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의 생애>와 <내 젊은날의 숲>까지 녹음과 일차 편집을 완료했다.
이번주부터 시작할 낭독도서는 아래 찜해둔 것들이다.
어서 읽고 싶다.
1.
굳이 그들이 누군지 알려고 하지 않으시면 더 좋겠다.
다만 거기서 사람들이 스스로를 사랑하고 느긋하게 그러나 부지런히 살고 있다는 것,
그래서 서울에 사는 나 같은 이들이 도시의 자욱한 치졸과 무례와 혐오에 그만
스스로를 미워하게 되려고 하는 그때, 형제봉 주막집에 누군가가 써놓은 시구절처럼,
'바람도 아닌 것에 흔들리고 뒤척이는' 도시의 삶이 역겨워질 때,
든든한 어깨로 선 지리산과 버선코처럼 고운 섬진강 물줄기를 떠올렸으면 싶다.
- 공지영
2.
<졸라체>와 <고산자> 그리고 이 소설 <은교>를, 나는 혼잣말로
'갈망의 삼부작이라 부른다.
...... 그리고 <은교>에 이르러, 비로소 실존의 현실로 돌아와 존재의
내밀한 욕망과 그 근원을 감히 탐험하고 기록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밤에만' 쓴 소설이니 독자들도 '밤에만' 읽기를 바라고 있다.
- 박범신
(하지만 나는 낮에 녹음해야하니..ㅎㅎ 작가의 당부는 못 지키겠네)
3.
서경식의 서양근대미술 기행.
전쟁과 폭력의 시대를 응시한 화가들을 찾아서(부제)
이 책처럼 미술관련한 책이나 사진이나 화보가 있는 책,
재미있는 삽화나 만화가 곁들여있는
책을 녹음할 때 가장 안타깝다.
듣기만 하셔야하니...
과연 미술작품을 보지 않고도 내용에 감화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도표가 나오는 경우는 간단한 경우 내용을 읽는다.
하지만 그것도 아주 복잡한 경우는 넘어간다.
집에선 여행에세이를 하나씩 읽을 예정이다.
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한 갈망이거나 대리만족이겠지만 언젠가는 이루어질 것을 꿈꾼다.
수많은 여행관련글이 있지만 매력있게 쓰기는 쉽지 않을 듯.
문체탐구 시간도 되길... 다양한 문체와 시선을 느낄 수 있다.
단점이라면 집중이 간혹 안 될 때가 있다. 자신의 경험이 조금 개입된 경우는 훨씬 다를 것이지만.
우선은 아래...
반쯤 읽은 <먼 북소리>의 머리말에서 하루키는
|
|
|
|
내가 이런 글을 쓰기 시작한 본래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외국에 있으면서 자기도 모르게 둔화될 것 같은 내 의식을
일정한 문장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붙잡아 놓는 데 있었다.
자기 눈으로 본 것을 자기 눈으로 본 것처럼 쓴다, 이것이 기본적인 자세이다.
안이한 감동이나 일반화된 논점에서 벗어나, 되도록 간단하고 사실적으로 쓸 것.
다양하게 변해 가는 정경(情景)속에서 자신을 어떻게든 계속 상대화할 것.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마음먹은 대로 잘 써질 수도 있고 잘 안 써질 수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글을 쓰는 작업을 자기 존재의 수준기(水準器)로 사용하는 것이며
또한 계속 그렇게 사용해 나가는 것이다. |
|
|
|
|
유재현의 쿠바기행도 하루키의 그리스 것과 같이 읽고 있다.
목적도 시각도 문체도 다른 맛에 지구의 극과극을 왔다갔다...
알라딘 벗에게 선물받은 책들의 갈피에 꽂아둔 빨간색 편지가 반가운 책 중의 하나.^^
덧) 얼마 전 선물받은 책
밑줄 그인 책을 받아 더욱 기뻤다.
주신 분은 읽는 내내 상당히 혼란스러웠다고 하시며
내가 읽고 싶다면 흔쾌히 보내주겠다 하셨다.
나도 읽어 보면 괴리감이 다소 느껴질 거 같은데
큰딸에게도 읽혀볼 생각이다.
그 벗이 큰딸 생각하고 주셨으니 더 기쁘다.
감상적인 글을 싫어하고 냉철하고 쿨한 걸 좋아하는 딸이
어떻게 반응할지 잘 모르겠다.
다락방님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