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창 교수의 칼럼에 대해서 몇 마디 적으려고 검색하다가 지난달에 세상을 떠난 미국 철학자 리처드 로티에 관한 기사를 읽게 되었다(나는 부랴부랴 마이리스트 하나 작성하는 걸로 추모를 대신했었다). 기사 끄트머리에 사회적 독서목록에 올려놓은 <인문정신과 인문학>(아카넷, 2007)에 실린 김우창 교수와의 서신대담이 언급되고 있어서 이 페이퍼 또한 '사회적 독서'로 분류해놓는다(대담 내용은 조만간 읽어봐야겠다). 로티에 대해서는 기사를 읽어가면서 몇 마디 덧붙이도록 한다.

동아일보(07. 07. 17) 리처드 로티 교수 “보편적 진리는 없다” 플라톤에 반기

지난달 8일 미국 철학계의 이단자 리처드 로티(사진) 스탠퍼드대 교수가 췌장암으로 숨졌다. 향년 76세. 그는 ‘미국의 데리다’라 할 만큼 포스트모더니즘에 큰 영향을 끼쳤지만 주요 외신에선 그의 죽음을 보도하지 않았고 국내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그만큼 그는 분석철학 중심의 미국 철학계에서 이단적 존재였다.(*그 정도로 조용했었다면 의외이다. 철학계에서야 이단적이었다 하더라도 그는 저명한 '철학자'였는데 말이다.)



로티 교수는 진리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서구 철학 전통을 맹렬히 비판해 상대주의자, 현대의 소피스트, 반()철학자로 공격받았다. 다른 한편으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실상 멸실된 프래그머티즘의 전통을 부활시킨 네오프래그머티즘의 기수라는 점에서 진정한 미국 철학자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그의 주저에 속하는 <실용주의의 결과>(민음사, 1996) 등이 모두 품절 상태라는 게 아쉽다.) 



한국 사회는 19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의 열풍 속에 서구 합리주의 전통을 비판한 그의 이론 수입에만 급급했다. 1996년과 2000년, 두 차례나 그를 초청할 만큼 호기심은 컸으나 독일 철학이 강세인 한국에서 그의 철학은 여전히 겉돌았다. 별세를 계기로 그의 철학 세계를 들여다본다.

○ 로티는 왜 문제적인가
1931년 뉴욕에서 태어난 로티 교수는 14세에 시카고대에 입학할 만큼 조숙한 천재였다. 일찍부터 궁극의 진리를 추구했던 플라톤에 심취했던 그는 20세에 플라톤 철학의 한계를 파악하고 결별을 선언했다. 하지만 당시 미국 철학계는 논리와 언어를 중시하는 분석철학이 지배적이었다. 그 역시 분석철학으로 25세 때 예일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30세에 프린스턴대 교수가 되면서 분석철학의 총아로 떠올랐다.(*그가 분석철학계에서 받은 주목은 저명한 논문모음집인 <언어학적 전회>의 편집을 맡았다는 점에서도 암시된다.)

 

그러던 그가 1979년 ‘철학과 자연의 거울’을 발표하며 플라톤 철학과 분석철학에 반기를 들었다. 그의 첫 주저로 꼽히는 이 책에서 그는 플라톤, 데카르트, 칸트로 이어지는 철학 전통을 본질주의, 정초()주의, 표상주의라고 비판하며 철학은 보편적이고 객관적 진리를 담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발 더 나아가 ‘철학하기’와 ‘문학하기’를 동렬에 놓고 옳고 그른 것이 아니라 얼마나 참신한가가 중요하다고 설파했다.(*국내에는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이라고 어색한 제목으로 번역된 책이다.)



이는 연암 박지원이 정조에 의해 문체반정으로 몰린 것과 같은 파문을 미국 철학계에 가져왔다. 그는 결국 동료 교수와의 갈등 끝에 버지니아대로 옮겨야 했지만 문학과 철학을 아우르며 자신만의 철학을 펴 나갔다.(*로티는 프린스턴대 철학과에서 쫓겨나다시피 하여 버지니아대의 '인문학교수'로 자리를 옮기고 이후에 스탠포드대학의 '비교문학과'에 재직했다.) 

