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란에서는 유주(幽州, 燕京, 북경시)를 남경(南京)으로 삼았다.

상유한이 황제에게 권고하기를, ‘정성을 다하여 원한을 버리고서 번진을 어루만져주고, 말씀을 낮추고 예의를 두텁게 하여서 거란을 받들며, 사졸을 훈련시키고 병장기를 수선하고서 무예를 닦아 대비하고, 농업과 양잠에 힘써서 창고를 채우며, 상고(商賈)를 유통하게 하여서 재화(財貨)를 풍요롭게 해야 합니다. 몇 년 사이에 중원은 점차 안정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애초에, 거란주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강성하니, 실위(室韋, 내몽고 동북부)·해(奚, 낙하 상류)·습(?, 요하 이북)이 모두 역속(役屬)되었다. 해왕(奚王) 거제(去諸)는 거란의 탐욕과 포학함에 괴로워하다가 그의 무리를 인솔하고 서쪽으로 가서 규주(?州, 하북현 회래현)로 옮겨서 유인공(劉仁恭) 부자에게 의탁하고 서해(西奚)라 불렀다. 거제가 죽자 아들인 소랄(掃刺)이 섰다.

"듣건대 유사에서 관직에 제수하면서 모두 뇌물을 받는다는데 그런 일이 있소?" 대답하였다.
"떠도는 말이라서 믿을 만하지 않습니다."
민주가 말하였다. "짐이 이를 안 지가 오래되었고, 지금 경에게 위임하니, 현명한 사람을 뽑아서 제수하되 불초하고 기망하는 사람이라도 관직을 요구하는 사람은 거절하지 말고 차례로 뇌물을 받아들이도록 하고 장부에 적어서 그것을 바치시오."

2월 경진일(3일)에 좌산기상시 장윤(張允)이 <박사론(?赦論)>을 올렸다.
"제왕(帝王)이 천재(天災)를 만나면 대부분 사면하는데 이를 수덕(修德)이라 합니다. 가령 두 사람이 감옥에 앉아 있다가 사면을 만난 사람이 있다면 굽은 사람은 면제받은 것을 다행으로 여길 것이나 곧은 사람은 원통함을 품을 것이고 억울한 기운이 승문(升聞, 제왕에게 보고를 올리는 것)하게 되니 이는 재난에 이르게 하는 것이지 재난을 그치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조서를 내려서 그를 칭찬하였다.

병술일(11일)에 좌간의대부인 설융(薛融)이 간하였다.
"지금 궁실이 비록 불에 타서 훼손되는 일을 겪었지만 오히려 제요(帝堯)의 띳집보다도 사치스럽습니다. 사용한 비용은 비록 적었으나 오히려 한 문제(文帝)의 노대(露臺)보다는 많았습니다. 하물며 위성(魏城, 하북성 대명현)이 아직 떨어지지 않았으며 공사 간에 어렵고 군색(窘塞)하니 진실로 폐하께서 궁관(宮館)을 수축하는 날이 아니고 해내가 평정되고 안녕하기를 기다려서 그것을 조영해도 아직 늦지 않을 것입니다."
황상이 그의 말을 받아들이고 이어서 조서를 내려 그를 칭찬하였다.

황제가 거란을 섬기는 것이 심히 근엄하였고 표문을 받들어 신하라고 호칭하였으며, 거란주를 일컬어 ‘부황제(父皇帝)’라고 하였으며, 매번 거란의 사신이 도착할 때마다 황제는 별전(別殿)에서 배례하고 조칙(詔?)을 받았다. 해마다 황금과 비단 30만을 보내는 것 이외에도 길흉(吉凶)의 경사(慶事)와 조문하고 세시(歲時)에 선물을 보냈는데 진기한 노리개나 희귀한 것도 길가에 계속 이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을 시켜서 정탐을 해보니 그러한 것이 모두 없었으니, 나는 이로써 멀리까지 말을 몰아 깊숙이 들어가면 큰일은 반드시 이루어질 것으로 알았소. 군사들이 이미 서로 접전하게 되면 우리의 기세는 바야흐로 예리하였으며 저들의 기세는 바야흐로 꺾여 있어서 만약 이 기회를 타고 신속히 그들을 치지 않고 오랜 세월을 견디게 한다면 이기고 지는 것은 알 수 없었소. 이는 내가 빠르게 싸워서 승리한 까닭이며 피로해있고 편안하게 있는 것으로 대처하는 보통의 이론을 가지고 하였다면 불가능하였을 것이오."

