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알라딘에 많이 소홀했다.

 

변명을 해 보자면,

그 사이 왼손 약지에 바이러스가 생겨 자판을 두들기는 게 어려웠다.

1주일 정도 약을 먹고, 연고를 바르니 이제 자판을 두들길 수 있다.

약지 하나가 아파도 이렇게 생활이 엉망이 되어버리다니...

 

또 하나의 변명은 다른 취미가 생겼다.

페이스북

페이스북은 주로 나와 같은 직업군이 많아

알라딘과 좀 다른 재미가 있다.

같은 직업군을 가진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공감대가 있어

근래에는 이 곳에 시간을 많이 할애했다.

여긴 한손이라도 가능하니까.

 

마지막 글이 9월 26일이라니.

이렇게 오랜 기간 알라딘을 떠난 적은 없었는데...

나에게는 알라딘이 친정 같은 곳인데 말이다.

 

6학년 2학기 사회 1단원은 "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였다.

아이들은 수학 시간보다 사회 시간을 훨씬 지루하고 어려워한다.

난 그 이유가 사회적 배경 지식이 없기 때문.

즉 사람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라고 생각한다.

 

아이들한테 날이면 날마다

" 얘들아, 사회를 잘하는 비법은 뉴스를 자주 보는 거야" 라고 말하곤 한다.

하나를 더 들자면

교과서와 관련된 책을 미리 읽어보는 거라고 조언해 준다.

" 얘들아, 선생님 생각은 수학은 선행을 하지 말고,

사회는 선행을 하는 게 필요해. 책으로 말이야.

미리 좀 알고 있으면 사회 시간이 지루하지 않아" 라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이야기한다.

1학기 역사를 배울 때도 늘 하던 말이다.

사회는 굉장히 광범위하기 때문에 배경지식이 없으면 수업 시간에 교사가 하는 말이 무슨 말인지 도통 못 알아듣는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책을 통해 배경지식을 넓혀 놓아야 수업 시간에 몰두하고,

그래야 재밌어진다.

유독 사회에 관심이 많고 잘하는 아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책을 많이 읽고, 사회(사람)적 현상에 관심이 많은 아이들이 대부분이다.

 

1단원 공부와 연관되어 있는 책 한 권을 소개한다.

" 더불어 사는 행복한 정치" 라는 책이다.

난 이 책보다  같은 시리즈인

" 더불어 사는 행복한 경제"를 먼저 접해봤다.

굉장히 좋아하고 아이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추천하는 책 중의 하나이다.

 

1단원 진도를 나갈 때쯤,

글쓰기 주제로 " 대한민국의 장점과 단점"을 써오라고 던져줬다.

단점으로 나온 것 중 하나가 독재자가 많았다고 써온 아이가 있었다.

이 아이는 평소에 정치에 관심이 많은 아이임에 분명하다.

 

정치는 어른 아니 정치인이나 하는 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이 책은 그런 선입견부터 박살내준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도끼 같은 책이다.

나의 잘못된 편견과 선입견을 우지직 부셔주니 말이다.

 

작가는 글머리에 "이디어트 " 라는 낱말을 소개하면서

" 여러분은 혹시 이디어트가 아닌가요?" 라며 쓴소리를 한다.

" 이디어트" 라는 영어 단어는 원래 고대 그리스어에서 왔고, 고대 그리스에서는

정치에 관심 없는 시민을 이디어트라고 불렀다는 거예요.

이디어트는 ' 바보나 얼간이, 지능이 세 살 정도 수준이 사람' 을 표현하는 단어잖아요.

결국 ' 정치에 관심 없는 시민'은 ' 바보, 얼간이' 라는 뜻이죠.

 

정치는 남의 일이 아니다.

어른만 하는 일도 아니다.

더군다나 정치인만 하는 일도 아니다.

국민이라면 모두 이디어트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국민이라면 모두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왜 그래야만 하는지 이 책이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꾸는섬 2016-10-17 14: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손가락 하나 아파도 생활 패턴이 바뀌죠. 페이스북을 안해봐서 그 재미에 공감을 못하지만, 사회공부 선행은 기억해둘게요.^^

수퍼남매맘 2016-10-17 22:39   좋아요 1 | URL
페이스북도 묘한 매력이 있어요. 선행이라기보다 예습이 더 맞는 말인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