
줄거리는 동일하지만, "계모"라는 단어 대신 "나이 든 여인"으로 바꾸어, 아이들에게 계모에 대한 선입견을 형성하지 않도록 신경썼다는 점이 돋보인다. 실은 많은 전래동화, 세계명작동화의 "계모"가 본래 친엄마라고 하고, 실제로 아동학대 가해자도 계모보다 친엄마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계모'들은 손쉽게 배척할 수 있는 타자로서 악인으로 설정되었던 것 같다.
버들도령이 연이에게 나물과 국, 고봉밥으로 이루어진 한상을 차려 대접하는 부분도 본래 민담 줄거리에는 나와 있지 않다. 여성의 일로 여겨지는 '손님에게 상 차려주기'를 남성인 도령이 하게 하여 성역할 전도를 꾀한 게 아닐까?
동굴 방문 시 외는 주문도 다른다. 민담에는 '김해 김도령 남해 남도령'이라 나오지만 이 책에서는 '버들 도령 버들 도령, 연이 나 왔다'가 된다.
또, 마지막에 둘이서 '혼인'한다는 내용도 없다. 함께 무지개를 타고 올라갈 뿐이다. 언제나 해피엔딩은 결혼으로 끝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인가? 나이든 여인에 대한 '징악'도 현실적이다.
백희나 작가님의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니 얼마나 신경써 책을 만드셨는지 조금은 알 수 있었다.
중앙일보 인터뷰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0065
흥미로운 건 도령의 얼굴이다. 가만 보면 연이와 똑 닮았다. 작가는 두 인형을 만들 때부터 얼굴을 같게 했다. "그게 재미있을 거 같았어요. 어떻게 보면 연이 안의 남성성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자아일 수도 있는 거고." 설화의 뒷부분에서 죽은 도령을 연이가 살려내는 점을 떠올리면 더욱 흥미로운 설정이다. - 인터뷰 기사 중
나도 도령의 얼굴을 주목했는데, 책에서 "이쁜 도령"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반면 연이의 외모에 대한 서술은 없다.
전래/명작동화에서 대체로 여성주인공은 외모가 아름다운 것으로 나온다. 반면 남성주인공의 경우 외모가 뛰어나다는 서술이 있는 경우는 거의 본 적이 없고, 그냥 착하거나 영리하거나 그렇다. 때문에 이 책에서 여성이 아니라 남성의 외모에 대한 평가적 서술을 넣었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아이가 껍질(?)을 벗겨내어 껍질 속 책표지를 봤는데, 이것도 예쁘네!
백희나작가님의 닥종이 인형과 배경 그림의 조화, 너무나 아름답지 아니한가!
요러코롬 아름다웠던 연이와 버들도령의 우정은 나이 든 여인에 의해 화르륵 불살라지는데..
모두 타 버린 마을에 남겨진 버들도령의 해골을 본 순간, 이걸 애들에게 보여줘?말아? 갈등이 되었다.
하지만 막상 본 아이들은 크게 놀라거나 무서워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재미있어 하며 벌써 여러번 보았다.
백희나작가님의 위 중앙일보 인터뷰를 보니 답이 나온다.
"경계가 어디냐, 언제까지 환상의 세계, 아이들에게 완벽하고 안전한 세계를 보여주고 언제부터 이 혹독한 현실을 보여줄 거냐죠. 어차피 알려줘야 하고 알 수밖에 없는 현실을 알려주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양육자가 읽어주는 책을 통해 간접 경험을 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아이들은 자신의 방식대로 보고, 그동안 살아온 인생을 토대로 해석할 거에요. " - 위 중앙일보 인터뷰 중
전래동화/명작동화가 권선징악을 강조하다보니 아이들에게 보여줘도 되나 싶을 때가 종종 있다. 그러나 세상이 아름답지만은 않은데 아름다운 동화만 보여주려 애쓰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아이들은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이야기를 소화해낸다고 하니, 일단 보여주되 비판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줘야 하지 않을까. 그래도 나는 여성혐오적인 그림책은 피하거나 읽을 때 주석을 붙인다.
책 만들 때 참고하셨다는 책들의 목록
백희나 작가님이 지금까지 내신 책들- <삐약이 엄마>와 <꿈에서 맛본 똥파리> 빼고 다 가지고 있다.
명불허전. 많이들 사 보십시다 >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