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과학한다 - 마음에 관한 선구적 과학자 6인의 최신 강의, 뉴사이언스 1
카렌 N. 샤노어 외 지음, 변경옥 옮김, 김수경 감수 / 나무심는사람(이레)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이런 제목으로 10년쯤 전에 책이 나왔다면 틀림없이 사이비라고 비난을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어떤가? 본래 불가의 용어였던 '마음 다스림'을 수많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일상 속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달나라와 원자폭탄과 월드컵과 헐리웃 블록버스터에 열광하던 사람들이 '마음'이란 것의 실체에 대해 진지한 시선을 돌리기 시작했다. 인류의 관심사가 수백년만에 처음으로 바깥 세계가 아니라 안으로 향하기 시작했다. 놀라운 일이다.

책 자체의 가치,  종이미디어로서의 전달력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이 책은 그리 흡족한 수준이 아니다. 일단 필자의 수준이 고른 편이 아니다. 여섯 명의 저자들 가운데 제인 가켄바흐와 디팩 초프라의 글은 비교적 조리있고 맥점을 짚는다. 당연히 호기심이 솟는다. 그러나 카렌 샤노어의 글은 두서가 없고 밋밋하며 프랑크 퍼트넘은 구체적인 사례 지적이 거의 없어 맥이 빠진다. 최악은 카를 프리브람. 19세기 영국 귀족들만을 상대로 강연하는 스타일인지, 문장이 현학적이고 거창하지만 알맹이가 없다. 철학논고인지 정신과학 이론인지 헷갈릴 정도다. 본래 각기 다른 상황에서 제출된 학술적 보고서였던 것을 무리하게 한데 묶은 것이라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제의 참신성, 즉 지금까지는 과학의  대상이라고 상상조차 못 해 본 분야에 대해 연구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하고 싶다. 여기 참여한 과학자들이 모두 신과학운동과 뉴에이지사상에 호의적인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거의 주목하지 않았던 북아메리카 원주민의 정신적 전통(꿈을 중시하는)이라든가 최면술과 플라시보, 명상 등에 대해 열린 자세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과학의 진정한 자세로 돌아갔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이 책에 실린 여섯 편의 글은 주제가 서로 겹치지 않지만, 공통적인 것은 영혼, 마음, 혹은 정신이라 불리는 그 어떤 것이 단순히 몸과 물질, 육체에 종속적인 존재가 아님을 밝혀냈다는 점이다. 서양 근대과학의 기반을 이루는 유물론적 세계관에서 본질적으로 이탈한 과학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선한 시도인 셈이다. 일반 대중을 상대로 쓰였다고 보기엔 설명이 너무 부족하고(예를 들면 210페이지의 '자기조회 자동제어 피드백 고리 self-referral cybernetic feedback loop'는 아무 설명 없이 이해할 독자가 몇이나 될까?) 특히 뒤로 갈수록 번역자의 무성의와 오역으로 의심되는 문장들이 빈발하지만, 과학이 어디까지 와 있는지를 이해하기에는 이만한 책도 없다. 신과학의 개설 혹은 입문서로는 괜찮은 저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과학이 세상을 바꾼다
방건웅 지음 / 정신세계사 / 1997년 2월
평점 :
절판


최근에는 이곳저곳에서 앞다퉈 뉴에이지 계열의 책에 달려들고 있지만, 사실 정신세계사만큼 1980년대부터 꾸준히 정신세계, 영적 성장, 대안의학 같은 문제를 꾸준히 다뤄 온 곳은 없었다. 이 책의 초판이 나온 것은 1997년, IMF의 망령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던 상황에서 이런 책을 낸다는 것은 쉽지 않았을 거란 생각에 볼 때마나 감탄하게 만든다.

이 책의 구성은 크게 세 토막으로 되어 있다. 1부에서는 신과학운동과 뉴에이지 사상의 대두를 우리 전통사상, 특히 천부경과 연관지어 설명하고, 2부에서는 신과학운동의 성과물들 가운데 혁명적인 신기술들을 소개하며, 3부에서는 그러한 변화들이 초래할 사회적 파장, 우리 과학교육의 미래 등의 문제를 다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총론 > 각론 > 원론의 짜임새를 지니는 셈인데, 제법 잘 된 구성이라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읽을 때마다 1,3부는 슬렁슬렁 넘어가고 2부의 재미있는 사례들만 관심을 가지고 자세히 들여다보았다. 맹물로 가는 자동차, 상온 핵융합, 영구기관의 가능성 등이 특히 호기심을 끌었다. 에너지 문제야말로 사회를 가장 크게 바꿀 수 있는 분야니까.

단점으로는 2부에서 사례로 든 신기술들의 격이 고르게 조정된 게 아니라 좀 산만한 느낌을 주는 점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면 1장 2절의 '고구마를 씻어 먹는 원숭이'는 가이아 이론과 통하는 면이 있으며, 생명과 우주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거시적 차원의 문제와 연관된 이야기인 데 반해, 2장 2절의 '폐플라스틱으로 석유를 만든다'는 단순히 효율성이 높은 산업기술의 개량 차원의 이야기이다. 환경 오염을 다루는 문제니 생태주의-뉴에이지가 연결된다고 생각해서 언급했는지는 모르나, 같은 수준으로 다룰 설명은 아니었던 것 같다. 마찬가지로 1장 4절의 카오스 이론 이야기는 그야말로 과학적 사고의 대안적 '이론'인데, 구체적 '기술'들의 사례와 동일한 범주로 소개되는 것이다. 

그러니 결국 2부의 서술은 개별 기술들로 찢어놓는 것보다는 유기적으로 틀을 짜서 설명하는 방식이 낫지 않았을까 싶다. 즉 신과학의 중요한 테마를 소개하고, 그 테마를 뒷받침하는 이론, 그 이론에 들어맞는 기술들, 그 기술들을 활용한 제품과 사회적 영향... 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러나 이런 결함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선구자적 가치가 있는 책이다. 여기서 소개된 것들 가운데 상당수(예를 들면 아로마테라피, 물의 신비, 미생물 유기농법 등)가 웰빙 시대의 화두가 되어가고 있으니.

전문적 과학자가 쓴 것치고는 쉽고 재미있게 잘 썼다는 생각이 든다. 과학 교양서로서는 좀 오래 된 책이지만 아직 유용한 담론이라 본다. 특히 생태주의자들에게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