석경당이 심히 탄복하였다.

유(幽, 북경시)·계(?, 천진시 계현)·영(瀛, 하북성 하간시)·막(莫, 하북성 임구시 북쪽 막주진)·탁(?, 하북성 탁주시)·단(檀, 북경시 밀운현)·순(順, 북경시 순의현)·신(新, 하북성 탁록현)·규(?, 하북성 회래현)·유(儒, 북경시 연경현)·무(武, 하북성 선화현)·운(雲, 산서성 대동시)·응(應, 산서성 응현)·환(?, 산서성 삭주시)·삭(朔, 산서성 삭주시)·울(蔚, 하북성 울현) 16주(州)를 잘라서 거란에 주고 이어서 매년 비단 30만 필을 보내주기로 허락하였다.

황제는 거란과 더불어 우호관계를 맺었으나 그들이 다시 영무(靈武, 영하성 영무현)를 빼앗을까 두려워하여 계사일(9일)에 다시 장희숭을 삭방절도사로 삼았다.

송제구(宋齊丘)가 이덕성(李德誠)의 아들인 이건훈(李建勳)에게 말하였다. "존공(尊公)은 태조의 원훈(元勳)인데 오늘 땅을 쓰는군요."

이에 오의 궁중(宮中)에서 괴이한 일이 많이 일어나자, 오주가 말하였다. "오의 운명이 그 끝에 왔구나!"

좌우에서 말하였다. "이는 마침내 하늘의 뜻이지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닙니다."

고려의 왕건(王建)이 군사를 부려서 신라(新羅)와 백제(百濟)를 쳐서 깨뜨리니, 이에 동이(東夷)의 여러 나라들이 모두 그에게 귀부하게 되어 2경(京), 6부(府), 9절도(節度), 120군(郡)이 있었다.

무릇 제왕(帝王)이 천하를 통어하는 데는 믿음보다 중요한 것이 없습니다. 지금 주상께서는 영공(令公, 석경당)에게 큰 믿음을 잃었으며 가까이하거나 귀한 사람들도 또 스스로 보전할 수 없는데 하물며 소외되고 비천한 사람이겠습니까? 그가 멸망하는 것은 발돋움하고 서서 기다릴 정도이니, 어찌 강함이 있겠습니까?" 석경당이 기뻐하며 군사에 관한 일을 맡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 사마광이 말씀드립니다. "손광헌은 미세한 것을 보고 간할 수 있었고, 고종회는 좋은 의견을 듣고 고칠 수 있었으며, 양진은 공로를 이루고 물러날 수 있었으니, 예로부터 국가를 가진 사람이 이와 같이 할 수 있다면 무릇 어찌 나라를 망하게 하고 가정을 무너뜨리며 몸을 죽게 하는 일이 있었습니까?"

비록 무궁한 재물이 있다고 하더라도 끝내는 교만한 사졸들의 마음을 채울 수 없으니, 그러므로 폐하께서는 위급하고 곤란한 속에서 손을 잡고 천하를 얻었습니다. 무릇 나라의 존망(存亡)은 오로지 후한 상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고 역시 법도(法度)를 닦고 기강(紀綱)을 세우는 데에 있습니다.

황제가 학사(學士) 마윤손(馬胤孫)에게 말하였다.

"짐은 새로 천하에 다가갔으니 의당 언로(言路)를 열어야 할 것이며, 만약 조정의 인사들이 말한 것으로 죄를 짓는다면 누가 감히 말할 사람이겠는가! 경이 짐을 위하여 조서를 짓고 짐의 뜻을 선포하도록 하시오."

