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준비에도 쪼들리고 있는 걸 보면 이래저래 바쁜 계절이다(4월이 어디 가겠는가?). 벚꽃놀이가 '시즌'에 들어갔지만, 꽃구경은 언감생심이다. 어린이대공원의 벚꽃놀이가 이렇다 한다. 나는 책구경으로 허전함을 때우려 한다. 최근에 처음으로 세상 구경을 나온 책들이다.






첫번째 책은 칠레 출신의 인지생물학자이자 철학자 움베르토 마투라나(움베르또 마뚜라나; 1928- )의 대담집 <있음에서 함으로>(갈무리, 2006)이다. 책은 독일어 원저가 2002년에 나오고, 대본이 된 영역본이 2004년에 나왔다고 하니까, 따끈한 책이다. 마투라나는 흔히 동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와 찍지어서 불리는 이름인데, autopoiesis, 즉 '자기생산' 혹은 '자가생산'의 개념을 창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들뢰즈의 <시네마>인가에서 'autopoietic'을 '자율시적'이라고 옮겼는데, 오역이다).

국내에는 이미 <인식의 나무>(자작아카데미, 1995)란 책이 오래전에 소개됐었는데(나도 그 책을 통해서 이름을 처음 접했다), 마투라나는 자기조직 체계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함께 최근에 인문학에서는 부쩍 자주 눈에 띄는 이름이 되었다. 비록 저자는 인지생물학을 인식론에 한정하여 이해하지만, 보다 확장된 시야에서 바라볼 수도 있는 것.

가령, 오래된 책이지만 에리히 얀치의 <자기조직하는 우주>(범양사, 1989) 같은 천체물리학 책이나(물리학 책으론 로저 하이필드 등의 <시간의 화살>(범양사, 1994)도 유익하고 재미있는 참고문헌이다), 폴 크루그먼의 <자기조직의 경제>(부키, 2002) 같은 경제학서, 그리고 슈미트의 <구성주의 문학체계이론>(책세상, 2004) 등은 모두 우주와 경제와 문학작품을 자기조직적 체계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는 책들이다. 김성재의 <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북스, 2005)은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체계이론적 접근 입문서이고, 사회학이론의 대가 니콜라스 루만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체계를 이해한다(그의 대저 <사회체계론>이 아직 번역되지 않는 것은 유감이다). 또, 체계이론은 보통 기호학과 많은 부분 문제의식을 공유하는데('자기생산'의 기호학을 주제로 한 책들이 다른 언어권에는 나와 있다), 문화를 하나의 체계로 보는 러시아 문화기호학자 유리 로트만의 작업도 이러한 맥락하에 놓인다.
'자기조직적' 관점의 세계 이해라는 것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혼자서도 잘해요!"가 되겠다. 어떤 외부의 힘의 유입/개입 없이도 자체적으로 카오스(혼돈)에서 코스모스(질서)를 형성해나간다는 것. 이러한 관점의 함의는 무엇인가? 그것은 이 세계가 외부(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율적 체계들의 집합체라는 것(바깥은 없다, 내지는 없어도 된다!). 스피노자의 범신론이 여기에 해당되는 것 아닌가? 외부/바깥이 없는 무한으로서의 우주. 동양사상에서는 무위(無爲)가 여기에 해당하지 않을까?
해서, 제목에서는 '있음에서 함으로'로 돼 있지만(물론 프리고진의 '있음에서 됨으로'를 바로 연상시킨다. <혼돈으로부터의 질서>가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것 아닌가? 비록 마투라나는 프리고진을 인용하고 있지 않지만), 그때 '함(doing)'은 '무위'의 함이라고 나는 지레짐작한다. 그것은 무얼 억지로 하는 게 아니라 최적성의 경로를 따라서 무엇이 저절로 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의 정치적 함의가 (루만의 경우도 그렇지만) 한편으론 보수주의적이라는 걸 따로 덧붙일 필요는 없겠다. 케 세라 세라(Que sera, sera), 왓에버 윌비 윌비(Whatever will be, will be)의 교육 버전. "애들은 (지들이) 알아서 큰다!"(이런 경우는 '진보적'이라고 해야 하나?)




두번째 책은 다방면으로 활동했던 인류학자이자 철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1904-1980)의 주저 <마음의 생태학>(책세상, 2006)이다. 원제는 'Steps to an Ecology of Mind'인데, 이미 <마음의 생태학>(민음사, 1990)으로 국역본이 나와있는 책이지만, 이번에 나온 책은 2000년판을 옮긴 것이며, 메리 캐서린 베이트슨(1936- )의 서문(1999)이 붙어 있다. 메리는 베이트슨과 저명한 여성 인류학자 마가렛 미드 여사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아래는 베이트슨 부녀의 사진.


