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기의 디킨스가 스물일곱 더 어린 배우 넬리 터넌을 만나서 사랑을 한다. 급기야 본부인을 정신병원에 가두려고 까지 했으나 불발하자 세상의 여론을 의식해 넬리와 주고 받던 편지와 기록을 없앴다. 하지만 그녀의 흔적은 여기 저기에서 발견되서 결국 논픽션 작가의 책으로 나오고 학자들도 디킨스와 넬리의 관계를 밝혀냈다.

https://www.nytimes.com/2019/02/23/world/europe/charles-dickens-wife-asylum.html

 

2013년 영화는 좀 평이하다. 넬리의 목소리에 더 힘을 실어주는 듯하지만 평이하다. 결국 그 씁쓸한 미소로는 아무 것도 설명하지 못했다. 널판지로 못박고 막아버린 문 안 쪽에 갇힌 미세스 디킨스는 어찌 되었는지. 바로 미세스 로체스터가 생각나고요. 아이를 열이나 낳은 부인을 '이제는 사랑하지 않아, 그녀는 내 문학을 이해 못해' 라고 하면서 화면 가득하니 둔하게 살찐 부인의 벗은 몸을 보여주는 방식은 너무나 뻔하다. 내 예술을 알아주는 젊은 여인, 다시 샘솟는 젊음! 아니에요, 아저씨야. 그 어린 여자애 한테서 손 얼릉 떼란 말이다! 수염 덥수룩한 아저씨가 어린 넬리와 입맞추는 장면 너무 더러워.

 

부인은 부인대로 모욕당하고 무시당하고 영화 내내 대사도 거의 없다. 넬리는 넬리대로 엄마와 디킨스에 치이고 막히다가 끝까지 남편과 아이 앞에서 입을 다문다. 그녀가 속 이야기를 성직자에게 하는가, 멀리서 관객은 추측만한다. 예술하는 사오십대 유부남 남자에게 어린 여성 독자/제자의 선망과 손길이 가 닿는다. 불륜 혹은 사랑, 그리고 예술. 그 예들이 현실에서도 빈번하다. ㅅㅇㅇ 작가와 ㅂㅇㅈ 시인. 그녀들의 목소리를 순수하게 만날 수 있을까. 그녀들은 동등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을까.

 

대작가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는 없었지만 '위대한 유산'의 결말에 대한 넬리와 디킨스의 대화 장면은 인상깊다. 맺어지지 않는 두 연인. 성장하는 두 인간. 아, 핍과 에스텔라 얘깁니다. 디킨스랑 넬리 아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19-02-27 0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도 위대한 유산을 안 읽었다는... ㅜㅜ

유부만두 2019-02-27 07:48   좋아요 0 | URL
읽으세요. 강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