마침내 조서를 내려서 말하였는데, 그 대략이다.
"옛날에 위징(魏徵)은 황보덕참(皇甫德參)에게 상을 내리라고 요청하였는데, 지금 유도 등은 사재덕을 물리치라고 요청하고 있으니, 일은 같은데 말은 다르니 어찌 그것이 차이가 크단 말인가! 사대덕의 마음이 가슴에 품은 것을 기울여 충성을 다하고 있으니 어찌 책망할 만하겠는가?"

가만히 앞의 왕조를 보면 상원(上元, 당 숙종의 연호) 이래로 연영전(延英殿)을 설치하고 혹은 재상이 주문을 올려 논의하려고 하는 것이 있거나 천자가 자문하려고 하는 것이 있으면 옆에는 시위를 없앴으니 그러므로 사람들은 모두 말할 수 있었습니다. 바라건대 이 옛날에 있었던 일을 회복시키고, 오직 추요(樞要)의 신하들만이 옆에서 시중들도록 허락하십시오.

노왕이 성에 올라 울면서 밖에 있는 군사들에게 말하였다. "내가 관례를 올리지 않은 나이에서부터 돌아가신 황제를 좇아 백번 싸워 삶과 죽음을 넘나들며 온 몸이 쇠붙이에 상처를 입으면서 오늘의 사직을 세웠는데, 너희들이 나를 좇았으니 눈으로 그 일을 보았을 것이다. 지금 조정에서는 참소하는 신하들을 신임하고 골육(骨肉)을 시기하는데 내가 무슨 죄를 지었다고 죽임을 당하겠는가?"
이어서 통곡하였다. 듣던 사람들이 이를 슬퍼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초에, 거란이 이미 강성해지고 나서 노룡(盧龍, 치소는 유주)의 여러 주를 노략질하는 것이 모두 두루 퍼졌으니, 유주(幽州, 북경시) 성문 밖에는 야만인의 기병으로 가득 찼다. 매번 탁주(?州, 하북성 탁주시)에서 운반되는 양식이 유주로 들어올 적마다 야만인들은 대부분 염구(閻溝, 북경시 서남쪽 양향진)
에 군사들을 매복시키고 이들을 노략질하여 빼앗았다.

임자일(4일)에 이종영이 들어와서 알현하자 황제가 그에게 말하였다.
"내가 비록 글은 알지 못하지만 그러나 유생(儒生)들이 경의(經義)를 강론하는 것을 기꺼이 들었더니 사람들의 지혜와 생각을 여는데 유익하였다. 내가 장종이 시 짓기를 좋아하는 것을 보았는데 장수 집안의 아들들은 글 짓는 것을 평소 익히지 않아서 다만 다른 사람에게 몰래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너는 본받지 마라."

대리소경(大理少卿) 강징(康澄)이 편지를 올려 말하였다.
"신이 듣기로는 동요(童謠)는 화복(禍福)의 근본이 아니라고 하였는데 재앙과 상서(祥瑞)로움이 어찌 융성과 쇠퇴의 근원이겠습니까! 그러므로 장끼와 꿩이 솥에 올라가고 상곡(桑穀)이 조정에서 자라더라도 은(殷) 종실의 융성함을 중지하게 할 수 없었습니다.
신마(神馬)는 길게 울고 옥귀(玉龜)는 길조(吉兆)를 알렸지만 진(晉)의 운명의 길게 끌 수 없었습니다."

