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저자'를 고른다. 한국 시인/소설가 3인이다. 먼저 마종기 시인의 신작 시집이 나왔다. <마흔두 개의 초록>(문학과지성사, 2015). 시집으로는 <하늘의 맨살>(문학과지성사, 2010)에 이어지는 것이니 5년만이다. 그 사이 루시드 폴과 나눈 서신 교환집 <아주 사적인 긴 만남>, <사이의 거리만큼, 그리운>(문학동네, 2015)이 출간됐었다. 시집 소개만 옮기면 이렇다.

 

반세기 가까운 시간 동안 타국에서 의사의 삶을 살며 뼛속 깊이 새긴 외로움과 서러움, 그리고 조국과 모국어에 대한 그리움을 맑고 투명한 시들에 담아온 마종기 시인이 시력 55년을 맞아 새롭게 시집 <마흔두 개의 초록>을 출간했다. <하늘의 맨살>(문학과지성사, 2010) 이후 5년 만에 선보이는 이번 시집은 특히 어머니와 지인들을 떠나보내는 상실의 아픔을 시인 특유의 간절하고 지순한 목소리로 전하는 한편, 수십 년 만에 이룬 국적회복의 감격과 기쁨을 솔직하고 희망찬 시어들에 담고 있다.

절친이면서 늘 같이 떠올려서 그런지 황동규 시인의 신작도 생각난다. <사는 기쁨>(문학과지성사, 2013)이 가장 최근 시집이었으니 1-2년 더 기다려야 할 듯싶다. 돌이켜보면, 55년전만 하더라도 한국 시단의 가장 젊은 시인들이었다! 그랬던 것이다...

 

 

여전히 '시인 김선우'로 기억되는 김선우의 또 다른 장편소설도 출간됐다. '요석 그리고 원효'를 부제로 단 <발원>(민음사, 2015)이다. 그러고 보니 가장 최근에 낸 책도 시집이 아니라 장편소설이었다. <물의 연인들>(민음사, 2012). 무얼 말하고자 한 소설인가.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는 시인이자 날카로운 산문가 그리고 통찰력 있는 소설가이기도 한 작가 김선우의 네 번째 장편소설. 원효와 요석의 사랑 그리고 당시 신라의 사회상과 원효의 사상을 공중제비를 도는 주령구처럼 균형감 있게 다루고 있다. 원효의 일대기는 후대의 필요에 따라 각색되거나 축소, 과장되었고 이 또한 그 수가 많지 않다. 때문에 원효의 삶은 우리에게 피상적 차원에 머물러 있다. 김선우는 시인 특유의 유려한 문장과 드라마틱한 이야기 전개로 역사 속 인물 원효를 우리 곁에 인간 원효로 탈바꿈시킨다. 또한 원효의 그림자처럼 남아 있는 요석 공주 또한 주변부 인물이 아닌, 운명에 맞서는 당당한 여성으로 그려 낸다.

역사소설이라기보다는 역사 판타지라고 해야 할 텐데(우리가 상상하는 신라) 어떤 동기가 원효와 요석 이야기로 작가를 이끌었는지 궁금하다.

 

 

마흔에 접어들었지만 아직은 '젊은 작가' 축에 드는 손홍규의 산문집도 나왔다. <다정한 편견>(교유서가, 2015). 장편소설 <서울>(창비, 2014)이 지난해에 나왔으니 신작 장편이 나올 차례는 아니고, "2008년부터 3년 반 동안 일간지에 연재했던 칼럼 '손홍규의 로그인'을 묶은 산문집"이다. 신형철 평론가의 추천사를 참고한다.

긴 글은 실력으로, 짧은 글은 노력으로 씁니다. 짧은 글에는 실력이 필요 없다는 뜻이 아니라, 짧은 글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그만큼 드물다는 뜻입니다. 이제는 남의 것에서도 대충 쓴 것은 알아보겠어서 감히 하는 말이지만, 이 책에 실린 손홍규 형의 글 중에 한두 시간 만에 뚝딱 쓰인 것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순수한 그가 미련할 정도로 최선을 다한 자취들 앞에서 저는 몇 번은 눈물겨웠습니다.

15. 05. 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