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미셸 투르니에의 책을 몇권 주문했는데, 그중 하나는 <미셸 투르니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시간>(예담, 2011)이다. 여러 차례 나왔던 책인데, 역자는 같지만 매번 제목과 표지가 달라지는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기도 하다.

 

 

처음 나온 판본은 <상상력을 자극하는 110가지 개념>(한뜻,1998)이고, 소장본이기도 하다. 하지만 손 닿는 곳에 없기에, 또 다시 읽어볼 마음에 <상상력을 자극하는 시간>을 주문한 것. '110가지 개념' 같은 말이 제목에 빠져서 다행이지만, 그래도 마음에 드는 제목은 아니다. 같은 책이 <소크라테스와 헤르만 헤세의 점심>(북라인, 2000)으로 한번 탈바꿈했을 때도 너무 분칠한 제목이어서 마음에 들지 않았다. 원제는 담백하게 그냥 <생각의 거울>이고, 그렇게 나온 적이 있다. <생각의 거울>(북라인, 2003). 표지도 담백한 게 그중 마음에 든다. 하지만 이 또한 절판되고, 새로 나온 것이 <미셸 투르니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시간>. 그래서 '오래된 새책'이다. 

 

 

 

아침에 같이 주문한 책은 투르니에의 산문집 <외면일기>(현대문학, 2004)와 독서노트 <흡혈귀의 비상>(현대문학, 2002)이다. 전자는 올해 10쇄를 찍었으니 꾸준히 나가는 책이고, 후자는 아직 1쇄도 빠지지 않았다. <흡혈귀의 비상>은 개인적으론 러시아본도 갖고 있는 책이다. 언젠가는 이런 종류의 '독서노트'도 써보면 좋겠다는 꿈을 갖게 한다. '흡혈귀의 비상'이라고 부르는 투르니에의 독서론은 이렇다(뒷표지에 실린 것으로 <짧은 글 긴 침묵>으로부터의 인용이다).

 

 

작가가 한 권의 작품을 세상에 내놓는다는 것은 얼굴도 모르는 남녀 군중들 속으로 종이로 된 수천 마리의 새를, 바삭 마르고 가벼운, 그리고 뜨거운 피에 굶주린 새떼를 날려보내는 것이다. 이 새들은 세상에 흩어진 독자들을 찾아간다. 이 새가 마침내 독자의 가슴에 내려앉으면 그의 체온과 꿈을 빨아들여 부풀어오론다. 이렇게 하여 책은 작가의 의도와 독자의 환상이 분간할 수 없게 뒤섞여서 들끊는 상상의 세계로 꽃피어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독서가 끝나고 바닥까지 다 해석되어 독자의 손에서 벗어난 책은 또 다른 사람이 또다시 찾아와 그 내용을 가득한 것으로 잉태시켜주기를 기다린다. 이렇게 주어진 사명을 다할 기회를 가진 책이라면 그것은 마치 무한한 수의 암탉을 차례로 도장 찍어주는 수탉처럼 손에서 손으로 전해질 것이다.

12. 03. 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