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교과서 - 청소년들의 행복 수업을 위한 첫걸음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문용린.최인철 외) 지음, 문다미 그림 / 월드김영사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당신은 행복한가요? 물어 본다면 

뭐라고 답변할까?  자신 있게 행복해요 라고 대답할 수 있을까?

세계 행복지수 102위인  대한민국 (특히 학생들의 행복지수는 더 낮다)

대한민국보다 경제적으로 더 못사는 나라와 비교해서도 행복지수가 턱 없이 낮은 나라 대한민국. 

그건 미국도 마찬가지이다. 미국은 최고경제대국이라 자칭하면서도 행복지수만큼은 북유럽 선진국에 뒤지고 있다. 

이건 결국 경제력이 행복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증명해 보이는 대목이기도 하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일까? 

행복지수를 높이는 방법은 없을까?  

이 책은 행복에 대한 정의부터 시작하여 어떻게 하면 우리가 좀 더 행복할 수 있는지 9가지 원리를 가르쳐 주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중학년 이상 어린이라면 충분히 읽을 만큼 내용도 쉽고, 알차며, 재미 있다. 

자칫 지루할 수 있는 <행복>이란 개념에 대해 어린이들이 흥미를 느낄 만한 인물들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소개함으로써 

관심을 가지고 끝까지 읽을 수 있도록 해 준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즐거운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즐거움은 다시 세 가지로 분류하여 글자 그대로의 즐거움, 발견을 통한 즐거움, 몰입이 주는 즐거움으로 나뉜다고 한다. 

책에서는 행복해 지기 위한 기본 원리 9가지를 소개해 주고 있다.  

1. 관점 바꾸기 

2. 감사하기 

3. 비교하지 않기 

4. 목표 세우기 

5. 음미하기 

6. 몰입하기 

7. 관계를 돈독하게 하기 

8. 나누고 베풀기 

9. 용서하기 

그 중에서도 가장 우선해야 할 것이 바로 행복에 대한 관점을 바꾸는 것이다. 

행복은 조건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나의 관점에 따라 <반 밖에 없는 것이 반이나 차 있네>로 변할 수 있다.  

9가지 원리 모두 구구절절 공감하지만 가장 마음에 와 닿는 건 바로 비교하기였다. 

지금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행복하지 않다라고 느끼는 대부분의 원인이 바로 이 남과 <비교하기>때문이 아닐까 싶다. 

비교하기는 바로 행복의 가장 큰 적이라고 쓰여 있다. 나와 남을 비교하는 그 순간부터 불행은 시작된다. 

남편과 다른 집 남편 비교하기, 옆집 아이와 우리 집 아이 비교하기, 내 집 크기와 다른 집 크기 비교하기 등등 

우리는 정말 비교가 가장 큰 상처가 됨을 알면서도 매 순간 비교한다.  

비교함에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은 우리를 절망에 빠뜨리곤 한다. 

오늘 신문에도 354만원짜리 수학여행을 가는 민사고 학생들 기사가 실렸는데  

( 그 옆에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밥을 먹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하여 지역단체에서 쉬지 않고 밥집을 운영한 기사가  

실려 있었다.)

그 학생들과 자신을 또는 내 자녀를 비교하면 당연히 상대적 박탈감과 함께 절망감을 맛본다. 

서민들 입장에서 이건 꿈 조차 꾸지 못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아니 평생 가도 이런 돈 들여 해외에 나가지 못하는 사람도 부지기수이다. 

내 돈 가지고 내가 쓰는데 무슨 상관이야? 라고 한다면 그건 사회 저소득층에 대한 배려가 아니라고 본다. 

부자들이기에 평생 쓰고도 남을 돈을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만을 위해 쓰기 보다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처럼 더 수수한 옷차림으로 (스티브 잡스 퇴임식 때 옷차림 보고 진짜 놀랐다. 우리 나라엔 왜 그런 부자들이 없는 거야?)

그 돈 가지고 가난한 이웃들을 위해 사용하면 존경 받는 사람이 되겠지.

평생 벌어도 내 집 장만하기 어려운 세상에 누구는 집을 몇 채 씩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이 경제적 차이가 극대화 되면서 이런 비교하기는 더 심해졌다. 

예전에는 다같이 못살았으니까 비교 대상이 없다가 

지금 잘 사는 사람들 이야기 들어 보면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히는 이야기들이 많다. 