<마음의 생태학> 외에 베이트슨의 책으론 루스 베네딕트의 <문화의 패턴>(까치, 1997), 마가렛 미드의 <세 부족사회에서의 성과 기질>(이대출판부, 1998)과 함께 초기 인류학의 '명저'로 꼽힌다는 <네이븐>(아카넷, 2002), 그리고 <정신과 자연>(까치, 1998), <마음과 물질의 대화>(고려원, 1993) 등이 더 소개돼 있다.
상식적으로 알아둘 것은 정신분열증에 관한 베이트슨의 이론이다. 흔히 이중구속(double bind)론이라고 불리는 것 말이다. 백과사전에서 관련내용을 옮겨오면 이렇다: "예컨대 어머니가 아이에 대해서 무언가를 하도록 말하고, 동시에 그것을 부정하는 듯한 몸짓을 한다. 그러면 아이는 이중으로 구속된 상태가 되어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이중구속의 상태라고 한다. 베이트슨은 어머니와 아이 사이에서는 아버지가 없을 때에 이 상태가 생기기 쉽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이 이론의 모델은 발리섬 주민의 개인 간 상호작용에 관한 고찰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개인 중에서도 주로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 아버지의 권위가 약해지거나 아버지가 없는 현대의 가족상황을 예견한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영국의 반정신의학이나 가족요법의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보다 단순하게 말하면, 두 가지 명령에 구속된 상태를 말하는바, 강의시간에 우스개 소리로 자주 하는 얘기는 이런 거다. 다이어트중인 딸한테 아빠가 딸이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을 사왔다. 엄마는 먹으면 혼날 줄 알아라는 표정으로 눈을 흘긴다. 만약에 엄마와 아빠를 모두 사랑하는 딸이 두 사람의 요구를 모두 들어주고자 한다면, 이중구속 상태에 빠지게 된다(보통은 이런 난처한 상황한 처한 아이들은 울음을 터트린다). 정신분열증이란 이때 아이스크림을 먹으면서도 이거 먹는 건 내가 아니야 라고 부인하는 것이다. 아이스크림을 먹는 나와 그걸 금지하는 나의 자기분열. 믿거나 말거나.


언젠가 체계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어 베이트슨의 책들을 사들이긴 했었는데(근작에 속하는 <네이븐>을 제외하고), <마음의 생태학> 영어본과 러시아어본이 거기에 포함된다. 국역본이 나온 김에 독서계획을 세워볼까 하지만, 책장에서 눈에 띄지 않는 걸 보니 모두 박스보관 도서인 듯하다.




세번째 책은 역사학자 피터 버크의 <지식>(현실문화연구, 2006)이다. 영국 캠브리지대학의 문화사 교수로 재직중이라는 버크 교수의 처음 출간된 책은 <역사학과 사회이론>(문학과지성사, 1997)이며 이후로 잠잠하다가 작년부터 부쩍 출간도서가 많아지고 있다. <이미지의 문화사>(심산, 2005), <문화사란 무엇인가>(길, 2005) 등이 그의 책들이다. 모두가 한번쯤 읽어볼 만한 주제와 분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식>의 원제는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from Gutenberg to Diderot'(2000)이니까 '지식의 사회사'쯤 될 텐데, <지식의 역사> 같은 식의 제목을 붙이지 않은 것은 좀 이외이다. 슈바니츠의 베스트셀러 <교양>(들녘, 2004) 같은 책과 '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반영된 것인지? 여하튼 내용은 지식의 탄생과 유통, 소비에 관한 모든 역사이다.
소개를 옮겨오자면, 책은 "근대 유럽을 중심으로 지식의 탄생, 흐름, 분류, 판매, 소비, 상품화 등을 망라하는 '학문의 역사'를 담았다.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형성된, 이른바 '지식의 공화국(Republic of Knowledge)'에 대한 40여년에 걸친 지은이의 연구 결과물이다. '지식의 공화국'이란 표현은 주로 학자들 간의 상상된 지식공동체를 뜻하는 표현이었다. 그러나 지은이는 이를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하여 장인이나 농부, 산파의 현장경험도 '지식'의 개념으로 다루고 있다."





