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코코'를 보고 왔다. 더빙판이라 노래가 조금 어색했지만 기대 이상으로 (기대를 거의 안하고 정보도 없었음) 재미있게 보고 .... 울었다네.

포스터의 기타를 멘 소년은 열두살 미구엘. 구둣집 아이다. 음악을 하려고 가족을 버린 고조 할아버지 덕에 음악은 이 집안의 '저주'가 되어버렸고 '죽은자들의 날'에도 그 고조할아버지는 제삿밥도 못 얻어드신다.

구두 만드는 패밀리 비지니스 .... 하니까 읽고있는 Ferrante 장편의 2권이 생각났다. 2권은 1권의 마지막 장면, 릴라의 구두를 남편인 스테파노가 아닌 동네졸부 마르첼로가 신은 이유를 설명한다. 결혼식 이후, 릴라가 당하는 수모와 (여러 가지 면에서) 어른이 되어 자신을 떠난 그녀를 시기하는 레누의 모습이 그려진다. 이제 성인이 되었으니 (그래봤자 열여섯 살) 결혼과 육체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 더 생생하게 펼쳐진다. 새로운 이름, 남편의 성姓을 달고 더한 속박에 갇히게 되는 릴라. 그녀가 몰래 써온 글을 읽는 레누. 이 둘이 서로를 얼마나 아끼고 또 질투하는지 이제 겨우 초반부분을 읽고 있지만 흥미진진하다. 오래전의 먼 나라 이야기이지만 어쩜 이리 눈과 입에 착 달라붙게 재미있게 썼는지. 너무 빨리 읽어버리지 않으려고 속도 조절중이다. (이번엔 2,3,4 권을 다 구해두고 읽고 있음)

Elena Ferrnateㄱ가 가디언지에 새롭게 칼럼을 쓰기 시작했다.
https://www.theguardian.com/books/2018/jan/20/elena-ferrante-loved-that-boy-first-love
소설 속 인물이라고 생각한 레누가 (그 누구던간에) 이렇게 현실로 튀어나오니까, 첫 칼럼의 그 boy도 자꾸 안토니오랑 니노로 보였다. 하지만 어때, Ferrante 가 계속 쓰고 난 읽을 게 더 있는데.
또한 '코코'가 저승 이야기라 Lincoln in Bardo 도 연상되었지만 요즘 조금 덮어두고 있고요. (미안합니다 링컨님, 아들 무덤에 조금 더 계셔야 할 것 같아요) 영화의 제목 '코코'는 소년 미구엘의 고조 할머니 애칭이다. 출연 비중이 크지 않지만 제목으로 '코코'를 달 이유는 차고 넘친다. 할머니의 주름과 표정이 공들여 표현되어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온다 싶었는데....옆에 앉은 남편의 뺨은 눈물로 얼룩져 있었다. 키워주신 친할머니 생각이 많이 났다고.


영화 속 발랄한 (그리고 건강한 모습의) 프리다는 반가웠다. 디에고 따위는 냅두고 혼자 나와서 더 반가웠다. 우리집엔 파파야가 없으니 귤이라도 까먹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