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공부 >

2학기 음악수업은 담임과 국악강사가 1시간씩 맡아서 한다 . 1학기는 합창의 대가인 수석님이 해주셔서 편했는데 ...애국가와 교가도 안부르는 애들 데리고 무슨 수업을 어떻게 ? 진짜 막막했다 . 게다가 교과서 내용은 참 짜증난다 .

하여 난 내게 주어진 한 시간을 클래식공부를 해볼까 한다 . 교육과정 재구성이다. 아이들에게 책읽기만큼 필요한 게 예술적 소양을 갖추는 거라 생각한다 . 이왕이면 악기 하나쯤은 잘 다룰 줄 알면 삶이 더 풍성해질 텐데 .... 우리 학군은 공무원이 많아 경제사정이 그리 넉넉지 않다 . 하여 악기 다루는 아이가 많지 않다 . 그렇다면 감상만이라도!

이리하여 클래식 감상을 기획하게 된 거다.
요즘 애들이 영어학원에 일찍부터 다녀 피아노학원을 전보다 상당히 일찍 끊는 편이다. 영어학원은 필수라 생각하지만 피아노는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이라 생각해 저학년 때 조금 다니다 끊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애들은 참말로 음악이론에 무지하다. 당연히 클래식 작곡가도 모짜르트 , 베토벤 정도만 안다 .

이런 지경에 있는 아이가 가정에서 클래식을 접할 기회는 거의 없을 테고 -부모가 틀어주지 않는 이상 -가족과 연주회를 다니는 것도 힘들테다 . 초딩 때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해야 예술적 감수성이 증대되고 이게 창의성으로 확장되는건데...예능분야는 책읽기와 마찬가지로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심각하다 . 공교육에서 이런 부분을 어느 정도 해소시켜주면 격차를 줄여줄 수 있지 않을까 !

영화 ˝귀여운 여인 ˝ 에서 창녀였던 여주가 오페라를 보며 감동받아 눈물 흘리던 장면을 떠올려보자. 우리애들도 접하지 못해 낯설어하는 거지 클래식과 제대로 만나게 되면 줄리아 로버츠처럼 감동의 눈물까진 아니더라도 클래식의 매력에 빠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가정에서는 이런저런 이유로 하지 못하는 것을 교실에서 누구나 접할 수 있게 해보려고 한다.

17차시이니 17명의 작곡가와 그의 대표작을 스토리텔링과 함께 감상해보기 .이게 2학기 음악 수업 목표다 .

이 책이 나의 안내서이다 . 돌베개에서 나온 꽤 괜찮은 클래식 안내서이다 . 3권짜리이다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거서 2016-09-21 08: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이의 영어학원을 중학교에서 끊었고 피아노 학원을 고1까지 다니도록 고수했었어요. 주위의 반대가 엄청났지만 지금은 저보다 아이가 만족하고 있습니다.
클래식 공부하는 음악수업 역시도 나중에 좋은 기억으로 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수퍼남매맘 2016-09-21 22:54   좋아요 1 | URL
오우 대단하세요. 그러기 쉽지 않은데... 울딸도 중3인데 아직 피아노 배우고 있고 아주 좋아해요.
누군가 힘들여서 들려주지 않으면 클래식을 접하기는 쉽지 않은 듯해요 . 개인적으로 지대한 관심이 없는 한 . 전 욕심없이 20명 중 단한명이라도 저를 통해 클래식에 입문하도록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어요 . 애들한테 가르치려니 제가 더 공부하게 되어 제가 제일 혜택을 받고 있네요 .

2016-09-23 14: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9-26 16:3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