거기에 지식인들에 관한 이야기가 덧붙여지는바, 실상 '지식인'의 탄생과 종말을 다룬 책들은 적지않게 나와 있으므로 관심있는 독자들은 일독해보시길. 아쉬운 건, 러시아식의 독특한 지식인 유형인 '인텔리겐치아'에 대한 책들이 요즘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비록 인텔리겐치아의 시대는 끝났다 하더라도 '인텔리겐치아의 역사' 정도는 소개되어도 좋지 않을까?






네번째로는 자유주의에 관한 책들을 몇 권 고른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스티븐 룩스의 <자유주의자와 식인종>(개마고원, 2006). 다른 정보가 없으니 소개를 인용하면, ""자유주의자에게는 자유주의를, 식인종에게는 식인주의를" 이 책 제목의 모티브가 된 이 말은 영국의 철학자 마틴 홀리스가 만든 경구이다. 그런데 정말 모든 사상의 '자유'를 용인한다는 자유주의를 따른다면 식인주의도 용인해야 할 것인가? 이 책의 고민은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된다. 이 책은 저명한 사회철학자이자 정치이론가인 스티븐 룩스가 1992년부터 2001년까지 기고하거나 강연한 원고를 모은 것이다. 13편에 달하는 글에서 지은이는 자유주의가 내포하는 상대주의와 다원주의가 갖는 한계를 탐구하고 있다."
"즉, 다양한 역사·문화적 배경에서 생성된 가치들이 서로 충돌할 빚을 수밖에 없는 현대 지구촌 사회에서 절대적 가치를 거부하며 모든 가치를 원칙적으로 인정해 버리고 마는 다원주의와 상대주의는 갈등을 해소할 힘이 없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기 한계까지도 인정할 줄 아는 자유주의적 이성'을 제시한다. 이성에 대한 믿음으로 자기 이성을 계몽하고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최적점을 찾아가는 자세를 갖는 것이 '자유주의자'와 '식인종'이 공존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이다."'자기 한계까지도 인정할 줄 아는 자유주의적 이성'은 얼핏 리처드 로티를 연상시킨다. '자유주의적 아이러니스트가 되라!'가 저자의 금언인가?
그리고, 자유주의 이론에 관한 천착을 계속 하고 있는 이근식 교수의 신작 <애덤 스미스의 고전적 자유주의>(기파랑, 2006)도 출간됐다. 소개에 따르면, 책은 "<국부론>과 <도덕감정론>을 저술한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의 고전적 자유주의 사상을 상세히" 살피고 있는데, "1999년 출간된 지은이의 전작 <자유주의 사회경제사상>(한길사, 1999)에서 애덤 스미스를 다루었던 부분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저자의 변은 이렇다: "지금부터 꼭 40년 전 대학 진학시 경제학과를 지망한 것은, 우리나라가 잘 살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싶어서였다. 그러나 실망스럽게도 대학에서 경제학을 배워도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알 수 없었다. 내 의문에 대한 해답을 알게 된 것은 40대 중반에, 경제학을 전공한 지 20년도 넘어서, 애덤 스미스의 책들, 특히 <도덕감정론>을 읽고 나서였다. <도덕감정론>은 내게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를 가르쳐 주었다. 스미스는 인간은 양심과 타인에 대한 동정심도 있으나 자기 사랑이 더 강하며, 누구나 더 잘 살려고 노력하는 강렬한 본능이 있으며, 시장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므로 저절로 발생하여 성장하는 자연스러운 제도임을 가르쳐 주었다."
한데, 이 <도덕감정론>(비봉출판사, 1996)은 이미 품절된 지 오래된 책이다. 자유주의 애호가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 '도덕철학자' 애덤 스미스의 주저를 서점에서 볼 수 없는 것은 유감이다. 한편, 저자의 다른 책으론 <자유와 상생>(기파랑, 2005)이 얼마전에 나온 책이고, 편저자로 참여하고 있는 <자유주의의 원류>(철학과현실사, 2003), <자유주의란 무엇인가>(삼성경제연구소, 2001) 등도 자유주의 '원론'을 챙겨볼 수 있는 책들이다.