○ 로티는 상대주의자인가
로티는 참된 지식으로서의 진리는 언제든 오류 가능성이 있으며 인간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역사적 조건 하에서만 진리라는 프래그머티즘의 계승자를 자처했다. 이는 프래그머티즘이 실용주의로 번역될 때 발생하는 오류, ‘좋은 게 좋은 것’이라는 적당주의 내지 결과만 중시하는 도구주의에 빠졌다는 오해를 낳았다. 그러나 프래그머티즘 사상가인 찰스 퍼스,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는 자신이 믿는 진리를 타인에게 강요하는 근본주의의 위험성을 가장 정교하게 이론화한 실천철학가로 재조명되고 있다.(*미국의 프래그머티즘이야말로 우리식으로 하면 '실학(實學)' 아닌가?) 



로티의 네오프래그머티즘은 여기에 공()과 사()의 구분을 도입했다. 타인의 고통을 줄이기 위한 실천이 공이라면 자신의 신념을 이론화하는 것은 시를 쓰는 것과 같은 사적 행위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이런 관점은 그의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민음사, 1996)에 잘 나타나 있다. 알라딘에는 아예 서명도 뜨지 않지만). 이는 반()철학자라 불릴 만큼 급진적인 로티 철학의 진면목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 실제 로티는 이론적으론 포스트모던 문예철학을 펼쳤지만 이를 정치 현실에 바로 적용하려는 ‘문화적 좌파’를 비판하며 의료·교육·조세 개혁과 같은 구체적 민생정책을 지지했다.



로티 밑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친 이유선 군산대 연구교수는 “객관주의와 상대주의라는 철학의 기존 담론구조를 버리자는 로티의 말을 상대주의로만 받아들이는 것은 달은 보지 못하고 이를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이유선 교수의 <리처드 로티>(이룸, 2003)은 가장 평이하면서도 요긴한 로티 입문서이다. 객관주의와 상대주의에 대해서는 리처드 번스타인의 <객관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서>(보광재, 1996)가 아주 잘 씌어진 책이다.) 



○ 관련 저술
로티의 저술은 민음사에서 번역 출판된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실용주의의 결과’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 등이 있다. 로티의 사상을 다룬 개론서로는 ‘리처드 로티’(이유선·이룸), ‘로티의 신실용주의’(김동식·철학과현실사), ‘로티’(데들레프 호르스터·인간사랑) 등이 있다.(*거기에 덧붙여, 로티가 추천사까지 쓴 마크 에드먼드슨의 <문학과 철학의 논쟁>(문예출판사, 2000)이 로티의 입장과 정신에 충실한 책으로 읽어볼 만하지만 국역본 번역은 암호문 수준이다.) 



한국학술협의회 학술지 ‘지식의 지평’ 최근호까지 2회에 걸쳐 실린 김우창 고려대 교수와 서신대담 ‘아시아의 주체성과 문화의 혼성화’에선 투병 중임에도 진지한 논쟁을 펼친 노학자의 정열을 확인할 수 있다.(권재현 기자)

07. 07. 19.

P.S. 로티에 관한 책으로 두 권만 더 언급하기로 한다. 하나는 <로티와 그의 비판자들>(2000)로 블랙웰출판사의 시리즈물 중 하나이다. 오래전에 교보에서 구입한 책인데 로티의 쟁점들에 대한 다양한 비판과 그의 답변들을 싣고 있다. 다른 한권은 내가 안 갖고 있는 책인데, <자유를 돌보아라, 진리는 스스로 돌볼 것이다>(2005)란 제목의 인터뷰집이다. 원제는 'Take Care of Freedom and Truth Will Take Care of Itself: Interviews with Richard Rorty'. 아마도 로티 입문서로는 가장 적합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7-07-19 19:57   좋아요 0 | URL
허...14살에 대학에, 30살에 교수가...

로쟈 2007-07-19 20:40   좋아요 0 | URL
미국에서야 대학에 조기입학 하는 경우가 드물진 않으니까요. 30살에 교수가 된 것도 특별히 이른 건 아니죠. '정교수'가 된 거라면 얘기는 좀 다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