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식민주의의 만행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보게 만드는 책이 출간됐다. 레이첼 홈스의 <사르키 바트만>(문학동네, 2011). 19세기초 유럽 백인에게 잡혀와 런던의 쇼무대에 서고, 나중에는 파리 자연사박물관의 연구대상이 된 아프리카 여성 사르키 바트만의 얘기다. 학교 현장에서도 많이 읽혔으면 싶다...  

  

경향신문(11. 10. 15) ‘아프리카 여인’을 발가벗긴 근대유럽의 오만과 편견

‘호텐토트의 비너스’가 영국 런던의 피카딜리 쇼무대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10년이었다. 140㎝ 정도의 작은 키, 숯처럼 반들반들한 검은 피부에 툭 튀어나온 광대뼈, 먼 곳을 바라보는 불가사의한 표정과 보조개가 깊이 팬 하트형 얼굴은 사람들의 이목을 단박에 집중시켰다. 관객들의 시선은 얇은 실크 너머로 비치는 크고 탱탱한 젖꼭지에 쏠렸다. 더욱 시선을 끌어당긴 것은 그녀의 하반신이었다. 런던의 관객들은 거대한 소음순과 준봉처럼 솟아오른 엉덩이에 완전히 흥분했다.

저자 레이철 홈스는 남아공 출신으로 영국에서 활동해온 여성 저널리스트다. 그는 “19세기 유럽 인종주의의 희생양”이었던 남아프리카 여인 사르키 바트만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복원해내면서 근대 유럽인들의 오만과 편견을 발가벗긴다.

평범한 호텐토트족 여성이었던 바트만은 10대 후반에 강가에서 약혼식 축제를 벌이다가 백인에게 납치당한다. 피카딜리 무대에 선 그녀는 아프리카 현악기 람키를 연주하며 목청껏 노래를 불러야 했다. 짐승 같은 눈빛을 번뜩이는 남자들 앞에서 성큼성큼 뛰어다니다가 몸을 부르르 떠는 원주민 춤을 춰야 했다. 쇼는 일주일에 엿새, 하루에 4시간씩 펼쳐졌다. 입장료는 2실링이었다. 백인 공연기획자들은 그녀를 팔아 돈을 챙겼고, 영국 언론들은 “특이한 몸매의 비너스”를 경쟁적으로 대서특필하면서 사람들의 호기심을 부채질했다. 유럽인들은 그녀의 몸매를 “불량한 진화의 증표”로 여겼다. 그들은 그렇게 “동물이 멈추고 인간이 시작되는 지점의 증표”를 뜨거운 호기심으로 훔쳐봤다.

저자는 당시의 언론이 붙여준 “호텐토트의 비너스”라는 수식어에 영국인들의 집단적이고 변태적인 관음증이 숨어 있다고 지적한다. 저자에 따르자면 “비너스는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성욕과 동일한 의미로 오랫동안 사용”됐으며, “호텐토트란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것, 성적으로 변태적이며 과도한 것”으로 인식됐다. 그래서 호텐토트와 비너스를 합친 조어는 “대단한 파급력”을 발휘했다. 그것은 “퇴폐와 욕망, 금기와 허락, 야수적 육욕과 초월적 여신의 결합”이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쇼의 인기는 식었다. 흥행업자는 1814년 그녀를 배에 태워 프랑스 파리로 건너갔다. 호텐토트의 비너스는 여흥과 오락의 본거지였던 팔레루아얄 무대에 섰다. “낮 12시부터 저녁 6시까지 쇼를 하고, 날이 저물면 레스토랑이나 선술집, 북적대는 카페에서 흥을 돋우는 일”을 계속했다. 그녀는 결국 절망에 빠져 코냑에 중독됐고 병을 얻었다. 흥행업자는 병든 그녀를 파리의 자연사박물관에 팔아넘겼다. 이제 그녀는 “특이한 몸매”를 “과학적 객관성을 추구한다는 교수들 앞에서 특별 공개”해야 했다. 그녀는 옷을 벗지 않겠다고 저항했으나 허사였다.

그녀를 발가벗긴 당사자는 프랑스의 유명한 고생물학자 조르주 퀴비에였다. 1815년 혹독한 겨울, 스물다섯살의 그녀가 마침내 세상을 떠나자 퀴비에는 톱으로 두개골을 잘라 뇌를 적출했다. 음순과 클리토리스, 질을 잘라내 유리병에 담았다. 나머지 몸뚱이에는 밀납을 발라 미라로 만들었다.

런던은 그녀를 변태적 성욕으로 유린했고, 자유·평등·박애의 도시로 자부했던 파리는 과학이라는 명분으로 그녀를 도살했다. 저자는 책의 말미에서 “그녀는 식민주의가 낳은 소외와 비인간화의 상징, 착취당하는 모든 흑인여성의 고통과 절망에 대한 현재적 상징, 인종주의가 남긴 심리적·문화적·정서적 상처의 상징”이라고 강조한다.

만신창이가 된 사르키의 육신이 고향으로 돌아간 것은 그로부터 192년이 흐른 뒤였다. 넬슨 만델라는 프랑스 정부에 사르키의 반환을 강력하게 요청하면서 “용서할 수 있지만 잊지는 않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남아공 현지에서 그 귀환의 현장을 입술을 깨물며 지켜봤던 이 책의 번역자 이석호(아프리카문화연구소 소장)는 “사르키는 지금 이 순간, 내 안에, 내 앞에, 내 곁에 무한복제로 되살아나는 도플갱어”라고 울부짖는다. “찢어진 내 자아의 다른 얼굴이고, 남자라는 이름의 제국이 거느리고 있는 최후의 식민지이며, 초라한 제국이 그 적멸을 늦추기 위해 휘두르는 채찍과 뭇매를 묵묵히 견디는 육체”라고 절규한다. 사르키 바트만의 생애를 10년 넘게 탐구해온 그의 번역은 생생하고 유려하다.(문학수 선임기자) 

11. 10. 1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맑은시내 2011-10-19 04:22   좋아요 0 | URL
샤르키 바트만, MBC 서프라이즈에서 다루어서 처음 알게 된 이야기였죠. 인권과 평등을 외치는 서구 지식인들의 추악한 진면목을 마주하며 충격을 받았었지요. 씁쓸하고 안타까운 사건이지만, 지금도 그같은 유린이 잔재해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가 없네요.

보스코프스키 2011-10-19 21:45   좋아요 0 | URL
EBS의 지식채널에서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유사한 사건으로는 조지프 매릭 - 영화 <<<디 엘리펀트 맨>>>으로도 유명한 - 도 있긴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