그런 부자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비교가 저절로  되면서 

자신의 처지가 한심해지고, 아무리 노력해도 그들이 누리는 것들을 누릴 수 없다는 현실에 또 절망한다.  

그래서 부자들은 사회저소득층을 배려하기 위해서 절제할 줄 아는 미덕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워렌 버핏 처럼 말이다.

 

비교하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고, 절망과 한숨 뿐이다.

관점이 바뀌지 않고, 비교하기가 멈추지 않고서는 이 수렁에서 빠져 나올 수 없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과연 행복감을 맛볼 수 있을까?

개개인이 이렇게 스스로 행복감을 느끼기 위해 노력할 때 

사회는 적어도 외부적 조건에 의해 개개인의 행복이 저당 잡히지 않도록 적절한 정책과 통제를 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은 약하기에 비교하지 않도록 마음 먹어도 

저렇게 옆집에서 354만원짜리 수학여행을 다니면 정말 흔들린다.   

누가 명품 가방을 들고 다니면 어느새 눈이 돌아간다. 

옆집 아이가 특목고에 들어갔다면 당장 그 옆집 아줌마와 친구 맺기를 하고 싶어진다.

전반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여건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무조건 자유시장주의 원칙에 따라 경쟁으로만 내몰면 그게 행복한 나라로 가는 길인가? 

걸음마도 못 하는 아이에게 뛰기부터 하라는 꼴이라니? 

다같이 달릴 수 있도록 기다려 주고, 도움을 줘서 , 최소한 같은 출발선에서 달리기를 할 수 있도록 해 줘야 하는 게 

사회의 몫이 아닐까? 

외부적 조건에 의하여 처음부터 출발선이 다르다면 누가 꿈과 희망을 가지고, 목표를 설정하여 나아갈 수 있겠는가?  

누가 지금 이 순간이 행복하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겠는가? 

북유럽 국가들이 행복지수가 높은 이유는 바로 경쟁보다 상생, 협동, 나눔, 배려, 정의 들이 사회를 이루는 주축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나라는 어떤가?  어려서부터 무한경쟁으로 내친다. 사회에 정의도 없다. 돈이면 다 된다. 무전유죄 유전무죄이다.  

다른 나라 부자들은 스스로 나서서 부자 증세하라고 하고, 기부도 엄청 많이 하는데 

우리나라 대기업 회장님들은 탈세할 궁리만 해댄다. 나누고 베푸는 것을 전혀 실천하지 않는다. 

물론 개개인이 행복하기 위해 이런 기본원리를 지키고 실천하는 것 중요하다. 

그것 못지 않게 사회 전반적으로 정의가 바로 서고, 배려가 넘치고, 상생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책을 덮고 나서 되물어 본다.

부모 입장에서 지금 내 자녀에게 이런 기본 원리를 실천하면 넌 행복할 거야 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가?  

아니다.

그건 우리 사회가 건강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른들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고 본다. 

자녀들이 살아갈 사회가 건강해질 수 있도록 지금 이 순간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것.  

요즘 들어 그게 바로 세상 일에 무관심 하지 않는 것이란 걸 뼈저리게 느낀다. 

나의 무관심들이 쌓이고 쌓여 병든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건강한 사회 속에서야만 자녀들이 더 많은 행복감을 느끼고 살 수 있을 테니까. 

 

마지막으로 박노해 시인의 시가 실려 있어서 소개한다.  

 

행복은 비교를 모른다. 

박노해 (시인) 

나의 행복은 비교를 모르는 것 

나의 불행은 남과 비교하는 것 

 

남보다 내가 앞섰다고 미소 지을 때 

불행은 등 뒤에서 검은 미소를 지으니 

 

이 아득한 우주에 하나뿐인 나는 

오직 하나의 비교만이 있을 뿐 

 

어제의 나보다 좋아지고 있는가 

어제의 나보다 더 지혜로와지고 

어제보다 더 깊어지고 성숙하고 있는가 

 

나의 행복은 하나뿐인 잣대에서 자유로와지는 것 

나의 불행은 세상의 칭찬과 비난에 울고 웃는 것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11-09-15 0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의 행복은 하나뿐인 잣대에서 자유로와지는 것. 옳소!!
요즘 내려놓기 하고 있습니다.
비교는 아이들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중 하나.

수퍼남매맘 2011-09-15 18:44   좋아요 0 | URL
아이들뿐만아니라 나도, 남편도 비교하지 않도록 매일 노력해야겠어요. 어제의 나보다 오늘의 나, 미래의 나가 좀 더 좋아질 수 있도록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