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1916) 강의가 있었다. 올해도 여러 차례 강의한 작품이다(<로쟈와 함께 읽는 문학 속의 철학>에 포함돼 있다). <더블린 사람들>(1914)의 몇몇 단편을 제외하면 조이스의 작품들 가운데 유일한 강의 레퍼토리에 해당한다. 내년에 <율리시스>에 도전할 계획이어서 미리 관련한 책들을 준비하며 전열을 가다듬고 있는데, 강의중에도 곧잘 언급하는 것이지만 나는 조이스가 <율리시스>(1922) 정도에서 멈추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가 걸작이라고 부른 ‘괴물‘ <피네간의 경야>(1939)는 우주의 언어로 쓰였다는 말 그대로 인간의 언어로는 이해하거나 옮길 수 없기 때문이다. ‘언어도단‘의 여실한 사례가 아닐까.

조이스 전문가로서 김종건 교수가 학자로서의 일생을 바쳐서 이 작품을 번역하고 주석을 붙였지만 결과를 놓고 보건대 안타까운 마음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번역의 불가능성 내지 무의미성을 보여주는 게 <피네간의 경야> 번역이기 때문이다. 조이스의 숱한 신조어를 옮기기 위해 역자는 생경한 한자어를 무수히 동원하는데 그로 인해 이 작품은 한글 번역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국한문혼용체 소설이 되어버리고 만다. 한자 병기를 생략하고 초반부를 읽어보자.

˝사랑의 재사, 트리스트람경, 단해 너머로부터, 그의 반도의 고전을 재차 휘두르기 위하여 소유럽의 험준한 수곡 차안의 북아모리카에서 아직 도착하지 않았나니 오코노의 흐르는 샛강에 의한 톱소야의 암전이 항시 자신들의 감주수를 계속 배가하는 동안, 조지아주 로렌스군의 능보까지 아직 지나치게 쌓지 않았으니 뿐만 아니라 원화로부터 혼일성이 ‘나 여기 나 여기‘ 하고, 풀무하며 다변강풍으로 패트릭을 토탄세례하지 않았으니 또한 아직도, 비록 나중의 사슴고기이긴 하나, 아직도 피의 요술사 파넬이 얼빠진 늙은 아이작을 축출하지 않았으니, 비록 바네사 사랑의 유희에 있어서 모두 공평하였으나, 이들 쌍둥이 에스터 자매가 둘 혹은 하나의 나단조와 함께 과격하게 격노하지 않았나니, 아빠의 맥아주 한 홉마저도 젬 또는 셴으로 하여금 호등으로 발효하게 하지 않았나니, 그리하여 눈썹 무지개의 붉은 동쪽 끝이 바다 위에 반지마냥 보였을지라.˝(<복원된 피네간의 경야>,3쪽)

<피네간의 경야>는 원어민들도 ‘읽을 수 없는 책‘으로 치부하며 독자보다 박사학위자가 더 많다고 일컬어지는 작품이다. 첫 페이지에 나오는 한 문장을 예시했지만 우리말(?) 번역으로도 당연히 읽을 수 없는 작품이다. 심오해서가 아니다. 그냥 말이 안 되기 때문이다(박상륭의 <칠조어론>이 이에 견줄 만한 사례라고 할까). 원문으로야 소수의 독자가 심오한 무엇을 찾아볼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 이런 투의 문장을 600쪽 넘게 읽고, 거기에 딸린 12000개가 넘는 주석을 읽어야 한다는 건 고문에 가깝다(책값은 48000원이다).

<피네간의 경야>가 심오한 걸작이라는 데 나는 동의하지 않지만 설사 그렇다 한들 우리에게는 아무 의미가 없는 작품이다. 내가 찾을 수 있는 의미는 조이스가 문학의 막다른 길, 문학의 벼랑을 보여주었다는 것. 덕분에 많은 작가와 독자들이 그 벼랑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 물론 그럼에도 남들은 가지 않는다는 이유로 굳이 그 벼랑길로 가보려는 독자도 있으리라. 나는 이쯤에서 그들을 배웅하고자 한다. 내가 동행할 수 있는 조이스는 <율리시스>까지만이다. 그 정도만으로도 조이스의 다이달루스적 기예는 충분히 훌륭했다. 추락의 기예까지 보여줄 필요는 없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1-12-24 0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피네간의 경야를 살까 주저하다가 단념했습니다.
잘했다고 하기엔 상황이 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