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한 세대 뒤에 영화가 예술로 불릴 수 있다면, 그건 타르코프스키 덕분일 것이다."

<제7의 봉인>으로 유명한 감독 잉그마르 베르히만의 평가다. 순수하게 영화학적인 관점에서는  작가주의에 충실한 감독으로 평가받는 듯하지만, 내가 보는 관점은 좀 다르다. 그는 단순히 예술성이 높은 영화를 만들려 했던 게 아니라, 영화를 통해 메시지를 전하려 한 것이다. 영화평론가들이 써놓은 리뷰들을 보면 온갖 전문용어와 카메라 기법들이 어쩌구 하면서 현학적 분석에 매달리는 가운데 머리가 아파온다. 사실 타르코프스키가 말하려 했던 것은 지극히 간단한데...

위 장면은 그가 이탈리아로 망명한 뒤 만든 <향수 Nostalghia>(1983)의 한 장면이다.  외면적 줄거리는 18세기 이탈리아로 망명한 러시아 작곡가 소스토프스키의 고향 러시아에 대한 향수를 표현한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타르코프스키 자신의 향수를 표현한 것일 거라 생각하지만, 나는 우리가 잃어버린 영적 고향, 근원적 순수성에 대한 향수를 말하는 것이라 느낀다. 이 작품 하나만이 아니라 다른 작품들을 함께 감상하다 보면 그 점이 이해가 될 것이다. 타르코프스키의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영적 성장을 담고 있다. 자서전인 <봉인된 시간>(1991)이 카톨릭 출판사인 분도출판사에서 처음 나온 것도 그런 이유이고, 안드레이 루블료프(1966)가 소련 당국에 의해 혹독하게 비판받았던 것도 그런 이유에서인 것이다.

소스토프스키의 자취를 찾아가던 고르차코프가 온천에서 촛불을 꺼뜨리지 않고 들고가려는 장면... 많은 사람들이 이 장면의 지루함에 짜증을 냈다.(롱 테이크 기법으로 촬영해서 더 그랬는지도 모른다) 홍콩영화와 헐리웃 블록버스터의 현란한 앵글에 익숙해진 관객들에게 이 장면은 예술영화가 난해하고 지루하다는 느낌, 나쁜 인상을 결정적으로 굳히는 계기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바로 이 지루함이 다람쥐 쳇바퀴돌듯 하는 우리의 삶에서 뭔가 더 성장하려는 가냘픈 노력(그러니까, 깨어 있는 의식의 관점에서 보면 한없이 지루한 짓거리)을 시각적으로 생생하게 보여주려는 목적이라는 느낌에, 보고 있는 동안 상당히 큰 충격을 받았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이렇게 말한다... "知者不言, 言者不知"((도를)아는 자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 알지 못하노라)

그리고 타르코프스키는 이 영화에서 이렇게 말한다... "시는 번역이 불가능하다, 모든 예술이 그렇듯이"(고르차코프가 에우제니아에게 하는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최근에 인기를 끄는 책 가운데 <미쳐야 미친다>라는 제목의 책이 있었다. 우리말로 미치다(狂)와 미치다(及)의 발음이 같다는 데 착안한 시도였는데, 무척 신선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오늘 이야기하려는 것은 책 제목의 기발함이 아니라, 그 선언 자체의 의미이다.

고흐의 별 그림들을 보면, 별들이 이상하게도 한 점의 빛이 아니라 동심원 뭉텅이같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하늘에 마치 기운이 소용돌이치는 것 같은 묘사를 볼 수 있다. 물론 그의 화풍 자체가 안정되고 틀에 박힌 고전적 구도를 완전히 탈피한 이상 별들이 꼭 천문 사진처럼 그려져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 내 호기심을 자극한 것은 누군가 고흐에게 "당신 그림의 별들은 왜 소용돌이처럼 그려져 있죠?"(이 그림인지 그 점이 더 잘 드러난 다른 그림이었는지는 모르겠다)라 물었을 때, "가슴이 그렇게 느끼는 걸요"라고 대답했다는 일화이다.

고흐는 1890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40년이 흐른 뒤 천문학자들은 전파 망원경을 통해 우리에게 별처럼 보이는 것들 중 상당수는 은하(나선형)임을 발견한다. 고흐의 가슴은 시공을 넘어 우주의 진실을 보았던 것일까, 그냥 예술적 감수성이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연주되는 피아노 협주곡이 라흐마니노프 2번이라 한다. 영화<샤인>의 영향 때문에 요즘은 3번의 멜로디도 사람들이 친숙하게 여기지만, 클래식음악이 보편화되지 않았던 시절 라흐마니노프 2번은 그 멜로디가 라흐마니노프라는, 아니 피아노 협주곡의 일부라는, 아니 심지어는 클래식 음악이라는 사실조차 모른 채 사람들이 막연히 좋아하던 경우가 있었다.(악기 편성에 따라서는 폴 모리 스타일로도 들릴 수 있다) 마치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8번(비창) 2악장이 'Midnight Blue'라는 팝으로 더 잘 알려져 있었던 것처럼...

그러나 이 아름다운 음악의 탄생 배경에는, 좌절한 천재가 겪은 깊은 고통, 절망에서 일어서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는 예술혼이 녹아들어가 있다. 그렇기에 나는 이 작품에 더욱더 매료되었는지 모르겠다.

4세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9세에 상트 페테르부그르 음악원에 입학했던 라흐마니노프는 1897년, 그의 나이 24세 때 발표한 교향곡 1번이 평론가들의 혹평을 받으며 심한 우울증에 빠진다. 젊은 나이에 요양원 신세를 지게 된 음악가... 세상은 그를 잊어버리고, 요양원에서는 잘나가던 천재 음악가라 알아주는 사람을 찾아볼 수 없었다.

라흐마니노프에게 행운이었던 것은, 의식이 깨어 있는 의사를 만났다는 것이다. 오늘날에야 다양한 심리 요법들이 개발되어 정서 장애를 겪는 사람들의 회복과 재활을 돕고 있지만, 19세기 말만 해도 정신병원이나 요양원에 들어간다는 것은 곧 인생이 끝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모스크바 요양원의 니콜라이 달(Nikolai Dahl) 박사는 달랐다. 달 박사는오늘날로 치면  '긍정적 자기암시'와 유사한 기법을 사용하여 라흐마니노프가 자신의 무의식에 "나는 훌륭한 음악가이다" "나는 성공할 수 있다"와 같은 자신감을 불어넣도록 도왔다.

이런 과정을 거쳐 마침내 재기에 성공한 라흐마니노프, 1901년 이 곡을 완성한다. 같은 해 10월 27일, 모스크바에서 라흐마니노프 자신이 피아노를 연주했던 피아노 협주곡 2번의 초연은 대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이 곡은 달 박사에게 헌정된다. 내가 아는 한 클래식 음악사에서 의사에게 헌정된 유일한 작품이다. 아름다운 인연 아닌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연 2004-06-29 0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클래식음악 중 하나라...반가운 마음에 글을 남깁니다. 1번의 실패로 신경증까지 걸렸던 그가 2번의 대성공을 거두기까지 맺어진 인연은...참 사람 살면서 좋은 사람 만나는 게 얼마나 소중한 일인가 하는것을 다시한번 느끼게 합니다....오늘 이 음악을 다시 들어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