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미의 사랑 노래 타골의 죽음 노래
디팩 초프라 지음, 이현주 옮김 / 한국기독교연구소 / 2001년 11월
평점 :
품절
3~4년쯤 전의 일로 기억한다. 터키에서 지진이 났을 때 한국에서 발벗고 나서서 도와준 지방자치단체가 꽤 있었다.(2002년 월드컵의 터키 형제국 소동 이전의 일) 그중 하나가 서초구였다는데, 사태가 수습된 뒤 한국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메블라나 댄스팀이 서초구청 문화센터에 와서 공연을 한 적이 있었다.(상업적으로 조직된 팀이 아니라 루미 교단 댄스팀이었다.) 루미와 나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된다.
메블라나 댄스... 긴 양털모자를 쓰고 흰 치마를 입은 남자들이, 단순하지만 가슴을 파고들어오는 음률에 맞춰 우아한 회전을 선보인다. 몸집 큰 남자들이지만 동작 하나하나가 마치 요가를 익힌 수행자들이 움직이는 듯 부드럽고 아름다워 보인다. 그 공연장에 와 있던 주한 터키 대사는 자신조차 그 공연을 보는 게 일생의 두번째 기회라 했다. 이 댄스를 보기 위해 나중에 터키 여행을 간다면 12월에 코냐(루미의 교단이 있었던 곳, 지금도 매년 12월에 축제가 벌어진다)에 도착하도록 일정을 짤 생각까지 했었는데, 이런 행운이 찾아들다니...
잘랄웃딘 루미, 신비한 인물이다. 다른 종교권이라면 모르겠으나, 형상에 대한 숭배가 극히 금기시되는 이슬람에서 이런 꽃이 피다니... 당시 즐겨 읽던 라즈니쉬의 책에서 그의 무용이 어떤 영적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설명과 몇 가지 우화를 보고 루미의 매력에 푹 빠져버렸다. 아쉬운 것은 수없이 많은 마스터들에 대해 이야기한 그의 강론집 가운데, 루미의 시를 이야기한 책을 찾아내지 못했다는 것.(있을지도 모른다. 내가 찾지 못했다는 것 뿐.)
그러다가 최근에, 의사 출신이면서 묘하게 영적인 메시지들을 툭툭 내뱉는 디팩 초프라란 사람이 엮은 루미 시집이 나왔다기에 보았더니... 나온 책의 성격이 더 수수께끼였다. 분명 상업적 출간은 아니었다. 한국기독교연구소? 도대체 기독교 목사가 왜 뉴에이지 과학자 초프라가 추린 이슬람 신비주의와 힌두교 시집을 번역해서 냈을까? 흠... 아마도 시집 안에 표현된 '절대자에 대한 사랑'을 이용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렇게 목적의식을 가지고 책을 내니 당연히 의미 전달이 왜곡된다. 예를 들어 '사랑에 굴복하여'(22페이지)를 보면...
사랑에 굴복하여/ 달빛의 광휘(光輝)로/ 창공이 환하게 밝았습니다./ 너무나도 강렬해서/ 나는 땅바닥에 쓰러졌습니다./
당신의 사랑이/ 나에게 확신을 심어줍니다./
세속의 삶을/ 포기하고/ 당신 존재의 장엄(莊嚴)에/ 무릎 꿇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무릎 꿇다'의 원문은 surrender로 되어 있다. kneel down이 아니란 말이다. 번역 가운데 가장 어려운 것이 시의 번역이다. 다른 부분들을 보면 번역자의 솜씨가 그리 나쁜 편은 아니다. 그런데 왜 굳이 이렇게 옮겼을까? 기독교 교리에 끼워맞추기 위해 본래의 의미를 왜곡한 것이다. 나라면... 아니, 메블라나 댄스를 본 사람들이라면 surrender를 무슨 말로 옮겨야 할지 바로 떠오를 것이라 확신한다. 그 단어는 바로 '내맡기다.'
그밖에도, 초프라가 특별히 해설을 많이 붙인 건 아니지만 영어본 텍스트에서 누구 번역을 기준으로 했고, 이 시들 가운데 자신이 특별히 외워 음미하는 시 네 편이 있다고 소개한 부분을 싹 빼버렸다. 역시 종교적 의도가 의심되는 행위이다.(일일히 대조하진 않았는데, 네 편 중 하나는 '비둘기처럼'(31페이지)이고, 나머지 세 편은 누락된 것 같다.)
더 나쁜 건, 해적출판이란 사실. 1980년대라면 몰라도 2000년대에 나온 책이 저작권을 무시하고 멋대로 두 권이나 가져다가 도둑출판을 해버렸다. 사실 초프라가 특별히 시들을 해설한 건 아니니, 원저작자는 루미라고 봐야 되고, 그렇다면 13세기 작품이니 저작권은 소멸했다고 해도 말은 된다. 그런데 번역자는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초프라 편역의 책이라고 내세우고 서지사항을 버젓이 실어놓았다. 이건 아니지. 이런 짓은 기독교 망신이고 국가 망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을 세 개나(?) 주는 이유는, 원작시의 메시지가 너무나 아름답기 때문이다. 굳이 따지자면 페르시아어에서 영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약간의 손실이 발생했을 가능성은 있으나, 시를 이해하고 루미를 이해하는 사람이 옮겼다는 건 분명하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원서로 보시길 추천한다.
원제 및 서지사항 : The Love Poems of Rumi(edited by Deepak Chopra, Harmony Book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