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은 이번 주 화요일에 개학을 했다.
여름 방학 4주 동안 책 좀 부지런히 읽자고-1주 1권- 하였는데 책보다는 웹툰과 스마트폰을 끼고 살다보니
내 생각으로 이번 방학 동안 제대로 책 읽은 게 별로 없어 보인다.
독후감은 당연히 안 쓴다. 숙제도 아니니까.
그러다 실력이 녹슬겠다 아무리 잔소리를 해도 안 쓴다.
수행평가였으면 어쩔 수 없이 썼겠지.(딸 뒷담화다)
그래도 아빠가 추천해 준 <앵무새 죽이기>는 완독하라고 미션을 줘서 거의 읽어가고 있다.
책 잡으면 재미있다고 집중하여 읽는데 책을 잡기까지가 참 힘든 성격이다.
이 책의 명성은 오래 전 부터 들었는데 아직 안 읽어봤다. 딸 읽고나서 읽어보려고 한다.
이번에 발간한 <앵무새 죽이기> 그 뒷 이야기 <파수꾼>을 구매했다.
그리고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중간고사 대비 수학 문제집 1권을 더 샀다.
개학하자마자 중간 고사 범위부터 나왔단다. 헐~~
그도 그럴 것이 추석 전에 중간고사를 본다.
수학은 뭐니뭐니해도 복습이 최고니깐. 여러 번 반복하기. 그런데 너무 어려운 문제집을 산 듯하다.
부디 기쁜 마음으로 추석 연휴를 보낼 수 있기를 바라며....
아들은 여름 방학 내내 <땡땡이의 모험>을 완독하였다. 1-3부까지 하면 30권 정도 되는 걸로 알고 있다.
알라딘에도 전집은 검색이 안 된다. 집에 있는 것은 오래 전에 구매한 것이다.
난 읽다가 별로 재미 없어 그만뒀는데 누나도 재밌게 다 읽더니 동생도 마찬가지다.
아이의 흥미를 끄는 뭔가가 있는가 보다.
어려운 내용도 꽤 나오던데 말이다.
만화긴 한데 호흡도 길고, 세계 곳곳을 누비는 내용이라 상식도 풍부해진다.
학교 도서관에도 전 시리즈가 다 없고, 많은 아이가 봐서 너덜너덜하지만, 절판되어 재구매를 할 수 없다.
그래도 땡땡이를 좋아하는 애들은 너덜너덜한 책이라 할지라도 빌려간다.
방학 동안 땡땡이를 다 읽은 아들을 위해서
몇 권의 책을 장바구니에 넣고 마지막 결정을 해 보라고 선택권을 주었다.
그런데 중학년 책은 항상 고를 게 별로 없다.
아들도 내년을 대비해서 서서히 국사에 관심을 가져야 할텐데....아직이다.
다른 것도 물론이지만 국사에 대한 관심은 정말 개인 차가 많이 나는 듯하다.
저학년 때부터 관심 가지는 아이가 있는 반면,
어른이 되어서도 관심 없는 사람도 있으니까 말이다.
아들은 비룡소에서 나온 100인의 어린이가 뽑은 <쥐포스타일> 을 선택하였다.
그림을 보니 <거짓말 같은 이야기>의 강경수 작가님이다 싶었다.
아들과 마음이 통했나 보다. 나도 이 책이 제일 낫겠다 싶었는데.
2학기 수학 문제집도 하나 구매했다.
따라오는 사은품이 이것저것 많은데도 별로 기뻐하지 않는 아들이다.
수학 문제집 때문인 듯하다.
나를 위해서는 유시민 씨의 <거꾸로 읽는 세계사> 전자책을 구매했다.
밤에 읽을 때는 전자책이 좋은 것 같다.
아이패드로 읽으면 스탠드를 켤 필요가 없다.
어제 2꼭지까지 읽었는데 유익하고, 쉽고, 머리에 쏙쏙 들어온다.
학교 다닐 때 이런 식으로 세계사를 공부했다면 정말 재미 있었을텐데.
방학 동안 안나 카레니나 3권을 마저 읽으려고 했는데 도대체 책이 어디 갔는지 안 보인다.
언젠가 나오겠지 싶어 일단 유시민 씨 책부터 읽고 있다.
청소년 소설 <그냥, 컬링> 도 함께 읽고 있다.
읽다가 피식피식 웃기도 하고, 동계 올림픽 종목인 컬링에 대해 갑자기 궁금해졌다.
감수성 가장 예민한 청소년기에 좋은 책을 꾸준히 읽어야 할텐데
현실은 그렇지 못해 늘 안타깝다.
아침 자습 시간만이라도 책 읽는 시간이 확보되면 좋으련만 요원한 일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