"이것으로 국가가 두려워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것이 다섯 가지가 있었고 깊이 두려워할 만한 것이 여섯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겠습니다. 음과 양이 고르지 못한 것은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고, 삼진(三辰, 日·月·星辰)이 운행할 길을 잃어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고, 소인이 유언비어를 퍼뜨려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고, 산이 무너지고 냇물이 말라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며, 해충과 도적이 농사를 망친다고 해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니지만, 현명한 인재가 숨으면 깊이 두려워할 만하고, 사민(四民, 士·農·工·商)이 직업을 옮겨도 깊이 두려워할 만하고, 위아래가 서로 자랑하여도 깊이 두려워할 만하고, 염치(廉恥)의 도(道)가 소멸되어가도 깊이 두려워할 만하고 명예를 훼손하고 진실을 어지럽혀도 깊이 두려워할 만하며, 곧은 말이 업신여기게 들리면 깊이 두려워할 만합니다.
두려워할 만한 것이 아닌 것은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있어도 논의하지 말고, 깊이 두려워할 만한 것은 폐하께서 수정하여 어긋나지 않게 하십시오."
우조(優詔)로 이를 장려하였다.

황제의 성품은 시기하지 않았고 무리와 더불어 다투지 않았으며, 등극하였을 때의 나이가 이미 예순 살을 넘었는데, 매일 저녁마다 궁궐 안에서 향을 피우고 하늘에 기원하였다.
"모(某)는 호인(胡人)으로 어지러운 시기를 이용하여 무리에게 추대를 받았습니다. 바라건대 하늘이시여 일찍이 성인을 태어나게 하시어 백성의 주군이 되게 해 주소서."
제위에 있는 기간 동안 곡식이 해마다 풍년이 들었고 병혁(兵革, 전쟁의 무기)이 드물게 사용되었으며 비교적 오대(五代) 가운데 대략 조금은 평안하였다.

민주(?主)가 귀신을 좋아하여 무당 성도(盛韜) 등이 모두 총애를 받았다. 설문걸이 민주에게 말씀을 올렸다.
"폐하의 좌우에는 간신이 많은데 이를 귀신에게 질문해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습니다. 성도가 귀신 보기를 잘하니, 의당 그들을 보게 해야 합니다."
민주가 이를 좇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해일(27일)에 칙서를 내려 오방(五坊)102에서 키운 매를 풀어 놓아주게 하고 안팎에서 다시는 바칠 수 없게 하였다. 풍도가 말하였다. "폐하께서는 베푸시는 어짊이 금수(禽獸)에까지 미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황상이 말하였다. "그렇지 않소. 짐은 옛날에 일찌감치 무황(武皇, 이극용의 시호)을 좇아 수렵을 하였는데, 당시에 가을 곡식이 바야흐로 무르익어서 짐승들이 편하게 경작지 속으로 들어가자 기병을 파견하여 그것들을 잡았으나 짐승을 잡았을 즈음에는 남은 곡식은 거의 없었소. 이것으로 그것을 생각해 보니, 수렵에는 손실은 있으나 이익이 없었소. 그러므로 시행하지 않았을 뿐이오."

조계량(趙季良)이 말하였다. "동장은 사람됨이 용맹하나 은덕을 베푸는 일이 없으며, 사졸들이 붙지 않으니 성을 지키고 있으면 이기기가 어려우나 들판에서 싸우게 되면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지금 소혈(巢穴)을 지키지 않는 것은 공에게는 유리합니다. 동장이 군사를 부리는 것은 정예의 군사들이 모두 선봉에 세우고 있으니 공은 의당 파리한 군사를 데리고 그들을 유인하고서 굳센 군사를 데리고 그들을 기다린다면 처음에는 비록 조금 꺾이겠지만 이후에는 반드시 크게 승리할 것입니다.

다음 날에 안중회가 스스로 이를 말하자 황상이 말하였다. "짐이 옛날에 소교(小校)이었을 적에 집안이 가난하여 이 아이가 말똥을 주워 온 것으로 말미암아 스스로 보탰고, 오늘에 이르러 천자가 되었는데 일찍이 그를 비호할 수 없단 말이오? 경은 그를 어떻게 조치하여서 경에게 편안하려는 것이오?"

안중회가 말하였다. "폐하의 부자(父子) 사이에 신이 어찌 감히 말을 하겠습니까? 오직 폐하만이 이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황상이 말하였다. "사제(私第)에서 한가롭게 살게 하면 역시 되었지 무슨 다른 말이 필요하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