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미셸 투르니에의 책을 몇권 주문했는데, 그중 하나는 <미셸 투르니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시간>(예담, 2011)이다. 여러 차례 나왔던 책인데, 역자는 같지만 매번 제목과 표지가 달라지는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기도 하다.



처음 나온 판본은 <상상력을 자극하는 110가지 개념>(한뜻,1998)이고, 소장본이기도 하다. 하지만 손 닿는 곳에 없기에, 또 다시 읽어볼 마음에 <상상력을 자극하는 시간>을 주문한 것. '110가지 개념' 같은 말이 제목에 빠져서 다행이지만, 그래도 마음에 드는 제목은 아니다. 같은 책이 <소크라테스와 헤르만 헤세의 점심>(북라인, 2000)으로 한번 탈바꿈했을 때도 너무 분칠한 제목이어서 마음에 들지 않았다. 원제는 담백하게 그냥 <생각의 거울>이고, 그렇게 나온 적이 있다. <생각의 거울>(북라인, 2003). 표지도 담백한 게 그중 마음에 든다. 하지만 이 또한 절판되고, 새로 나온 것이 <미셸 투르니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시간>. 그래서 '오래된 새책'이다.


아침에 같이 주문한 책은 투르니에의 산문집 <외면일기>(현대문학, 2004)와 독서노트 <흡혈귀의 비상>(현대문학, 2002)이다. 전자는 올해 10쇄를 찍었으니 꾸준히 나가는 책이고, 후자는 아직 1쇄도 빠지지 않았다. <흡혈귀의 비상>은 개인적으론 러시아본도 갖고 있는 책이다. 언젠가는 이런 종류의 '독서노트'도 써보면 좋겠다는 꿈을 갖게 한다. '흡혈귀의 비상'이라고 부르는 투르니에의 독서론은 이렇다(뒷표지에 실린 것으로 <짧은 글 긴 침묵>으로부터의 인용이다).


작가가 한 권의 작품을 세상에 내놓는다는 것은 얼굴도 모르는 남녀 군중들 속으로 종이로 된 수천 마리의 새를, 바삭 마르고 가벼운, 그리고 뜨거운 피에 굶주린 새떼를 날려보내는 것이다. 이 새들은 세상에 흩어진 독자들을 찾아간다. 이 새가 마침내 독자의 가슴에 내려앉으면 그의 체온과 꿈을 빨아들여 부풀어오론다. 이렇게 하여 책은 작가의 의도와 독자의 환상이 분간할 수 없게 뒤섞여서 들끊는 상상의 세계로 꽃피어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독서가 끝나고 바닥까지 다 해석되어 독자의 손에서 벗어난 책은 또 다른 사람이 또다시 찾아와 그 내용을 가득한 것으로 잉태시켜주기를 기다린다. 이렇게 주어진 사명을 다할 기회를 가진 책이라면 그것은 마치 무한한 수의 암탉을 차례로 도장 찍어주는 수탉처럼 손에서 손으로 전해질 것이다.
12. 0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