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독서와 관련된 고사성어

 

일목십행(一目十行)

 

() 한 일

하나,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 눈 목

, 눈알, 안구, 보다, 눈여겨보다, 주의하여보다,

응시하다, 눈짓하다, 부릅뜨다, 말하다

 

() 열 십

, 열 번, 열 배

 

() 갈 행

가다, 걷다, 나아가다, 달아나다, 돌아다니다, 겪다, 흐르다, 움직이다

보내다, 행하다, 일하다, 쓰다, 베풀다, 행하여지다, 쓰이다

 

................................

 

풀이 : 한눈에 열 줄을 읽다.

의미 : 책 읽기가 아주 빠름을 형용하는 표현이다.

 

내용 : 동한시대 응봉은 대단히 총명하여 어릴 때부터 어른이 될 때까지 겪은 일을 모두 기억했으며 책을 읽는 속도도 대단히 빨라 다섯줄을 한 번에 읽었다.

 

영향 : 양나라 간문제(簡文帝)도 책을 무척 빨리 읽었다고 한다. 그는 한눈에 열 줄을 그냥 읽어냈을 뿐만 아니라 읽은 책은 잊지 않았다. 여기서 일목십행이란 전고가 정착하기에 이르렀다. 훗날 사람들은 이를 바탕으로 오행구하(五行俱下)’, ‘십행구하(十行俱下)’, ‘목하십행(目下十行)’, ‘일목십행구하(一目十行俱下)’같은 표현으로 빠른 독서를 묘사했다.

 

蛇足 : 나도 책을 빨리 읽는 편이다. 읽고 싶은 책, 읽어야 할 책들이 늘어나다보니 자연적으로 빨라졌다. 일주일에 평균 5권 정도는 읽는다. 술렁술렁 보는 듯해도, 리뷰를 쓰면서 다시 천천히 들여다보니까 그저 날라리는 아니다. 나는 간혹 독서를 산행(山行)에 비유한다. 너무 천천히 걸어 올라가거나, 너무 급히 올라가면(자신의 페이스를 벗어나) 쉬 지친다. 정상에 올라가는 것은 꿈도 못 꾼다. 뭘 봤는지도 모른다. 간혹 책을 읽다 한 곳에서 마냥 멈춰있거나 온 길을 되돌아왔다 갔다 하는 경우가 있다. 내가 책을 보는 것이 아니라, 책이 나를 보는 때이다. 그리고 책이 한 마디 한다. “당신, 지금 뭐 하십니까?”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Jez Timm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책

 

 

40대에 접어든 주디스 헌이라는 독신 여성이 주인공이다. 1950년대 북아일랜드의 벨라스트가 무대이다. 주디슨 헌은 이런저런 사유로 지역에서 소외된 존재이다. 그러나 그녀는 그것을 거부한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상대가 나를 무시한다고 해서, 나까지 나를 무시할 수는 없다. 그 괴리감이 전체적인 분위기를 지배한다. 심리적 묘사가 섬세하다.

 

 

#주디스헌의외로운열정

#브라이언무어

#을유문화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독서와 관련된 고사성어

 

 

오하아몽(吳下阿蒙)

 

() 나라 이름 오

나라 이름, 떠들썩하다

 

() 아래 하

아래, 아랫사람,

 

() 언덕 아

언덕, 구석, 산비탈

 

() 입을 몽

입다, 입히다, 덮다, 덮어씌우다, 싸다, 받다, 덮어쓰다,

입다, 숨기다, 덮어 가리다, 덮개

 

......................

 

풀이 : 오나라 땅의 여몽

의미 : 학식이 아직 얕은 단계에 있는 사람을 비유하는 용어다.

 

내용 : 삼국지에 나오는 유명한 고사성어다. 애당초 손권은 여몽(呂蒙)에게 독서를 권했다. 여몽은 군대 일이 바빠 공부할 시간이 없다고 변명했다. 그러자 손권은 네가 바쁘면 나만큼 바쁘겠냐? 나는 그래도 시간을 내서 책을 읽는다라고 나무랐다. 여몽은 깨달은 바가 있어 분발하여 힘들게 책을 읽었다. 오래지 않아 여몽의 학문은 보통 유학자들을 뛰어넘었고, 심지어 노숙과 얘기해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였다. 노숙은 문무를 겸비한 인재라며 여몽을 칭찬했고, 지난날 오나라에 (무식한)여몽이 살고 있지라는 말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영향 : 이 고사는 삼국지연의의 영향으로 대단히 유명했다. 하지만 그 형태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아몽오하(阿蒙吳下)’, ‘아몽(阿蒙)’등이 남아서 전한다.

