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의 주인공 마법사, 밀라노공작 프로스페로가 여성으로 재설정 되었지만 이 영화판 연극 <템페스트>가 여성서사는 아니다. 남동생에게 지위를 뺏기고 추방된 누나는 딸과 함께 외딴섬에서 칼을 칼며 십여 년을 살다가 폭풍우를 일으켜 섬으로 불러모은 옛 원수들을 (조금 놀래킨 다음에)  모두 용서한다. 시원한 복수 한 판이 아쉬운 셰익스피어의 말년작, 그것도 희극이라 작가는 이해와 용서로 좋게 좋게 모든 것을 보듬는다.

흑인 배우가 연기하는 섬의 원주민 칼리반을 노예삼는 행위는 섬찟해 보이는데 칼리반은 모반 혹은 해방을 꾀하며 또다른 백인 주인 (더 못난 주정뱅이)의 발에 입을 맞춘다. 멍청한 괴물이었지만 그는 프로스페로가 제일 아끼는 건 딸보다 책인 것을 잘 알았다. 영화에선 마지막에 그를 토굴로 쫓으며 가두는 대신 한참 ‘측은하게’ 바라보고 말없이 열린 문으로 보내준다. 그는 이 외딴 섬의 주인 자리를 찾을 것인가? (끝까지 자유 선언은 없다) 여러 겹의 대칭 구조, 술취한 세 머저리와 권력에 취한 세 귀족, 정전/암살 모의가 흥미롭다. 요정이 환상 마술쇼 부리는 데선 ‘한여름밤의 꿈’이 자연스레 떠오른다. 결말부분, 프로스페로가 자신의 신분과 옛 지위를 드러내며 드레스를 입고 (헙, 소리가 나도록) 코르셋을 조이는데 내 속이 다 깝깝했고. 에어리엘의 정신 사나운 cg 장면들은 밍밍한 미란다, 페르디난드 커플과 함께 이 영화의 비추천 요소다. 그래도 역시나 셰익스피어는 대작가고 명배우들의 대사 전달은 힘차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9-27 00:3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 작품 좋아합니다. 영화도 봤지만 실제 셰익스피어 글로브 극장에서 봤던 감동은 잊기 힘들 정도로 배우들 연기만큼 무대 장치도 훌륭했습니다 ^ㅅ^

유부만두 2021-09-27 00:37   좋아요 3 | URL
글로브 공연 영상 dvd도 있던데 챙겨야겠군요. 영화 버전은 좀 아쉬운 데가 있어도 재밌었어요. 런던 가서 공연 볼 날이 올까요? ㅠ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