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울적해서 비행기표를 끊을 수는 없기에 책을 사서 읽었다. 이번엔 도쿄. (교토는 여행 섹션이 아니라 문학 섹션에 해당하는 독서였음)

 

아주 찬찬하게 V-log를 풀어쓴듯한 책이다. 카페와 서점 등의 정보와 간단한 인상들이 (지루하게) 묘사되어있다. 그런데 미안해서 끝까지 참고 읽었다. 그 덕에 새로운 일을 해내는 작가의 모습을 마지막 챕터에서 읽었고 책이 달라 보이기는 하지만. 책이 너무 길다는 생각이 들었다. 쳐져.

 

아, 어쩌면 이런 게 '인디'의 모습일까. 하지만 특이하거나 달라 보이지 않고 글은 늘어지고 마지막 챕터의 그 이벤트 말고는 왠지 주눅들고 쭈뼛거리는 작가의 모습이 갑갑했다.

 

 

 

 

 

 

책의 컨셉, 요란한 관광지 대신 뒷골목의 카페와 서점을 소개하는 것은 같고 조용조용 나직나직 문장도 비슷하다. 하지만 이 책은 한량 짜리 옛 전차를 타고 도쿄 북부를 여행한다는 조금 더 확실한 노선을 보여준다. 그리고 글도 군더더기가 없는데다 사진이 있다. 그래도 비슷한 분위기다. 블로그 같은. 

 

책 속의 이런 모습의 동네는 서울의 어디쯤일까, 각 구의 동 마다 이런 곳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동네 마다 시장 하나씩 끼고 있으니까. 이마트나 홈플러스도 동네 색깔을 갖고 있으니까. 그런데 우리 아파트 옆 골목에 갑자기 미장원 두 개가 들어와서 뜨악하다. 작년엔 돈까스 집이 같이 생기더니만. 들어가서 조용히 주인과 이야기 나누고 커피를 마시며 책을 읽을 곳이 ... 없구나, 우리 동네엔. 대신 스타벅스가 있지. 됐어, 그거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박한 (의도한) 편집과 거친 말투에 유투브는 영 정이 안가....기는 작년에 식단 조절하면서 나는 유투브를 보느라 잠시 (그리고 계속) 책 읽는 시간이 줄어버렸다. 박막례 채널을 입소문과 히트 영상 소개로 알게 되었다. 하지만 난 막례씨의 하울영상이나 드라마 감상이 별 재미가 없어서 냅뒀다가.... 책 표지와 소개글에 낚였다. 여자는 풍채, 여자는 근육!

 

일 잘하고 씩씩하지만 여자라고 배움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사기 당했던 막례씨. 얼마전 읽은 할머니들의 책 내용이 떠올랐다. 70대, 우리 엄마 세대의 여자들 왜 이렇게 힘드셨어요...ㅜ ㅜ

 

하지만,

유툽 크리에이터는 유툽 영상으로 만날 때 가장 빛나는 것임을 (굳이 책을 사서 읽고 나서야 씁쓸하게) 확인했다. 꼭 이렇게 돈과 시간을 들여야 하니? 과거의 나야?

 

그래서 내일 중고서점에 팔러 나갈란다. 중고서점에서 돈을 더 보태 뭘 더 사서 들고 오겠지만. 왜 아니겠어. 그게 나의 아이덴티티인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홍준의 교토 책에서도, 이다혜의 교토 책에서도 언급되는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 '고도'.

 

옛도시 교토, 예전엔 융성했던 포목점과 관습이 1960년대 유행에 밀려나지만 봄마다 피어나는 제비꽃과 다달이 있는 마쓰리처럼 교토의 생명력은 살아난다. 모리미 토미히코의 흥청망청 교토의 대학생 주인공들 처럼 치에코는 봄 여름 가을 겨울 교토와 근방 삼나무 숲을 바지런히 걸어 (그리고 버스로) 다닌다. 치에코는 누구일까. 이제 스무살 여자. 결혼을 앞두고 인생의 갈림길을 이리저리 고민하고 자신의 정체성, 가게 앞에 버려진 아이,을 곰곰히 생각한다. 과거와 미래 사이에 서서 현기증을 느끼는 젊은이. 그녀의 또 다른 모습, 혹은 '환영'일 나에코와 그녀들 주위의 청년들도 마찬가지다.

 

이들과 교토 절의 축제, 나무와 꽃, 숲과 비, 그리고 눈까지 합세해 교토라는 옛도시를 그려낸다. 그러니 소설의 주인공은 치에코도 나에코도 아니라 교토. 출생의 비밀과 자매간의 애증을 보려나 했더니 사계절에 걸친 도시의 곧고 비틀리다 농염해지고 다시 말갛게 돌아보는 얼굴을 만났다. (작가의 트레이드 마크일까, 게이샤를 희롱하는 50대 남자는 안 빠지고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정 폭력과 팍팍한 경제 사정, 믿었던 친구의 배신, 그리고 몰아치는 비극의 쓰나미.

 

왜 이런 고난을 한 사람에게 들이부어야만 하는가. 시다의 일상에서는 어둡지만 꾿꾿함을 보았고 여중생 A의 곁에는 친구들이 있었는데, 미숙은 그야말로 벼랑 끝에 서 있는 듯하다.

 

 

 시인 아버지의 위선과 폭력, (꺾인 시인) 어머니의 자포자기는 무섭고 싫다. 그 아버지가 큰 아이에게 공을 던지는 장면은 어쩌면 실제로 있었던 일일지도 모른다. 가족력인 불치병까지. 이런 고난 종합 셋트를 독자가 어떻게 감당해야 하는가. 희망이랄까 생의 의미를 꺼내려 해도 미안하고 무안할 지경이다. 아만자에서도 만났던 이런 해맑은 얼굴의 .... 막막한 주인공. 고개를 돌리고 눈을 감아도 바뀌지 않는 막막한 ....나의 현실, 여기의 이 처지.

 

 

그러니까 보듬으라고? 아니면 올해 이렇고, 내년엔 나아지리라고? 발전과 성숙을 찾으라고?

어쩌면 좋을까.

 

이런 불우한 주인공의 슬픈 이야기는 우리끼리, 아니 저들끼리 읽고

편안한 재이는 저 멀리서 우아하게 지낼 것만 같은 데. 짜증이 난다.

여지껏 불우한 주인공의 고생담을 측은한 눈빛으로 읽어온 나 자신에게도 짜증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대 이상.

 

육칠십 대의 순천 할머니들이 한글, 글쓰기, 그림을 배우시고 '인생 그림책'을 내셨다. 왜 글을 못 배웠는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어떻게 살아냈는지, 얼굴도 모르는 남자와 결혼하고 아이를 키워냈는지, 그 인생 사이사이 '읽기'가 얼마나 아쉽고 힘들었는지 쓰셨다.

 

그림의 생생함 사이에 고생의 생생함이 아팠다. 그리고 지금이 인생의 최고라고 당당하게 쓰셨다. 맞다. 최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