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에 살던 여자 사냥꾼 이야기라서 모노노케 히메를 생각했다. 인간과 문명을 증오하고 자연으로의 회귀만 꿈꾸던 공주.
이 영화 주인공 사냥꾼 하마지는 산을 내려와서 도시에 사는 오빠와 힘을 합쳐 개/늑대인간, 후세 사냥에 나선다. 인간의 심장을 빼먹는 둔갑한 짐승, 후세는 우리네 구미호 (와 몇 년 전 드라마 구가의 서)를 연상시키지만 인간에게 멸시와 차별을 당해온 비운의 소수자들로 묘사된다. 하마지는 도시의 매력에 정신 없지만 어쩐지 자신도 길을 잃은 한 마리 늑대 같다는 생각이 들... 무렵 오빠와 동네 서민들을 만나 금세 인간 무리에 스며든다.
오빠와 후세 미남자 시노 사이에서 쥴리엣처럼 괴로워하는 하마지 이야기인줄 알았는데 그보다는 시노의 비극과 권력집착증 성주에 더 집중되어있다. 중간에 나오는 놀이동산 스케일의 유곽과 칼부림에 피범벅(껄쭉한 피) 표현에 뜨악했지만 (다 보여줌) 일단 구매 버튼을 누른 이상 계속 전진.
흥미로운 인물로는 하마지를 돕는 친구 메이가 나온다. 할아버지가 후세 전설담을 이야기책으로 만든 작가였고 자신도 이야기를 만들려고 애쓰는 아이다. 별 거부감 없이 하마지와 후세를 응원한다. 그 와중에 소식지 혹은 찌라시를 만들어 시내에서 사람들에게 자신의 '글'을 판매하고 있다.

이룰 수 없는 사랑 이야기라지만 억지로 애절함을 넣지는 않았다. 애절함, 말하지 못한 사랑이라면 후세 엄마와 아이 사이의 서러움과 애달픔이다. 널 멀리한 건 널 사랑해서였단다. 부디 넌 살아남아야해. 반면 인간과 후세의 차이가 너무 커서 영화 내내 차라리 느네는 따로따로 살아라, 라는 마음이 들었는데 시노가 그닥 하마지를 사랑하는 것 같지 않아서 였다. 폭력과 성적 표현 수위가 예상보다 높아서 놀랐고 하나의 중심 이야기, 주인공들을 위해 심장이 뜯겨 나가고 베이고 불에 타는 수 많은 사람들을 아랑곳하지 않고 다들 해맑아서 무서웠다. 그림은 모노노케 히메 보다 더 밝고 날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