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으로 교양과학 분야의 책을 한 권 고른다. 휴 앨더시 윌리엄스의 <메스를 든 인문학>(알에치코리아, 2014). 제목에 '인문학'이 들어 있어서 '교양 인문학'으로도 분류되는 책이다. '과학과 인문, 예술을 넘나드는 우리 몸 이야기'니까 몇 다리 걸치는 책이긴 하다. 저자는 <원소의 세계사>(알에이치코리아, 2013)로 먼저 소개됐던 과학 칼럼니스트.

 

 

덕분에 기억이 났는데, 작년에 <원소의 세계사>를 소개하면서 "찾아보니 저자의 신작은 <해부학: 인체의 문화사>다. 이 또한 번역되면 좋겠다"는 바람을 적은 바 있다. <메스를 든 인문학>이라고 제목이 바뀌어서 못 알아봤는데, 그 <해부학>이 번역된 것. 당연히 원서와 함께 장바구니에 넣었다. 의학 교재로서 <해부학>에까지 손길이 가는 건 아니지만(의사인 동생에게 빌려볼 수는 있겠다) '인체의 문화사'라고 하면 관심도서로 부족함이 없다.

 

 

해부학 책에 어떤 게 있나 잠시 검색해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작가와 작품은 페데리코 안다아시의 <해부학자>(문학동네, 2011)다. 등잔 밑이 어둡다고 책장에 꽂혀 있는데도 주목해보지 못했다. 저자는 1963년생 아르헨티나 작가로 국내엔 <해부학자>만 소개된 듯싶다.  

기발한 상상력과 실험정신으로 무장한 아르헨티나 작가 페데리코 안다아시의 첫 장편소설이자 대표작으로, 실존 인물인 16세기 최고의 해부학자 마테오 콜롬보의 독특하면서도 위험한 ‘발견’을 그린 소설이다. 여성의 사랑과 쾌락을 지배하는 작은 신체기관인 클리토리스를 발견하게 된 과정과, 악마에게 힘을 실어주는 발견을 했다는 이유로 종교재판에 회부된 해부학자의 이야기가 긴박감 있게 펼쳐진다.

30여 개 언어로 번역된 세계적 베스트셀러라고 하니까 구미가 당긴다. 남미 작가들을 강의차 읽는 김에 한번 읽어봐야겠다. 이런 책은 연필이 아니라 메스를 들고 읽어야 할까?..

 

14. 09. 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