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가리타가 출판하려 그리 애쓰던 원고가 너무나 역사 기록처럼 보였고 예수와 본디오 빌라도를 실존 인물로 그려냈다면 그 원고는 장성주 번역가의 설명하는 '대체역사'물이다. 오늘 새벽에 읽은 켄 리우의 단편 <북두>는 선조가 의주까지 버리고 몽진을 한 임진왜란 시기, 명나라 황제의 명(혹은 승인)을 받고 조선으로 진군하는 이여송과 활동대장 담원사의 이야기, 대체역사이다.


이여송은 명과 조선 국경에 머무르고 있다. 한차례 일본군에 당한터라 명의 원군이 필요하다. 이 전쟁에 참여하는 것이 명에게 득인지 실인지 멀리 떨어진 북경에서 소년 황제는 신중하게 판단한다. 일본군과 조선의 입장을 제대로 계산하는 명석한 담원사는 잠복해서 평양까지 진격하는 작전을 편다. 한편 조선인 출신 이여송은 전라에 있는 이순신과 협공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짧은 이야기라 더 소개하기 조심스럽다. 


역사 이야기는 결말을 안다. 많은 독자는 이순신을 당연히 알고 임진왜란과 이여송도 안다. 그 역사에 얼마나 가상의 창작 요소가 매끄럽게 들어가 있는지가 이 소설을 읽는 재미다. 요네자와 호노부의 <흑뢰성>에서처럼 역사 속 며칠 몇달을 작가가 종이와 펜/컴퓨터 모니터와 자판으로 살아내고 상상해서 우리에게 선사한다. 잠깐, 그 사이에 번역가가 있다. 이번 경우에는 장성주 선생. 원작 영문에서 다음 문장을 만들었다.


"적호(담원사의 애마)가 내뿜은 숨결이 달빛 속에서 섬뜩한 흰빛을 띠고 두 사람의 주위를 감쌌다." (북두, 291) 


임진왜란과 21세기 한국 독자 사이에 긴 시간, 중국에서 미국으로 어린 시절 이민 간 작가 켄 리우, 그의 영어 원고, 장성주 역자의 작업 등이 다 얇디 얇은 막으로 변해버렸다. 난 지금 적호의 숨결과 담원사의 긴장을 느낄 수 있다. 그가 현대 한국말을 하는 게 전혀 이상하지 않다. 번역의 힘. 


작가 켄 리우는 이 가상 역사에서 실제 역사를 참조는 했지만 그보다는 자신이 생각하는 아름다운 옛 중국 명과 지금(2010년 출간 당시 한참 쭉 쭉 뻗어나가는)의 중국을 칭송하고 있다. 그의 다른 작품 <민들레 왕조 연대기>는 초한지의 sf적 재해석인데 (한신이 여성으로 나온다니 궁금하다) 이 단편 <북두>는 아마 그 연장선으로 쓴 소품이 아닐까 생각한다. 초한지 소재와 삼국지 소재가 많이 보인다. 명의 평화를 사랑하는 황제, 시기를 앞선 과학영재 담원사, 용맹한 조선 출신 명 장군이 나온다. 하지만 이여송은 조선 출신 가문일 뿐이지 그가 분한 마음에 조선어 욕설을 할 정도로 조선에 가까운 사람은 아니다. 더해서 이순신 장군이 그에게 조선어 편지를 보냈을리가. 일기도 한자로 쓰신 분이. 켄 리우에게 조선어/한글은 한자와 격차를 둔 다른 전달 체계인 것이다. (야! 너!) 다시 역사와 나 사이의 거리가 벌어진다. 켄 리우가 대국 중국 출신 대국 미국인 작가인 자기 존재를 드러내버렸다. 우리말 번역가 측에서도 불편한 마음을 감추지 않는다.


"이순신 장군께서 전라도 앞바다에서 왜군의 보급선과 수송선을 모조리 격침하시지 않았다면, 풍신수길은 이미 한 달 전에 압록강을 건넜을 것입니다. 나흘 전에 이순신 장군을 뵈었는데, 장군께 안부 인사를 전하시더군요." (북두, 286)


명의 군인이 자국의 장군에게 보고를 하며 타국의 장군을 이렇게 높이는 것은 바른 화법이 아니다. 하지만 임진왜란 때 원군이랍시고 와서, 그것도 조상이 조선 사람이라는 인물이 열심히 싸우지도 않고 여러 잡음만 일으킨 인물에게 이순신을 낮추어 언급하기 싫었으리라. 독자인 내 마음도 그랬다. 그래서 영특한 담원사의 계책을 우리 번역문으로 읽으면서 자꾸만 나는 한산과 명량을 떠올렸고 장성주 역자의 문장에서 김훈을 보았다. 역시나 번역서는 번역서이고 번역가의 창작 활동 없이는 담원사의 "코드 네임 북두"도 제 빛을 발하지 못한다. 이야기는 이야기이다. 역사를 너무 의식하면 마음이 무거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