 

蛇足 : 물론 바쁘게 살아갈 수 있다. 먹고 잘 시간도 부족한 하루를 보내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안타깝다. 이 땅에 일만 하다 가려고 태어난 것이 아닌데 어찌 그리 힘든 나날을 보내야 하는가. 한 편 그리 바쁘지도 않은 것 같은데, 바빠서 돌아가시겠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들, 공연히 분주해 보이는 사람들은 또 어떤가? 그 사람들은 틈새 시간에 무엇을 하는가? 그것이 알고 싶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Viktor Forgac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독서와 관련된 고사성어

 

독서종자(讀書種子)

 

 

() 읽을 독(구절 두).

읽다, 소리를 내어 글을 읽다, 문장 구절의 뜻을 해독하다,

풀다, 설명하다, 읽기, 읽는 법.


() 쓸 서.

쓰다, 글씨를 쓰다, 기록하다, 글자, 문자, 글씨, 서법.

 

() 씨 종

, 곡식의 씨, 동물의 씨, 근본, 원인, 핏줄, 혈통, 품류, 종류, 부족

 

() 아들 자

아들, 맏아들, 자식, 어조사

 

....................

 

풀이 : 독서의 씨앗

의미 : 자손 대대 독서인 집안은 마치 밭에 씨앗을 뿌리듯 독서가 끊이지 않음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내용 : 당나라의 배도(裴度)는 후손들에게 우리 같은 사람들은 문장의 씨앗이 끊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문장으로 성공하여 재상이 되느냐 아니냐는 천명에 달린 것이다라고 훈계했다.

 

영향 : 송나라의 황정견 역시 다른 건 몰라도 독서의 씨앗이 단절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독서의 맥을 살려 열심히 공부하다 보면 그중에서 재상이 나올 수도 있다고 했다. 이 표현은 줄여서 서종(書種, 책의 씨앗)’으로도 많이 활용되며, 간혹 독서종(讀書種, 독서의 씨앗)’이라고도 한다.

 

 

蛇足 : 종자(種子)라는 단어가 간혹 사람을 향할 때 썩 좋지 않은 의미로 전달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서종자(讀書種子)는 참 좋다. 요즈음처럼 독서를 방해하는 요소들이 동서남북을 에워싸고 있는 상황에선 가정에서 독서를 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어디선가 본 내용인데...집근처에 도서관이 없어서 아쉽다고 하니까, “사람 살만한 데가 못되는군요. 이사 가셔요~”라는 댓글에 공감한 적이 있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Samantha Hentosh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독서와 관련된 고사성어

 

 

개권유익(開卷有益)

 

 

() 열 개

열다, 열리다, 통하다, 통달하다, 비롯하다, 꽃이 피다, 개간하다,

끓다, 비등(沸騰)하다

 

() 쇠뇌 권

쇠뇌, 돌을 쓰는 힘이 센 활, 책을 세는 단위

 

() 있을 유

있다, 존재하다, 많다, 넉넉하다, 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 더할 익

더하다, 증가, 느는 일, 유익하다

 

........................................

 

풀이 : 책을 들추기만 해도 도움이 된다.

의미 : 사람들에게 책 읽기를 권하고 격려하는 전고다.

 

내용 : 송나라 태종은 하루에 수많은 일을 처리하지만 매일 태평어람(太平御覽)을 세 권씩 읽었다.(태평어람은 천 권에 이르는 백과사전 부류의 방대한 책이다.) 일이 많아 거르면 한가할 때 보충해서 읽었다. 태종은 늘 책을 들추어 보기만 해도 얻는 것이 있다. 이건 하나도 힘든 일이 아니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영향 : 민수연담록(澠水燕談錄)은 송나라의 왕벽지(王辟之)가 편찬한 책으로 독서나 학자들과 관련된 일화가 많이 실려 있다. 송 태종보다 훨씬 앞서 시인 도연명이 책을 들추기만 해도 얻는 것이 있어 문득 밥 먹는 것도 잊곤 한다” (개권유득開卷有得, 편흔연망식便欣然忘食)라는 문장을 남겼지만 송 태조의 개권유익이 더 많이 인용되었다. 노신도 이 전고를 인용한 바 있다. 간혹 전권유익(展卷有益)’으로도 쓰는데 뜻은 매한가지다.

 

蛇足 : 책을 읽다가 중지하면, 안 읽은 것보다 읽은 만큼 낫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Jamie Stre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