한편, 미국의 대표적인 자유주의 철학자 로버트 노직의 정치철학을 살핀 입문서도 출간됐다. 조나산 울프의 <자유주의 정치철학>(철학과현실사, 2006)이 그것이다. 노직의 대표작인 '아나키, 국가, 유토피아'(1974; 국역본은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문학과지성사, 1997)에 대한 해설서로 유용한 책이겠다. 노직의 책은 내가 학부를 다닐 때만 해도 롤즈의 <정의론>과 함께 자유주의 정치철학의 필독서였다. '자유주의'에 대한 막연한 호감이나 반감을 갖고 있는 독자라면 노직과 한번 대결해 봄직하다(이런, 노직의 책들도 모두 박스에 들어가 있다!). 한편, 알라딘에는 저자가 '노지크'로 돼 있지만, <인생의 끈>(소학사, 1993)의 저자도 로버트 노직이다. 저자의 명성에 비해 좀 한가해보이는 책이었는데, 아무래도 흥미로운 건 그의 인생론이 아니라 정치철학이다.






끝으로 전혀 예상치 않았던 책, 롤랑 바르트의 'S/Z'(동문선, 2006)이다. 작년에는 <목소리의 결정>이 나오고 해서, 이로써 롤랑 바르트 전집이 거의 완결돼 가는 게 아닌가 싶다. 발자크의 단편 <사라진느>에 대한 정밀하면서도 유희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있는 이 '문학이론서'는 바르트의 이론적 여정이 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로 넘어갔음을 보여주는 전범적인 책이다. 한데, 그런 만큼 번역이 불가능하거나 적어도 무의미하다고 생각해왔기 때문에 국역본의 출간은 반가우면서도 미심쩍기까지 하다(러시아어로 번역돼 있긴 하지만). 한편으론 <모드의 체계> 같은 '구조주의' 저작보다는 훨씬 재미있을 법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안심하고 읽을 수 있는 바르트의 책으론 단연 <텍스트의 즐거움>과 <사랑의 단상>을 꼽을 수 있다. 거기에 그의 사진론 <카메라 루시다>(열화당)를 보탤 수 있고(이 책이 절판된 건 유감스럽다). 나머지 책들에 대해서는 바르트 애호가나 전문 독자의 리뷰를 읽었으면 싶다. 이럴 때면 좀 아쉬운 사람들이 있다...
06. 04. 14-15.





P.S. 덧붙이고 싶은 책은 새로운 번역으로 출간된 노르웨이의 노벨상 수상 작가 크누트 함순(1859-1952)의 <굶주림>(범우사, 2006)이다. 나는 이전에 우종길의 번역으로 된 <굶주림>(창, 1994)으로 읽었었다. 나치 부역 혐의로 말년의 삶은 좀 치욕적이었지만, '20세기 최고의 작가'들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크누트 함순의 처녀작. "1890년에 출간되었으며, 고통스럽게 불안해하는, 소외된 현대의 인간을 문학작품 속에 등장시킨 최초의 소설로 평가받는다. 이중적이고 복잡한, 그래서 때때로 관련성이 없는 반응양식을 보이는 인간의 심리를 통찰한 작품이다."



소개를 더 옮기면, "이 작품에는 1886년 겨울 작가가 오슬로에서 직접 겪은 극심한 가난이 반영되어 있다. 그가 묘사하는 굶주림의 상황과 심리현상은 매우 충격적이다. 소설 속에는 특별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 굶주림의 사회적 원인도 서술대상이 아니다. 오직 '불가사의한 굶주림'만이 눈앞에 나타나 있을 뿐. 이 굶주림은 주인공을 '극도로 날카로운 지각능력과 죽음에 가까운 혼미상태가 교차하는' 고도의 정신분열증적 상태로 몰아간다."
"작가 크누트 함순(Knut Hamsun)은 20세기의 주요작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프란츠 카프카, 베르톨트 브레히트, 헨리 밀러 등 전 세계의 유명 작가들이 그를 숭배했다. 미국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아이작 싱어는 영어로 번역된 <굶주림>의 미국판 서문에서 크누트 함순을 '현대 문학의 아버지'라고 평한 바 있다."

거기에 동시대 작가 폴 오스터(왼쪽 사진)도 빼놓을 수 없다. 그의 문학론 <굶기의 예술>(문학동네, 1999)는 무엇보다도 함순의 <굶주림>과 카프카의 단편 <단식광대>에 바쳐진 것이기 때문에. 더불어, 러시아 작가 다닐 하름스(1905-1942, 오른쪽 사진)의 부조리한 작품들에도 함순의 그림자는 짙게 드리워져 있다(함순은 하름스가 가장 좋아했던 작가의 한 사람이다). <집에서 한 남자가 나왔다>(청어람미디어, 2004)에 실린 단편 <노파>를 <굶주림>과 같이 읽어보시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